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吉 이 들어 있는 글자들

吉 이 들어 있는 글자들

 

*. 길할 吉 길

선비 士 사 + 입-말하다-먹다 口 구

'선비가 말하는 것은 옳다 - 길하다' 는 의미에서

'선비가 한 말' 을 그려

'옳다 - 길하다 - 좋다' 를 나타냈다.

혹은

士 를 ‘무기’ 로 보고, 口 는 ‘무기고’ 로 보고

무기가 무기고 안에 있는 것을 그려 즉 전쟁이 없음을 그려

‘길함’ 을 나타냈다.

 

*. 바르다 - 헌걸차다 佶 길

사람 인 변 亻 + 길할 吉 길

선비의 말대로 사는 사람 

혹은 무기고에 무기를 넣어둔 사람

을 그려 ‘바르다 - 헌걸차다’ 를 나타냈다.

 

*. 웃는 모양 - 기뻐하다 咭 길

입 口 구 + 길할 吉 길

길할 때의 즉 경사스러울 때의 입 모양을 그려

‘웃는 모양 - 기뻐하다’ 를 나타냈다.

 

*. 성 - 삼가다 姞 길

여자 女 녀 + 길할 吉 길

‘길할 吉 길’ 의 발음만을 이용하면

‘여자 + 길’ 로 ‘여자의 길’ 을 그려

‘삼가다’ 를 나타냈다.

‘조신하다’ 는 여성이 삼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 가다 㣟 길

자축거릴 彳 + 길할 吉 길

‘길할 吉 길’ 의 발음만을 이용하면

‘자축거리다 + 길’ 로 ‘길을/길에서 자축거리다’ 를 그려

‘길을 가다/길 가다’ 를 나타냈다.



*. 바쁘게 일하다 拮 길

손 수 변 扌 + 길할 吉 길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의 손놀림 혹은 경사스러운 일을 만들 때의 손놀림’ 을 그려

‘바쁘게 일하다’ 를 나타냈다.

 

*. 맛 좋은 물 洁 길

물 수 변 氵 + 길할 吉 길

‘경사스러운 물’ 을 그려

‘맛 좋은 물’ 을 나타냈다.

 

*. 도라지 - 두레박 틀 桔 길

나무 木 목 + 길할 吉 길

‘길할 吉 길’ 을 ‘흙 土 토’ + ‘내뱉다’ 를 의미하는 ‘입 口 구’ 로

‘흙이 토해내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보면

‘흙이 토해낸 즉 땅이 토해낸 나무’ 를 그려 ‘도라지’ 를 나타냈고,

‘땅에서 토해낸 것을 퍼올리는 나무 기둥’ →

‘땅속에서 물을 퍼올리기 위해 만든 나무 기둥’ 을 그려 ‘두레박 틀’ 을 나타냈다.

吉 의 그림 문자들의 윗부분은 士 와 土 가 혼용되었다.

 

*. 말똥구리 蛣 길

벌레 虫 훼 + 길할 吉 길

말똥구리는 똥을 굴려 둥근 덩어리를 만드는데, 이러한 둥근 모양은 고대 문화에서 하늘, 태양, 풍요 등을 상징하는 원형과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말똥구리는 똥을 땅속에 묻어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땅의 기운을 북돋아 주는 존재로 여겨 '벌레 + 길하다' 즉 '길한 벌레' 를 그려 '말똥구리' 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겠다.

 

*. 성내어 달리다 - 똑바로 가다 - 곧게 가다 趌 길

달리다 走 주 + 길할 吉 길

‘길할 吉 길’ 을 ‘흙 土 토’ + ‘내뱉다’ 를 의미하는 ‘입 口 구’ 로

‘입으로 (분노를) 내뱉으며 달리다’ 를 그려 ‘성내어 달리다’ 를 나타냈고, 

‘길하게 달리다’ 를 그려 ‘똑바로 가다 - 곧게 가다’ 를 나타냈다.

 

*. 가슴걸이 鞊 길

가죽 - 갑주 革 혁 + 길할 吉 길

‘갑주 + 길하다’ 를 그려 ‘(몸을 보호하는) 가슴걸이’ 를 나타냈다.

 

*. 조개 - 홍합 - 대합 鲒 길

물고기 魚 어 + 길할 吉 길

‘길할 吉 길’ 을 ‘흙 土 토’ + ‘내뱉다’ 를 의미하는 ‘입 口 구’ 로

‘흙을 토해내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보면

‘흙을 토해내는 물고기 혹은 흙을 토해내는 물에 사는 생물’ 을 그려

‘조개 - 홍합 - 대합’ 을 나타냈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承服 승복  (0) 2025.04.21
‘어질 仁 인’ 과 ‘어질 賢 현’ 의 차이  (0) 2025.03.13
'송곳질할 - (속이다) 矞 율 - (휼)' 이 들어있는 글자들  (0) 2024.09.27
名銜 명함  (0) 2023.09.23
卓越 탁월  (1) 202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