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흙 土 토 (1)

흙 土 토

 

*. 흙 土 토

초목의 싹이 땅 위로 터져나오는 모양을 본뜬 글자

 

4. 평탄하지 않을 坷 가

흙 土 토 + 옳을 可 가

흙 土 토 를 길

옳을 可 가 를 갓으로 전환시켜

갓길을 그려낸 것으로 우리 말 갓길은

갓길은 도로의 양쪽 가장자리의 여분의 길이고

갓길은 새로난 길을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갓길은 정규 도로보다 평탄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옛날엔 새로 난 길은

만들어진지 오래된 길보다 평탄하지 않은 것이 보통이다

 

*. 아름다울 佳 가

사람 인 변 亻 + 홀-서옥 圭 규

홀-서옥은 제후의 信印 신인을 말하는 것으로

홀(圭)을 들고 있는 사람이 눈에 확 뜨여 '아름답게' 보임을 뜻하여 된 자라고도 하는데

'흙 土 토' 는 (씨앗을) 받아들여 흙 위로 내놓는 역할을 한다

해서 '흙 土 토' 를 반복하면 내놓고 또 내놓는다는 말이 되는데

계속 내놓으니 달리 말하면

잘 내놓는 것이 된다

이것을 조금 변형하면 '잘났다' 가 된다

해서

사람 인 변 亻 + '흙 土 토' + '흙 土 토'

는 잘 내놓는 또는 잘난 사람이 된다

결국 잘난 사람을 그려

 

아름답다를 나타낸 것이 된다

 

 

158. 화덕 (竈)-밝다 () 烓 계

불 火 화 + 홀 圭 규

홀은 옥으로 만든 도장-모서리-용량의 단위-기장-무게의 단위-결백하다

‘불 + 홀’론 ‘화덕-밝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홀 圭 규’는 ‘흙 土 토’+ ‘흙 土 토’로

우리 말로는‘토하고 토하다’를 나타낼 수 있다

해서 ‘불을 계속 토해내다 (토해내는 곳) 을 그려

‘화덕-밝다’ 를 나타냈다

 

210. 그르치다 ()-속이다 () (或音은 과) 詿 괘

말씀 言 언 + 홀 圭 규

‘말씀 + 홀’ 론 그르치다-속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홀 圭 규’ 는 ‘흙 土 토 + 흙 土’로

‘토해내고, 토해내다’ 를 의미해

‘말을 계속하다 (많이하다)’ 를 그려

‘속이다-그르치다’ 를 나타냈다

 

250. 무너지다-무너뜨리다 壞 괴

土 토 + 품을 褱 회

흙 + 품다 론 무너지다-무너뜨리다 를 나타낼 수 없다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의 ‘토’ 로 전환해

품은 것을 토하다-토하게 하다 를 그려

무너지다-무너뜨리다 를 나타냈다

 

255-14. 점괘 (筮兆)-괘 (伏羲氏가 만들었다고 하는 일종의 글자-8괘를 거듭하여 64괘가 됨) 卦 괘 

圭 규 + 점 卜 복

‘홀 (제후의 신인 信印) + 점 (치다)’ 론 점괘를 나타낼 수 없다

圭 규’ 를 ‘흙 土 토 + 흙 土 토’ 로

‘흙위에 토해 놓다’ 혹은 ‘계속 토해 놓은 것’ 로 해석해

‘흙위에 점을 토해 놓은 것’ 혹은 ‘점을 계속해 토해 놓은 것’ 을 그려

점괘를 나타냈다



279. 노래하다 哇 규

입 口 구 + 홀 圭 규

(홀은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진 옥으로

천자가 제후를 봉할 때 내리는 信印 신인)

입 + 홀 로는 노래하다는 뜻을 나타낼 수가 없다

口 입으로 土 토해내고 土 토해내다

입으로 계속 토해내다를 그려

노래하다를 나타냈다

 

279-1. 음란하다 哇 규

口(입구) + 圭(홀규)

