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投資 투자 와 投機 투기

投資 투자 와 投機 투기

 

*. 던질 投 투

손 수 변 扌+ 창 殳 수

‘손과 창' 을 그려

'창을 던진다' 를 나타냈다

 

**. 재물 - 취하다 資 자

버금 次 차 + 조개 貝 패

‘貝' 는 재물을 나타낸다

*. 자리 - 차례 - 순서 - 버금 次 차

두 二 이 + 하품 欠 흠 = 버금 次 차

"하품을 두 번 하는 것으로 너무나 피곤한 것을 그렸고

너무 피곤하면 일등을 포기하고 이삼등을 하는 것에 만족한다는 데서

버금을 나타냈다" 고 한다

해서 ‘資' 는 '재물의 뒤에 따라오는 것' 을 그려

‘재물 - 취하다' 를 나타냈다

'投資 투자’ 란 사전적으론

"특정한 이득을 얻기 위하여 시간을 투입하거나, 자본을 제공하는 것" 이라고 한다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재물의 뒤에 따라오는 것 (제조와 유통 과정과 그 결과물) 을 바라며 재물을 던지는 것' 을 그려

‘재물이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을 바라며 재물을 제공하다' 를 나타냈다

 

*. 형세 - 추세 機 기

나무 木 목 + 기미 - 조짐 幾 기

木 은 나오다 - 내놓다 를 나타낼 수 있다

조짐이 나오다 - 내놓다 를 그려

형세 - 추세 - 세상 돌아가는 모양

을 나타냈다

'投機 투기' 란 사전적으론

"기회를 틈타 큰 이익을 보려고 함 또는 그 일" 이라고 한다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조짐에 던진다' 를 그려

'기회를 보고 재물을 제공한다' 를 나타냈다

 

해서 투자와 투기의 차이는

투자는 기존의 재화와 용역이 만들 수 있는 것에 재물을 제공하나

투기는 기회가 만들 수 있는 것에 재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증권가에서 말하는

"감당할 수 있으면 투자이고

감당할 수 없으면 투기" 란 정의나

"재물을 제공할 목적물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고 있으면 투자이고

재물을 제공할 목적물에 대한 사전지식을 갖고 있지 않으면 투기"

라는 정의 모두 문자가 의미하는 바를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건전한 경제활동 즉 (제조와 유통 과정과 그 결과가) 사회 구성원 다수에게 이익이 되는

경제활동에 재물을 제공하는 것을 투자라 하고

불건전한 경제활동 즉 자신과 극소수의 사회 구성원에게만 이익이 되는 경제활동에

재물을 제공하는 것을 투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