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天字文 천자문 96

天字文 천자문 96

 

枇杷晩翠 梧桐早凋 비파만취 오동조조

비파나무는 늦게까지 푸르고

(단군조선이 원산지인) 오동나무는 (가을이 오면) 일찍 시든다

관직을 내려놓고 초야에 묻혀 사는 선비가 자연을 관조함을

가을을 알리는 오동나무를 언급하며 나타냈다

단군조선이 원산지인 오동나무를

고구려 시대까지도 군자국의 상징으로 혹은 상서로운 나무로

지나인들의 머리속에 각인되어 있었던 모양이다  

 

*. 비파나무 枇 비

비파란 악기의 이름이 비파나무란 나무 이름보다 먼저 생겼다면

열매와 잎의 생김새가 비파를 닮았기에

'음' 이 '비' 인 '견줄 比 비' 를 '나무 木 목' 과 결합해

'비파나무' 를 나타냈다

 

*. 비파나무 杷 파

비파란 악기의 이름이 비파나무란 나무 이름보다 먼저 생겼다면

열매와 잎의 생김새가 비파를 닮았기에

'음' 이 '파' 인 '뱀 巴 파' 를  '나무 木 목' 과 결합해

'비파나무' 를 나타냈다

 

*. 저물다 - 저녁 - 늦다 晩 만

해 日 일 + 면할 - 피하다 - 벗어나다 - 없애다 - 없어지다 免 면

'해가 없어지다' 를 그려

'저물다 - 저녁 - 늦다' 를 나타냈다

 

*. 비취색 - 푸르름 翠 취

깃 羽 우 + 군사 卒 졸

'(푸른) 군졸의 옷깃' 을 그려

'비취색'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수많은 왕조 병사들의 복장을 다 알 수는 없겠으나

청동갑옷을 입은 모양은 분명 푸르게 보였을 것으로 보인다

 

晩翠 만취

늦겨울에도 변하지 않는 푸르름

늙어서도 지조를 바꾸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오동나무 - 거문고 梧 오

원산지가 울릉도라고도 하는

우리 나라 전통의 나무, 오동나무

나무 木 목 + 나 吾 오

'나의 나무 즉 우리 나라의 나무' 를 그려

오동나무란 이름이 오동나무란 글자보다 먼저 생겼다면

'음' 이 '오' 인 '나 吾 오' 를 '나무 木 목' 과 결합해

'오동나무 梧 오' 를 나타냈다

고 추측해 볼 수 있겠다



*. 오동나무 - 거문고 桐 동

원산지가 울릉도라고도 하는

우리 나라 전통의 나무, 오동나무

나무 木 목 + 한가지 同 동

'나와 한가지인 나무 즉 우리 나라의 나무' 를 그려

오동나무란 이름이 오동나무란 글자보다 먼저 생겼다면

'음' 이 '동' 인 '한가지 同 동' 을 '나무 木 목' 과 결합해

'오동나무 桐 동' 을 나타냈다

고 추측해 볼 수 있겠다

 

897-1- 5 - 1. 일찍 早 조

소전으로 보면

해 日 일 + 머리 甲 갑

사람 머리 위에 해가 있다를 그려

새벽과 일찍을 나타냈다고 해왔지만

甲 은 껍질의 뜻도 있으므로

'껍질에 싸여 있던 해가 막 껍질을 깨고 나오려고 하고 있음' 을 그려

새벽을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예서로 보면

날 日 일 + 열 十 십

‘열 十 십’의 훈인 ‘열' 을 ‘열다 -열리다' 로 변환한 것으로

‘날이 열리다’를 그려

새벽 - 일찍 을 나타낸 것이다

 

*. 시들다 - 느른하다 凋 조

얼음 - 얼다 冫 빙 + 두루 - 지극하다 - 찬찬하다 - 굳히다 周 주

'두루 얼다 - 얼어 굳다' 를 그려

'시들다 - 느른하다' 를 나타냈다

 

우리 나라가 원산지인 '오동나무' 란 말이 먼저 있었고

이 '오동' 에 맞추어 문자를 만듦에

吾 나와 同 한가지인 木 나무를 그려

'梧桐 오동 나무' 란 글자를 만들었음을 추측해 볼 수 있겠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98  (0) 2022.09.12
天字文 천자문 97  (0) 2022.09.11
'병사 - 마치다 卒 졸' 이 들어 있는 글자들  (0) 2022.09.10
天字文 천자문 95  (0) 2022.09.09
天字文 천자문 94  (0) 202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