입 + 홀로는 음란하다 는 뜻을 나타낼 수가 없다

口 입으로 土 토해내는 것이 土 바닥이다

土 토 를 토하다 의 토 와 땅바닥 으로 전환시켰다

 

411. 근심하다

마음 심 변 + 밭 田 전 + 흙 土 토

(혹은 마음 심 변 + 마을 里 리)

마음 + 밭 + 흙 (마음 + 마을) 로는 근심하다 를 나타낼 수 없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바깥으로 토해낸 마음

(속마음을 남들에게 들켰거나 털어놨거나) 를 그려

근심하다 를 나타냈다

 

413. 다스릴 理 리

구슬 玉 옥 변 + 마을 里 리 로 이루어진 자 라고들 하는데

구슬 + 마을 로는 다스리다 를 나타낼 수 없고

(구슬이 서옥이라면 서옥 + 마을

로 다스리다를 나타냈다고 볼 수도 있겠다

瑞玉 서옥 : 왕이 제후에게 신표로 주던 옥홀)

임금 王 왕 + 밭 田 전 + 흙 土 토

(혹은구슬 玉 옥 변 + 밭 田 전 + 흙 土 토)

임금 (혹은 구슬) + 밭 + 흙 (마음 + 마을) 로는 근심하다 를 나타낼 수 없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임금이 바깥으로 토해낸 것

(혹은 바깥으로 토해낸 구슬같이 소중한 것)

(혹은 王 을 '천지인이 조화를 이룬 것' 으로 보면
'천지인의 조화' 를 밖으로 토해낸 것 즉 '천지인의 조화를 나타낸 것') 
을 그려

다스리다 를 나타냈다

 

*. 속될 俚 리

'사람 인 변 亻 + 마을 里 리' 로 이루어진 자 라고들 하는데

사람 + 마을 로는 다스리다 를 나타낼 수 없고

'사람 인 변 亻 +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보면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사람 - 남 이 바깥으로 토해낸 것

'속되다' 를 나타냈다

 

임금이 밖으로 토해난 것과 뭇사람들이 바깥으로 토해낸 것

즉 임금이 한 말과 뭇사람들이 한 말의 차이는

임금의 말은 세상을 다스리고

뭇사람들이 한 말은 속된 것이란 것으로 볼 수 있겠다

 

415. 속 裡 리

옷 의 변 + 마을 里 리

옷 의 변 +밭 田 전 + 흙 土 토

옷 + 마을 이나 옷 + 밭 + 흙 으로 속 을 나타낼 순 없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옷을 바깥으로 토해낸 것 을 그려

(옷을 바깥으로 벗어낸 것 을 그려)

속 을 나타냈다

 

416. 무늬     

실 糸 사 + 마을 里 리

실 + 마을 로는 무늬 를 나타낼 수 없고

실 糸 사 +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실을 바깥으로 토해내다 를 그려

무늬 를 나타냈다

 

417. 속 裏 리

옷 衣 의  + 마을 里 리

옷 衣 의  + 밭 田 전 + 흙 土 토

옷 + 마을 이나 옷 + 밭 + 흙 으로 속 을 나타낼 순 없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옷을 바깥으로 토해낸 것 을 그려

(옷을 바깥으로 벗어낸 것 을 그려)

속 을 나타냈다

(223. 속 裡 리 와 같은 자다)

 

420. 의리 釐 리

쪼갤 ? 리 + 마을 里 리

쪼개다 + 마을 로는 의리 를 나타낼 수 없다

쪼갤 ? 리 + 밭 田 전 + 흙 土 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바깥으로 토해낸 것을 나누다 (쪼개다) 를 그려

(모든 것을 함께 나누다 를 그려)

의리 를 나타냈다

 

421. 터럭 일어나다 ? 리

터럭 髮 발 + 마을 里 리

터럭 + 마을 로는 터럭 일어나다 를 그릴 수 없다

터럭 髮 발 +밭 田 전 + 흙 土 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터럭이 바깥쪽으로 토해내지다 를 그려

터럭 일어나다 를 나타냈다

 

