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豕 시
2. 집 家 가
집 宀 면 + 돼지 豕 시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 돋→ 돋다 의 전환을 거쳐 솟아오른 의 뜻이 생겨났고
해서 전문가 專門家 대가大家 명가名家 등의 단어들이 생겨날 수 있었다
6. 심다-곡식-농사 稼 가
벼 禾 화 + 집 家 가
벼 + 집 으론 심다-곡식-농사 를 나타낼 수 없다
벼 禾 화 에서 벼는 곡식의 총칭으로
집 家 가 를 집 면 + 돼지 豕 시 로
돼지 豕 시 에서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므로
이 돝에서 돋다-두드러지다 로
곡식이 뛰어난 집 (농업 연구소나 농대 같은 곳) 을 그려
심다-곡식-농사 를 나타냈다
7. 새길 刻 각
돼지 亥 해 + 칼 〢 도 방
돼지 + 칼 로는 새긴단 뜻을 그려낼 수 없다
돼지의 우리 말 '돝'을 '돋우다'로 전환시켜
'칼로 돋우다'를 그려내어
'새기다'를 나타냈다
76. 크게 웃다 (大笑)-껄껄 웃는 소리 (笑聲)-입 벌리다 (口開) 噱 갹
입 口 구 + 원숭이 豦 거
입 + 원숭이 론 ‘크게 웃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원숭이 豦 거’ 를
‘범 虎 호 + 돼지 豕 시’ 로
‘범 虎 호’ 는 큰 소리를 나타냈고
‘돼지 豕 시’ 의 우리 말은 ‘돝’ 으로 돝다-돋다-두드러지다 의 전환을 거쳐
‘입 (소리) 를 두드러지게 크게 하다’ 를 그려
‘크게 웃다 (大笑)-껄껄 웃는 소리 (笑聲)-입 벌리다’ 를 나타냈다
78. 겁내다 懅 거
마음 심 변 + 호랑이 虍 호 + 돼지 豕 시
돼지 豕 시 – 돼지의 옛말인 ‘돝’에서 돝보이다 – 두드러지다
호랑이가 두드러지게(명확하게) 보일 때의 마음
즉 겁내다 를 그린 문자다
돼지를 돝이라고 부르던 민족이 만든 문자다
81. 울타리 (蕃籬) 㯫 거
나무 木 목 + 원숭이 豦 거
‘나무 + 원숭이’ 론 ‘울타리’ 를 나타낼 수 없다
‘원숭이 豦 거’ 를
‘범 虎 호 + 돼지 豕 시’ 로
‘범 虎 호’ 는 ‘눈에 확 띄게’ 로 나타냈고
‘돼지 豕 시’ 의 우리 말은 ‘돝’ 으로 돝다-돋다-높다 의 전환을 거쳐
‘눈에 확 띄게 높은 나무’ 를 그려
‘울타리’ 를 나타냈다
82. 빠르다, 급하다 遽 거
책받침(가다, 달리다) + 범 虎 호 + 돼지 豕 시
가다 + 호랑이 + 돼지 로는 급하다나 빠르다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豕 시 – 돼지의 옛말인 ‘돝’에서 돝보이다 – 두드러지다’ 로 전환하면
‘호랑이가 두드러지게 달리다’ 로
빠르다 를 그려낼 수 있고
빨리 달리는 모습에서
급히 달리는 모습으로도 전환시킬 수 있다
호랑이가 빨리 달리는 모습에
두려워하다 란 뜻 또한 그려낼 수 있다
돼지를 돝이라고 부르던 우리 민족이 만든 문자다
82-1. 술 잔치 (會飮酒); 술 추렴 (會錢飮酒) 醵 거-갹
닭-술 酉 유 + 원숭이 豦 거
‘술 + 원숭이’ 론 ‘술 잔치’ 를 나타낼 수 없다
‘원숭이 豦 거’ 를
‘범 虎 호 + 돼지 豕 시’ 로
‘범 虎 호’ 는 ‘눈에 확 띄게’ 로 나타냈고
‘돼지 豕 시’ 의 우리 말은 ‘돝’ 으로
돝다-돋다-두드러지다-많다 의 전환을 거쳐
‘눈에 확 띄게 많은 술’ 를 그려
‘술 잔치’ 를 나타냈다
달릴 走 주 + 원숭이 豦 거
‘달리다 + 원숭이’론 ‘범하다’를 나타낼 순 없다
‘달릴 走 주’ 의 ‘달리다’ 는 ‘매달려지다’ 는 뜻도 있다 해서 ‘묶다’ 로 전환하고
‘원숭이 豦 거’ 를
‘범 虎 호 + 돼지 豕 시’ 로
‘범 虎 호’ 는 ‘범하다’ 로
‘돼지 豕 시’ 의 우리 말은 ‘돝’ 으로 돝다-돋다-두드러지다 의 전환을 거쳐
‘묶어 두드러지게 범하다’ 를 그려
‘범하다’ 를 나타냈다
366. 달아나다 遯 둔
쉬엄쉬엄갈 辵 착 + 돼지 豚 돈 으로 풀이하면
달아나다 가 그려질 수 없고
쉬엄쉬엄갈 辵 착 + 달 月 월 + 돼지 豕 시 로 풀어
돼지 豕 시 를 우리 말 돝 으로 다시 도드라지게
달 月 월 을 달다 에서 달아
쉬엄쉬엄갈 辵 착 에서 가다 로 전환해
도드라지게 달아나다 를 나타냈다
470. 어두울 冡 몽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덮다 + 하나 + 돼지 로는 ‘어두울’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돋아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1. 말 분명치 않다 ? 몽
입 口 구 +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입 + 풀 + 덮을 + 하나 + 돼지 으로는
말 분명치 않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입에서 돋아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말 분명치 않다 를 나타냈다
472. 어릴 蒙 몽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풀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어리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즉
아직 덜 나온 것을 그려
어리다 를 나타냈다
473. 덮을 幪 몽
수건 巾 건 + 초 두 머리 サ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수건 + 풀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덮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 것을 수건(베)로 덮다 를 그려
덮다 를 나타냈다
474. 어두울 懞 몽
