孟子去齊 宿於晝 有欲爲王留行者 坐而言 不應 隐几而卧맹자거제 숙어주 유욕위왕유행자 좌이언 불응 은궤이와
孟子去齊 宿於晝 有欲爲王留行者 坐而言 不應 隱几而臥
맹자거제 숙어주 유욕위왕유행자 좌이언 불응 은궤이와
맹자가 제나라를 떠나는 길에 ‘주' 땅에 머물렀다. (제선) 왕을 위하여
맹자가 떠나는 것을 만류하려는 사람이 있었는데 (단정히) 앉아서 (맹자에게) 말했다.
(그러나 맹자는) 대응하지 않고, 안석에 한 쪽으로 기대어 쉬었다 (혹은 자는 척했다).
去 떠나다. 떠나가다. 물러나다. 가다. 떨어지다. 멀어지다. 잃다. 잃어버리다.
宿 머무르다. 머무는 집. 번. 번들다. 망설이다. 오래다. 노련한 사람. 於 〜 에.
晝 제나라 수도 임치에서 서남쪽으로 4km 정도 떨어진 곳이라고 추측되어진다.
欲 하고자 하다. 爲 위해. 留行 즉 맹자의 여행 (제나라를 떠나는 것) 을 만류하고자 하는 것.
留 지체하다. 오래다. 엿보다. 머무르다. 있다. 남아 있다. 굳게 지켜 변하지 아니하다. 기다리다.
留 의 주체는 아래 문장의 客. 行 여행. 가다. 行 의 주체는 맹자.
者 는 欲爲王留行 즉 (제선) 왕을 위하여 맹자가 떠나는 것을 만류하려는 사람.
應 대답하다. 응하다. 隱 기대다. 한쪽으로 치우치다. 几 안석. 앉아서 몸을 기대는 도구. 제향에 쓰는
기구의 한 가지. 희생을 올려 놓는다. 책상. 사믈의 왕성한 모양. 함께 지내는 모양.
而 〜 하고. 말을 잇다. 그리하여. 그러나. 그런데. 너. 〜 와 같다. 곧. 이에. 써 (以). 구렛나루. 턱수염.`
臥 쉬다. 휴식하다. 거짓 자다. 안석에 기대어 자다. 누워 자다.
客不悅曰 弟子齊宿而後敢言 夫子卧而不聽 請勿復敢見矣
객불열왈 제자제숙이후감언 부자와이불청 정물부감견의
맹자가 떠나는 것을 만류하려는 사람이 불쾌하여 말하길 제가 목욕재계하고
하룻밤을 지내고 난 후 감히 말씀드렸는데, 선생께서는 누워서 듣지를 않으시니
다시는 구태여 뵙지 말아야 하겠읍니다.
客 위 문장의 者 로 欲爲王留行 즉 (제선) 왕을 위하여 맹자가 떠나는 것을 만류하려는 사람.
손. 손님. 붙이다. 의탁하다. 上客 지위가 높은 손님. 한 자리에서 공경받는 사람. 식객. 나그네. 여행자.
외부에서 온 사람. 사람. 떠도는 사람. 단골손님. 과거. 지나간 때. 예우하다.
悅 기쁘다. 사랑하다. 弟子 자신을 겸손하게 지칭하는 말. 齊 가지런히 하다. 미비한 것이 없이 갖추다.
모두. 다 똑같이. 한가운데. 중앙. 바르다. 중정하다. 엄숙하다. 빠르다. 부지런하다. 배꼽. 오르다. 조화하다.
음식의 간을 맞추다. 더하다. 첨가하다. 여러 가지 약재를 조합하다. 齊戒 하다. 엄숙하게 공경하다.
齊宿 목욕재계하고 하룻밤 지내는 것.
而 〜 하고. 말을 잇다. 그리하여. 그러나. 그런데. 너. 〜 와 같다. 곧. 이에. 써 (以). 구렛나루. 턱수염.
而後 〜 하고 그 뒤에. 이후에.
敢 감히. 구태여. 날래다. 용감하다. 夫子 상대방을 존경하여 부르는 말.
請 '받아들이다 請 정' 으로 여기선 '다시는 구태여 뵙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겠읍니다' 란 뜻으로
다시 말하면 '다시는 구태여 뵙지 말아야 하겠읍니다' 로, '〜 해야 하겠읍니다' 로 쓰였다.