*. 잉어 鯉 리

물고기 魚 어 + 마을 里 리

'물고기 + 마을' 로는 잉어를 나타낼 수 없다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하고

잉어는 입가에 두 쌍의 수염이 있어

(수염을) 밖으로 토해낸 것으로 묘사한 것으로 억측해 볼 수 있겠다

혹은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하고

흙을 물과 함께 휘저어 먹이를 찾기 때문에

흙 속에서 바깥으로 먹이를 끌어내는 - 흙이 먹이를 토해내게 하는 물고기

를 그려 잉어를 나타냈다고도 억측해 볼 수 있겠다 

 

446. 묻다 埋 매

흙 土 토 + 마을 里 리

로는 (땅 속에) 묻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흙 土 토 + 밭 田 전 + 흙 土 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흙을 바깥쪽으로 토해내다 즉 ‘땅을 파다’를 그려

‘묻다’를 나타냈다

 

469. 눈매 곱다

눈 目 목 + 언덕

눈 + 언덕 으로는 눈매 곱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언덕 륙 = 흙 土 토 + 어진 사람  ㄦ 인 + 흙 土 토

흙 土 토 의 음인 토 에서 토하다→토해내다→내놓다 로 전환시켜

눈 + 토하다 + 어진 사람 + 토하다

어진 사람이 눈에서 내놓는 것을 그려

눈매 곱다 를 나타냈다

 

605.무너지다-무너뜨리다 圮 비

흙 土 토 + 몸 己 기

흙 土 토 의 토 를 토해내다 의 토로 전환하고

토하낸 것은 땅에 떨어진다

즉 몸이 땅에 떨어진다 를 그려

무너지다-무너뜨리다 를 나타냈다

 

627. 절 寺 사

흙 土 토 + 법 寸 촌

흙 + 마디-법 으론 절 을 나타낼 수 없다

흙 土 토 를 토하다 로 전환해

규칙에 맞추어 토해 내놓는 곳 을 그려

불도에 맞는 언행만을 하는 곳인

절 을 나타냈다

 

661. 먼저 先 선

기존의 해석들은

그칠 止 지 + 어진 사람 인 발ㄦ

갈 之 지 + 어진 사람 인 발ㄦ 라고들 하는데

위의 두 해석은 모두‘사람이 간다’를 그려

먼저-첫째 를 나타냈다는 설들인데

사람이 간다 가 먼저-첫째 를 나타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는 것같다

먼저 先 선 은

화살 모양  + 흙 土 토 + 어진 사람 인 발ㄦ 로

이루어진 자로

흙 土 토 의 토 에서 토해내다

토해내다 에서 내어 놓다 로 전환해

어진 사람이 내어 놓은 화살이 화살의 시초였다 를

그려낸 것이다

이것은 매장의 풍속이 있기 전에는

부모의 시신을 띠풀에 싸서 들판에 버렸는데

짐승들이 시신들을 뜯어 먹고 곤충들이 달라 붙었다

이를 애통히 여긴 동이의 자손들은

부모의 시신을 짐승들로부터 지키기 위해

활을 만들어 시신을 지켰다

이 동이의 풍속에서 ‘첫째-먼저 先 선’ 이 만들어졌다

이것을 증명하는 또 다른 자가 있으니

바로 조문할 弔 조 자이다

활 弓 궁 + 화살 모양의 ㅣ 로 이루어져

부모의 시신을 짐승들로부터 지키기 위해

활을 들고 있는 이들을 찾아가 위로하는 것을

조문 弔問 이라 했으니

‘먼저 先 선’ 이 활을 들고 조상의 시신을 지키는

동이의 풍속에서 비롯된 자 임을 보여준다

 

722. 홰-횃대-새가 깃드는 곳 塒 시

흙 土 토 + 때 時 시

흙 土 토 를 땅(곳)이면서 토해내다 로 전환해

때를 토해내는 곳을 그려

홰-횃대-새가 깃드는 곳 을 나타냈다

 

723. 시 詩 시

말씀 言 언 + 절 寺 사

말씀 + 절 로는 시 를 나타낼 수 없다

말씀 言 언 + 흙 土 토 + 법 寸 촌

흙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의 토 로 전환해

규칙에 맞추어 말을 토해 내놓은 것 을 그려

시 를 나타냈다

공자가 논어에서 시를 정의한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

 

자왈 시삼백 일언이폐지 왈 사무사

 

시경의 삼백여 편의 시를 한 마디로 말하면

 

사특함이 없는 마음이다”

란 말은 ‘시 詩 시’ 를 파자한 것이다

토가 없는 지나인들이

시 詩 시 란 자를 만들었겠는가?