마음 심 변 + 초 두 머리 サ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마음 + 풀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마음이) 어둡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나오는 하나의 마음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마음이)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5. 어두울 (동이 트다) 曚 몽
날 日 일 + 초 두 머리 サ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날 + 초 두 머리 + 덮을 + 한 + 돼지 로는
동이 트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 돋아 나오는 해를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동이 트다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6. 이슬비 溕 몽
물 수 변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물 + 덮을 + 한 + 돼지 로 이슬비 를 나타낼 순 없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듣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서 물이 듣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하늘에서 내리는 물을 모두 가릴 순 없으므로)
이슬비 를 나타냈다
477. 가랑비 濛 몽
물 수 변 +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물 + 풀 + 덮을 + 한 + 돼지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듣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서 물이 듣어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하늘에서 내리는 물을 모두 가릴 순 없으므로)
가랑비 를 나타냈다
478. 지는 달빛이 어른거리다 (흐리다) 朦 몽
달 月 월 +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달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지는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를 나타낼 순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서 돋아 나오는 달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를 나타냈다
479. 청맹과니 矇 몽
눈 目 목 +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눈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청맹과니 를 나타낼 순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좋은) 눈을 하나 로 덮어 가리다 를 그려
청맹과니 (눈은 멀쩡히 뜨고 있는데 앞을 못 보는 사람)
를 나타냈다
480. 싸움배 艨 몽
배 舟 주 +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배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싸움배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치고 오르다→치고 오다→치며 오다) 의 전환으로
치며 오는 배를 덮어 가리는 것을 그려
싸움배 를 나타냈다
481. 말이 불분명하다 (言蒙) 몽
말씀 言 언 + 초 두 머리 サ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말씀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말이 불분명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廾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말이 돋아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말이 불분명하다 를 나타냈다
648-1. 형상 象 상
빛날-흩어지다 奐 환 + 돼지 豕 시
돼지의 우리말은 돝으로
돝을 돋은으로
돋은에서 두두러진
두드러지게 빛나다를 그려 형상을 나타냈다
648-2. 형상 像 상
사람 인 변 亻 + 빛날-흩어지다 奐 환 + 돼지 豕 시
돼지의 우리말은 돝으로
돝을 돋은으로
돋은에서 두두러진
사람이 두드러지게 빛내다를 그려 형상을 나타냈다
사람이 만든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666. 난리에 불지르다 燹 선
돼지 豕 시 + 돼지 豕 시 + 불 火 화
돼지 + 돼지 (많은 돼지) + 불 로는
난리에 불지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의 우리 말은 ‘돝’ 이다
돝을 돋우다 로 전환시켜
돼지 豕 시 돋우어진 곳에 (화-싸움을 돋우다)
불 火 화 - 불을
돼지 豕 시 – 돋우다
싸움이 일어난 곳에 불을 돋우다 를 그려
난리에 불지르다 를 나타냈다
759-1. 서까래 椽 연
나무 木 목 + 단 彖 단
'단 彖 단' 은 판단하다, 점치다, 역에서 각 괘의 총론을 말한다
'돼지 豕 시' 와 '돼지머리彑 계'
로 돼지를 그려 놓은 것으로
'나무 + 돼지' 나 '나무 + 판단하다' 론 서까래의 뜻이 없고
돼지의 우리 말인 돝을 써서 돋울로 전환하여야만
서까래를 표현할 수가 있다
(돋우다 : 밑을 괴어 높아지게 하다)
서까래 : 彑집의 머리인 지붕의 양 옆에서 가운데로 豕높아지게 세운 木나무로 만든 것
돼지를 그려 놓고 돋우다를 나타낼 수 있는 민족은 우리뿐!
