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耳 이
177. 큰 눈 (目大) (睔와 同字) 䎾 곤
귀 耳 이 + 둥글 侖 륜
‘귀 + 둥글다’ 론 ‘큰 눈’ 을 나타낼 수 없다
촤이니즈들이 바늘 귀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면
양자강 이북에선 미국식으로 바늘의 눈
양자강 이남에선 바늘 구멍
대만에선 미국식인 바늘의 눈이라
고도 표현한다
그러나 바늘의 구멍을 우리처럼 바늘 귀로 표현하진 않는다
‘바늘의 둥근 구멍’ 을 그려
‘큰 눈’ 을 나타냈다
*. 멍청이 聐 알
귀 耳 이 + 길할 吉 길
'귀 + 길하다'로는 멍청이란 뜻이 나오지 않는다
사람이 귀신에게 길함을 빌 때는
그 귀신의 귀가 매우 큰 귀신상을 만들었었다
소원을 잘들어달라고 귀신의 귀가 큰 귀신상을 만든 것
귀신에게 길함을 빌며 귀신의 귀를 크게 해놓고
막상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인간의 도리를 다하지 않는 이를
멍청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생겨난 문자로 보인다
'귀 耳 이'가 '귀가 큰 귀신'으로 쓰였다
'연하다 聯 연'과 '잇다 聨 련'이
우리 민족만이 만들 수 있는 문자란 것을 증명하기 전에
촤이니즈들이 바늘 귀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면
양자강 이북에선 미국식으로 바늘의 눈
양자강 이남에선 바늘 구멍
대만에선 미국식인 바늘의 눈이라
고도 표현한다
그러나 바늘의 구멍을 우리처럼 바늘 귀로 표현하진 않는다
765. 연하다 聯 연
귀 耳 이 + 실을 북에 꿸 ? 관
耳는
가. 신체의 일부인 귀가 아니라 바늘의 귀를 뜻한다
실과 바늘 귀가 꿰어 있어 이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나. 귀→궤→꿰 로 전환되어 사용된 경우다
766. 잇다 聨 련
귀 耳 이 + 실 絲 사
耳는
가. 신체의 일부인 귀가 아니라 바늘의 귀를 뜻한다
실을 바늘 귀에 집어넣어 두 물건을 꿰매 잇다
는 뜻을 나타냈다
나. 귀→궤→꿰 로 전환되어 사용된 경우다
830. 실로 모양내다 縙 용
실 絲 사 변 + 무성할 茸 용
실이 많다고 모양이 되는 것은 아니다
絲실을 耳바늘 귀에 꿰어서 サ(모양이 되도록)
내놓아야 모양이 된다
耳가 신체기관이 아닌 바늘 귀로 쓰여
'실로 모양내다'를 나타냈다
831. 벌레 기어가는 모양 ? 용
벌레 虫 훼 + 무성할 茸 용
벌레가 많다고 발레 기어가는 모양을 그린 것은 아니다
바느질할 때의 실과 바늘이 움직이는 모습으로
벌레가 기어가는 모양을 그려낸 것이다
虫벌레가 耳실이 바늘 귀에 꿰어 움직이는 것처럼
サ움직이다(나오다)를 나타냈다
832. 걷다 䠜 용
발 ⻊족 변 + 무성하다 茸
발이 무성한 것이 걷는 것이 아니라
실이 바늘 귀에 꿰어 한 땀 한 땀 움직이는 모습으로
왼 발 오른 발을 한 번씩 움빅여 걷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 역시 耳가 신체기관의 일부인 귀가 아니라
바늘의 귀耳를 그려 발 ⻊족 자와 함께 써
발이 한 걸음 두 걸음 움직여 걷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지나족은 耳로 바늘 귀를 연상해낼 수 없으나
우리 민족은 '귀'하면 바늘 귀도 연상해낼 수 있다
833. 치장하다 ? 용
가죽 革 혁 + 귀 耳 이
가죽을 치장함에 '귀'를 써서 혹은 귀를 치장한다?
가죽을 바늘을 써서 모양을 내 치장한다는 말이다
耳가 역시 바늘의 귀로 쓰인 경우다
834. 안장 치장하다 䩸 용
가죽 革 혁 + 무성하다 茸
가죽을 치장함에 '귀'를 써서 혹은 귀를 치장한다?
가죽을 바늘을 써서 모양을 내 치장한다는 말이다
耳가 역시 바늘의 귀로 쓰인 경우다
サ를 쓴 것은 밖으로 내보이게 치장하는 것을 강조한 것
844. 힘쓰다 朂 욱
날 日 일 + 귀 耳 이 + 힘 力 력
日낮에 耳기와 力힘을 쓴다
귀 耳 이를 기운 氣 기 로 전환시켜
낮에 기와 힘을 다해 일하는 모습을 그려
힘쓰다 를 나타냈다
914. 꿰메다 緝 즙
실 사 변 + 참소할 咠 집
실 + 참소하다 론 꿰메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참소할 咠 집을 입 口 구 + 귀 耳 이 로
귀 耳 이 를 신체의 일부인 귀가 아니라 바늘의 귀 로
바늘 구멍에 신을 넣다 를 그려
꿰메다 를 나타냈다
1002. 무너지는 소리 ? 추
돌집 广 엄 + 취할 取 취
돌집 + 취하다 론 무너지는 소리를 나타낼 수 없다
취할 取 취 를
귀 耳 이 + 손쓰다 又 우 로 해석해
귀 耳 이 를 사람의 귀가 아닌 집의 귀퉁이로 전환해
집의 귀퉁이에 손을 쓰다 를 그려
무너지는 소리 를 나타냈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그물 羅 라 (0) | 2018.06.05 |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규격(옳을) 可 가 (0) | 2018.06.05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권세 權 권 (0) | 2018.06.04 |
군사 卒 졸 (0) | 2018.06.04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구역 區 구 (0) | 2018.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