 

737-9. 물 창일하다 (大水貌) 溎

‘물 수 변 + 계수나무 桂 계’ 론

‘물 창일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물 수 변 + 나무 木 목 + 흙 土 토 + 흙 土 토’ 로

‘흙 土 토’ 의 음인 토를 ‘토하다’ 의 ‘토’ 로

 

나무 木 목’ 은 내놓다로 전환해

‘물을 토해 내놓고 또 토하내다’ 를 그려

‘물 창일하다’ 를 나타냈다

801. 토할 哇 와

입 口 구 + 홀 圭 규

홀은 왕이 제후에게 내리는 信印이다

口 + 圭 로는 토한다는 뜻이 나올 수가 없다

口입에 있던 것이 土흙에 떨어진다는 것을 그린 것으로

음을 훈으로 전환시킨 것으로

우리 말 토한다는 것을 그린 것이다

土를 두 번 넣은 것은 많이 토한다는 뜻이다

 

804. 비척거리다 徍 왕

 

자축거릴 ㄔ 척 + 홀 圭 규

 

로는 비척거린다는 뜻을 그려낼 수 없고

 

흙 土 토를 토하다의 토로 전환해

 

ㄔ자축거리다 + 土 토하다 + 土토하다

 

로 토하면서 걸어가는 비척거리는 것을 그린 문자다

 

土의 음을 훈으로 전환시켜 만든 문자로

 

한국어를 할 수 있어야만 가능한 조자다

 

805. 물 깊다 洼 와

 

물 シ 수 변 + 홀 圭 규

 

'로는 물 깊다'란 뜻을 그려낼 수가 없다

 

シ물을 土토하고 土토해내는 것은 물이 깊다

 

는 뜻을 나타낼 수 있다

 

 

805-1. 핍박하다 劸 왜

홀 圭 규 + 힘 力 력

(홀-서옥은 제후의 信印 신인을 말하는 것)

'홀 + 힘' 으론 '핍박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흙 土 토' + '흙 土 토' + 힘 力 력

'흙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로 전환해

힘을 토해내고 토해내다

'힘을 정도 이상 쓰다' 를 그려

 

'핍박하다' 를 나타냈다
 
805-2. 음란한 소리 哇 와
입 口 구 + 홀 圭 규

(홀-서옥은 제후의 信印 신인을 말하는 것)

'홀 + 입-말하다' 론 '음란한 소리' 를 나타낼 수 없다

흙 土 토 + 흙 土 토 + 입 口 구

'흙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로 전환해

말을 토해내고 토해내다

'말을 계속하다(말을 계속하다 보면 종국엔 음담패설로 귀결된다)' 를 그려

'음란한 소리' 를 나타냈다
혹은

口 입으로 土 토해내는 것이 土 바닥이다

土 토 를 토하다 의 토 와 땅바닥 으로 전환시켰다

 
*. 어여쁜계집 娃 왜
계집 女 녀 + 홀 圭 규

(홀-서옥은 제후의 信印 신인을 말하는 것)

'계집 + 홀' 론 어여쁜 계집을 나타낼 수 없다

계집 女 녀 + 흙 土 토 + 흙 土 토

흙과 흙 사이 즉 국경의 여인 다시 말해

'이국적인 여인/색다른 여인' 을 그려

'어여쁜 계집' 을 나타냈다

 

805-3. 탄식하는소리 㰪 왜

홀 圭 규 + 하품 欠 흠

(홀-서옥은 제후의 信印 신인을 말하는 것)