849-2-1-3. 초목에 열매 다닥다닥 맺히다 甤 유
돼지 豕 시 + 날 生 생
'돼지 豕 시'의 돼지를 돝→도드라지다→두드러지다
'두드러지게 낳다'를 그려냈다
해서 '초목에 열매 다닥다닥 맺히다' 를 나타냈다
849-3-나. 굳세다 毅 의
설 立 립 + 돼지 豕 시 + 창 殳 수
세우다 + 돼지 + 창
으로는 굳세다의 뜻이 그려지지 않는다
돼지→돝(돼지의 고자)→돋우다→높다 로 전환시켜
'창을 높이 세우다'를 그린 것으로
굳세다를 나타냈다
우리 민족만이 만들 수 있는 문자다
886. 말뚝-표목 櫫 저
돼지 猪 저 + 나무 木 목
돼지 + 나무 로는 말뚝 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 猪 저 의 돼지의 우리 말인 돝 을 써
돝 을 돋은 으로 전환해
돋은 나무 를 그려
말뚝 을 나타냈다
887. 물이 고이다 潴 저
물 水 수 변 + 돼지 猪 저
물 + 돼지 로는 물이 고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猪 저 의 돼지의 우리 말인 돝 을 써
돝 을 돋은 으로 전환해
물이 돋아 나오다 를 그려
물이 고이다 를 나타냈다
888. 물이 고이다 瀦 저
물 水 수 변 + 돼지 豬 저
물 + 돼지 로는 물이 고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豬 저 의 돼지의 우리 말인 돝 을 써
돝 을 돋은 으로 전환해
물이 돋아 나오다 를 그려
물이 고이다 를 나타냈다
998. 무덤 冢 총
‘무덤 塚 총’ 은 冢의 속자
덮어가릴 冖 멱 + 돼지 豕 시 + 점 丶 주
덮어가리다 + 돼지 + 점 (마치다) 로는
무덤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 豕 시’ 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높이) 돋우다 로 전환해
‘높이 돋우어 멈추고 덮은 것’ 을 그려
무덤을 나타냈다
‘무덤 冢 총’ 의 뜻을 보강하기 위해
속자인‘무덤 塚 총’으로
‘높이 돋우어 멈추고 흙으로 덮어가리다’ 를 그려
‘무담’ 을 나타냈다
1064. 지경-경계 垓 해
흙 土 토 + 돼지 亥 해
흙 + 돼지 론 경계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지다 의 변화를 거쳐
두드러진 땅 을 그려
지경-경계 를 나타냈다
1065. 많다 㚊 해
많을 多 다 + 돼지 亥 해
많다 + 돼지 론 돼지가 많다 는 나타낼 수 있지만
일반적인 많다 는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지다 의 변화를 거쳐
두드러지게 많다 를 그려
(두드러지게) 많다 를 나타냈다
1066. 백조 姟 해
계집 女 녀 + 돼지 亥 해
여자 + 돼지 론 백조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지다 의 변화를 거쳐
두드러진 (두드러지게 예쁜) 여자 를 그려
백조 를 나타냈다
1067. 어린 아이가 웃다-어린 아이 孩 해
아(이)들 子 자 + 돼지 亥 해
아(이)들 + 돼지 론 해하고 웃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음인 해 를 사용해
아이가 해 (하는) 소리를 내다 를 그려
아이가 웃다 를 나타냈다
1068. 괴롭다 㤥 해
마음 心 심 변 + 돼지 亥 해
마음 + 돼지 론 괴롭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돋친 의 변화를 거쳐
(가시) 돋친 마음 을 그려
괴롭다 를 나타냈다
1069. 층계 陔 해
언덕 阜 부 + 돼지 亥 해
언덕 + 돼지 론 층계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돋친-도진-다진 의 변화를 거쳐
돋친 언덕 을 그려
층계 를 나타냈다
1070. 땅 끝진 곳 畡 해
밭 田 전 + 돼지 亥 해
밭 + 돼지 론 땅 끝진 곳 을 나타낼 수 없다
밭 田 전 의 밭 은 바깥쪽 으로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진 의 변화를 거쳐
바깥쪽의 두드러진 곳 을 그려
땅 끝진 곳 을 나타냈다
1071. 눈 큰 모양 䀭 해
눈 目 목 + 돼지 亥 해