(음이 '청' 일 땐) 청하다. 바라다. 초청하다.
勿 말다. 아니다. 깃발. 復 다시. 거듭. (돌아오다 - 돌려보내다 - 뒤집다 - 보충하다 - 되풀이하다 - 머무르다 (복).
敢 구태여. 감히. 날래다. 용감하다. 矣 단정의 어조사.
曰 坐 我明語子
왈 좌 아명어자
(맹자가) 말하길 앉으시오. 내 그대에게 분명히 말하겠소.
我 나. 나의 편. 우리. 외고집. 굶주리다. 明 분명히. 알려주다. 깨끗하다. 결백하다. 밝은 곳.
語 말하다. 말. 말씀. 소리. 깨우치다. 기뻐하는 모양. 논어의 약칭. 明語 명백히 말함. (明言 명백히 말함)
子 그대. 너. 남자에 대한 통칭. 만물. 씨. 열매. 자식. 이자. 맏아들. 학덕이 높은 스승.
昔者鲁穆公無人乎子思之側 則不能安子思
석자 노목공무인호자사지측 즉불능안자사
옛날 노나라 목공은 자사 옆에 사람이 없으면 자사를 편하게 할 수가 없었읍니다.
昔 옛날. 者 때를 가리키는 말에 붙이는 조사. (今者 지금) 昔者 옛날. 鲁穆公 노나라 목공.
鲁穆公 노나라 목공. 단군조선 시대 주나라 혼란기인 춘추시대 말기와 전국시대 초기의 노나라 군주.
乎 〜 에. 〜 보다. (于 나 於 와 같게 쓴다.) 의문•영탄•반어•호격의 어조사로 쓰인다.
子思 공자의 제자로, 성은 孔, 이름은 伋이며 중용의 중심 사상을 설파한 노나라의 유학자이다.
之 ‘〜 의’ 로 관형격 조사. 가다. 이. 이것 (지시 대명사). 강조의 어조사. 〜 에 이르다. 쓰다. 및. 와. 과.
泄柳申詳 無人乎穆公之側 則不能安其身
설류신상 무인호목공지측 즉불능안기신
설류와 신상은 목공의 옆에 (목공을 보좌할) 사람이 없으면 그 몸을 편안히 할 수가 없었읍니다.
泄柳 와 申詳 은 노나라 목공이 중용한 신하들이라고 한다.
乎 〜 에. 〜 보다. (于 나 於 와 같게 쓴다.) 의문•영탄•반어•호격의 어조사로 쓰인다.
之 ‘〜 의’ 로 관형격 조사. 가다. 이. 이것 (지시 대명사). 강조의 어조사. 〜 에 이르다. 쓰다. 및. 와. 과.
側 곁. 옆. 가. 언저리. (해나 달이) 기울다. 기울다. 치우치다. 쏠리다. 숨다. 몸을 굽혀 숨다. 어렴풋이.
중정을 잃는 일. 예에 어긋나는 행위. 천하다. 다가오다. 닥쳐오다. 아파하다. 슬퍼하다.
其 신상과 설류를 지시하는 대명사 '그.'
子爲長者慮 而不及子思 子絶長者乎 長者絶子乎
자위장자려 이불급자사 자절장자호 장자절자호
그대가 장자를 위하여 염려하나 자사에 미치지 못합니다.
그대가 나를 멀리한 것입니까? 내가 그대를 멀리한 것입니까?
子 그대. 너. 남자에 대한 통칭. 만물. 씨. 열매. 자식. 이자. 맏아들. 학덕이 높은 스승.
爲 위하여. 長 존귀하다. 나이가 위인 사람. 우두머리. 가르치다. 이끌다. 길다. 者 사람.
長者 덮이 높고 인망이 두터운 사람으로 맹자를 가리키는 말. 나이가 많은 사람.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
큰 부자의 높임말. 而 〜 하나. 〜 이지만. 不及 미치지 못한다.
子思 단군조선 시대 공자의 제자로, 성은 孔, 이름은 伋이며 중용의 중심 사상을 설파한 노나라의 유학자이다.
絶 차단하다. 교제를 끊다. 끊어지다. 중단되다. 망하다. 죽다. 말라 죽다. 뛰어나다. 극에 이르다.
멀리 떨어지다. 여기선 '멀리하다' 를 나타냈다.
乎 는 〜 인가? 라는 의문을 나타내는 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