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立身揚名 입신양명
무 없다
2022. 4. 13. 10:56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신체발부 수지부모 불감훼상 효지시야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육신을 보존하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며
즉 몸가짐을 신중히 해 다치지 않고 부모님보다 오래 사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고
立身行道 揚名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입신행도 양명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
(몸을 세워 도를 행하고)
벼슬을 하고 이름을 후세에 떨쳐 부모님을 드러내는 것이 효도의 마지막이다
즉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효도의 완성이다
- 孝經 효경 -
위는 효경의 첫 장인 '開宗明義章 개종명의장' 중 일부인데
이 부분만을 놓고
효의 시작과 끝을 논한다면
효경의 전체 내용을 본 일이 없는 사람들은
장수하고 잘 먹고 잘 살라는 것을
효의 전부로 오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최소한 10장의 '紀孝行 기효행' 중 일부인 아래 내용을
효를 행하는 방법 혹은 기본으로 함께 언급해야
옛사람들의 효가 물질에 치우친다는 오해를 피할 수 있을 것 같다
子曰 자왈
孝子之事親也 효자지사친야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락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자왈
효자가 그 어버이를 섬기는 방법은
기거하심에 그 공경을 다하고 (항상 공경하고)
봉양함에는 그 즐거움을 다하고 (항상 즐거운 마음으로 봉양하고)
병이 드셨을 때는 그 근심을 다하고 (항상 근심하고)
상을 맞아선 그 슬픔을 다하고 (항상 슬픔을 잊지 않고)
제를 올릴 때는 그 엄숙함을 다함이니라 (항상 엄숙함을 잃지 않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