눈 + 돼지 론 눈 큰 모양 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진 의 변화를 거쳐
두드러진 눈 을 그려
눈 큰 모양 을 나타냈다
1072. 일어나다 (立亥) 해
설 立 립 + 돼지 亥 해
서다 + 돼지 론 일어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 의 변화를 거쳐
돋아(‘처음으로 솟아 오르다’는 뜻) 서다 를 그려
일어나다 를 나타냈다
1073. 급히 가다 (足亥) 해
발 足 족 변 + 돼지 亥 해
발(을 쓰다) + 돼지 론 급히 가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진 의 변화를 거쳐
두드러지게 발을 쓰다 를 그려
급히 가다 를 나타냈다
1074. 놀라다 䠹 해
몸 身 신 + 돼지 亥 해
몸 + 돼지 론 놀라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 의 변화를 거쳐
몸에 (소름) 돋다 혹은
몸이 돋다(벌떡 일어나다) 를 그려
놀라다 를 나타냈다
1075. 거리끼다 輆 개 (본음은 해)
수레 車 거 + 돼지 亥 해
수레 + 돼지 론 거리끼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진 의 변화를 거쳐
(거리에) 수레가 두드러지다
즉 (거리에) 수레가 많아
수레로 거리가 꽉 찬 모양 을 그려
거리에 수레가 끼어 있다 를 그려
거리(에 수레가) 끼(어 있)다 즉 거리끼다 를 나타냈다
1076. 턱 頦 해
돼지 亥 해 + 머리 頁 혈
돼지 + 머리 론 턱 을 나타낼 수 업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돋우다 의 변화를 거쳐
머리를 돋우는 것 을 그려
턱 을 나타냈다
1077. 놀라다-흩어지다 駭 해
말 馬 마 + 돼지 亥 해
말 + 돼지 론 놀라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 (벌떡 일어나다) 의 변화를 거쳐
말이 벌떡 일어나다 를 그려
놀라다 를 나타냈다
1081. (주로 살이 없는) 뼈 骸 해
뼈 骨 골 + 돼지 亥 해
뼈 + 돼지 론 ‘살이 없는 뼈’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두드러지다 변화를 거쳐
‘뼈만 두드러지다’ 를 그려
‘살이 없는 뼈’ 를 나타냈다
1084. 힘쓰다 劾 핵
돼지 亥 해 + 힘 力 력
돼지 + 힘 으론 힘쓰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돼지 亥 해 의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에서 돝다-돋다-돋우다 의 변화를 거쳐
힘을 돋우다 를 그려
힘쓰다 를 나타냈다
1089. 호걸 豪 호
높을 高 고 의 변형 + 돼지 豕 시
높다 + 돼지 론 호걸 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돝→돋→돋다→두드러지다 의 전환으로
두드러지게 높다 를 그려
호걸 을 나타냈다
1093-1. 들불 燹 화
돼지 豕 시 + 돼지 豕 시 + 불 火 화
돼지 + 돼지 (많은 돼지) + 불 로는
들불 을 나타낼 수 없다
돼지의 우리 말은 ‘돝’ 이다
돝을 돋우다 로 전환시켜
돼지 豕 시 돋우어진 곳에
불 火 화 - 불을
돼지 豕 시 – 돋우다
계속 돋우어지는-일어나는 불 을 그려
들불 을 나타냈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들 入 입 (0) | 2018.11.07 |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되돌릴 反 반 (0) | 2018.11.07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도타울 敦 돈 (0) | 2018.11.05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도깨비 불 燐 린 (0) | 2018.11.05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달릴 走 주 (0) | 2018.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