'홀 + 하품' 으론 탄식하는 소리를 나타낼 수 없다

흙 土 토 + 흙 土 토 + 하품 欠 흠

'흙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로 전환해

'하품을 토해내고 토해내다 즉 심하게 하품하다' 를 그려
'탄식하는 소리' 를 나타냈다
 
805-4. 개구리 蛙 왜
벌레 虫 훼 + 홀 圭 규

(홀-서옥은 제후의 信印 신인을 말하는 것)

'벌레 + 홀' 론 개구리를 나타낼 수 없다

벌레 虫 훼 + 흙 土 토 + 흙 土 토

'흙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로 전환해

'(울음을) 토해내고 토해내는 벌레' 를 그려
'개구리' 를 나타냈다

 

836. 날다 亴 우

높을 高 고 + 흙 土 토 + 아홉 九 구

土가 흙이 아닌 입으로 토한다로 전환되었고

구부러진 새 乙 을 에서 나온 아홉 九 구 +

삐침丿별 에서 삐지다를 비치다 로 전환해

구불구불하게 비치는 것을 그려

구름으로 전환되었다

구름을 토하며 높이 날다

 

849-3-1. 계집의 태도 㜇 이

계집 女 녀 + 성낼 恚 에

성내는 것이 여인의 태도는 아닐 것이다

圭는 땅과 땅의 경계를 그린 것으로

왕이 제후에게 내리는 권한을 위임하는 일종의 도장이다

이 땅과 땅의 사이를 의미하는 境界경계에서

잘못이 없도록 미리 조심한다는 警戒경계로 전환시켜

圭경계하는 心마음이 女여인의 태도임을 나타냈다

 

859. 고깃점 胾 자

몸 肉 육 + (다칠재)

몸 + 다치다 로는 고깃점 을 나타낼 수 없다

(다칠재) 를 흙 土 토 + 창 戈 과 로 해석해

(찔렀던) 창이 (나올 때) 토해 놓은 고기 를 그려

고깃점 을 나타냈다

 

897-0-1. 가게-전방 厘 전

집 厂 엄 + 마을 里 리

집 + 마을 로는 가게 를 나타낼 수 없다

마을 里 리 는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밭 田 전 은 밖 으로

흙 土 토 는 토해 내다 로 전환해

바깥으로 토해내는 집 을 그려

가게-전방 을 나타냈다

 

897-0-2. 가게-전방 㢆 전

집 广 엄 + 마을 里 리

집 + 마을 로는 가게 를 나타낼 수 없다

마을 里 리 는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밭 田 전 은 밖 으로

흙 土 토 는 토해 내다 로 전환해

바깥으로 토해내는 집 을 그려

가게-전방 을 나타냈다

 

897-0-3. 가게-전방 廛 전

집 广 엄 + 마을 里 리 + 八(여덟팔) + 土(흙토)

집 + 마을 + 여덟 + 흙 으로는 가게 를 나타낼 수 없다

八(여덟팔) + 土(흙토) 는 흙은 판 으로 전환해

마을 里 리 는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밭 田 전 은 밖 으로

흙 土 토 는 토해 내다 로 전환해

흙을 파서 만든 바깥으로 토해내는 집 을 그려

가게-전방 을 나타냈다

 

897-0-4. 얽다-얽히다 纏 전

실 사 변 + 집 广 엄 + 마을 里 리 + 八(여덟팔) + 土(흙토)

실 + 집 + 마을 + 여덟 + 흙 으로는

얽다-얽히다 를 나타낼 수 없다

八(여덟팔) + 土(흙토) 는 흙은 판 으로 전환해

마을 里 리 는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밭 田 전 은 밖 으로

흙 土 토 는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실을 바깥으로 토해내는 흙을 파서 만든 집 을 그려

얽다-얽히다 를 나타냈다

 

897-0-5. 흔적 ? 전

발 足 족 변 + 가게-전방 厘 전

발 + 가게 로는 흔적 을 나타낼 수 없다

언덕 ⺁ 한

마을 里 리 는 밭 田 전 + 흙 土 토 로

밭 田 전 은 밖 으로

흙 土 토 는 토해 내다 로 전환해

바깥으로 토해내는 언덕의 발 을 그려

흔적 (발자취) 를 나타냈다

 

900-1. 주인 主 주

불똥 丶 주 + 임금 王 왕 으로 파자하는데

이는 그림 문자를 살펴보면

불똥 丶 주 + 한 ㅡ 일 + 흙 土 토

불똥 丶 주 는 촛불을 나타내고

한 ㅡ 일은 촛대를 나타내며

흙 土 토 는 토해내다 즉 내놓다를 그려

불을 내놓는 이를 일러 주인을 나타낸 것이다




977. 샘 洤 천

물 수 변 + 온전할 全 전

물 + 온전하다 로는 ‘샘’ 을 나타낼 수 없다

온전할 全 전 을

모을 亼 집 + 흙 土 토 로 풀어

흙 土 토 를 토하다 의 ‘토’로 전환하면

물이 모여 토해져 나오는 곳 을 그려

‘샘’을 나타냈다

 

985. 밝다-지혜롭다 埑 철

꺾을 折 절 + 흙 土 토

꺾다 + 흙 으론 밝다-지혜롭디 를 나타낼 수 없다

꺾을 折 절 을 밝을 哲 철 의 약형으로 보고

밝을 哲 철 을 해석해 보면

손 수 변 + 도끼 斤 근 + 입 口 구 로

손에 도끼들고 입에서 나오는 것 즉 말을 쪼개는 것

즉 분석하는 것을 그려

밝음 을 나타냈다

스스로가 하는 모든 말의 정의를 내리고 사고함으로써

세상 이치를 제대로 알기 때문에 밝다는 의미다

해서 밝다-지혜롭다 埑 철 은

밝음 + 흙 인데

이것으로도 밝다-지혜롭다 를 나타낼 순 없다

흙 土 토 의 음인 ‘토’를 ‘토해내다’의 토 로 전환해

밝음 즉 지혜를 토해내 사람들에게 알림을 그려

밝다-지혜롭다 를 나타냈다

 

1027. 토할 吐 토 와 삼킬 呑 탄

삼킬 呑 탄 은 하늘 天 천 + 입 口 구

토할 吐 토 는 입 口 구 + 흙 土 토 로

입 口 구 의 기능인 삼키고 뱉어내는 것을 나타냄에

하늘 天 천 으로 삼키는 것을

흙-땅 土 토 로 토해내는 것을 나타냈다

하늘은 무한한 공간으로 모든 것을 포용할 수 있기에

삼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었고

땅은 무엇이든 받아 다시 내어놓기 때문에

토해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우리 말 ‘토하다’ 의 시작음인 ‘토’ 와

‘토할 吐 토’ 의 발음이 같기도 하다

또한 삼키는 행위는 큰 것이 작은 것을 합하는 행위로

여러 뜻을 가지고 있는 우리 말 ‘탄다’ 는

‘많은 액체에 작은 액체나 가루를 섞는다’ 는 뜻이 있는데

이 타는 행위와 삼키는 행위의 본질이 같기 때문에

삼킬 呑 탄 의 음이 ‘탄’이다

토할 吐 토 와 삼킬 呑 탄 은

입 + 하늘과 땅의 기능을 더해 문자를 만들고

그 발음은 ‘토하다와 탄다’란

우리 말 발음을 이용해 만들어진 문자다

 

1097. 앓다 壞 회

土 토 + 품을 褱 회

흙 + 품다 론 앓다 를 나타낼 수 없다

土 토 의 음인 ‘토’ 를 ‘토하다’ 의 ‘토’ 로 전환해

품은 것을 토하다-토하게 하다 를 그려

앓다 를 나타냈다

 

1098. 지껄이다

마음 심 변 + 밭 田 전 + 흙 土 토

(혹은 마음 심 변 + 마을 里 리)

마음 + 밭 + 흙 (마음 + 마을) 로는

지껄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마음을 바깥으로 토해내다 를 그려

지껄이다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