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로울 義 의
양 羊 양 + 나 我 아
양 羊 양 양은 대량으로 방목하기 때문에 많음을 나타내고
나 我 아 긴 창을 나타내는 창 戈 과 + 손에 들고있는 짧은 무기를 나타내는 手 로
대량의 무기를 그려 의로움을 나타냈다
많은 혹은 강력한 무기로 의로움이나 당연함을 나타낸 또 다른 예는
‘홍익인간의 홍’ 으로
‘클 弘 홍’ 이 ‘활 弓 궁 + 나를 의미하는 사사 厶 사’ 로
‘나의 활’ 을 그려 ‘크다' 를 나타냈는데
이는 ‘나의 활은 커야한다' 는 의미로 볼 수 있다
**. 義士 의사
*. 사전적으론
의리와 지조를 굳게 지키는 사람 혹은재물을 보시하는 사람
*.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무력으로 싸우다 의롭게 죽은 사람
*. 국가보훈처는
"무력(武力)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 이라 정의했다
열사’를 ‘맨몸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이라 정의했다.
*. 세차다 - 찢어지다 烈 렬
벌릴 列 렬-열 + 불 화 발 灬
'불로 벌이다 혹은 불 위에 벌이다' 를 그려
'불이 세찬 것과 불로 (뼈와 살을) 벌리다' 를 나타냈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벌릴 列 렬-열' 을 자세히 살펴보면
767. 벌릴 列 렬-열
앙상한 뼈 歹 알 + 칼 〢 도 방
'뼈 추리다'는 그림을 그린 것으로
가. 뼈와 뼈 사이의 틈을 넓힌다는 갈라 놓는다는 뜻과
나. 뼈를 추려 가지런히 정리해 놓으면
뼈와 뼈 사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無에서
무한대로 커질 수 있다
우리 말 벌리다의 뜻이
가. 틈을 만든다 처럼 없거나 적은 공간을
두 물체 사이를 갈라 놓아 만든다는 뜻과
나. 돈을 벌다 처럼 한 물체가 無에서
무한대로 커질 수 있는 것과 같다
우리 말의 '벌리다'의 뜻으로 인해
한 문자로 '갈라 놓다'란 뜻과 '넓히다'란
두 가지 다른 뜻을 표현할 수 있었다
**. 烈士 열사
*. 사전적으론
이해나 권력에 굽히지 않고 節義 절의를 굳게 지키는 사람
*.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뼈가 갈라지고 (살이) 태워지면서도 의로움과 절개를 지킨 사람
*. 국가보훈처는
"맨몸으로써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 이라 정의했다
*. 뜻 志 지
선비 士 사 + 마음 心 심 혹은갈 之 지 의 변형 +
마음 心 심
'선비 士 사' 는
'창의 모양을 그린 열 十 십 + 흙을 그린 한 一 일' 로
'땅에 창을 박아 사람들을 모아 결정한 뜻을 사람들에게 나타내다' 를 그려
'마음을 정해 뜻을 펼치려 하다' 를 나타냈다
'갈 之 지 의 변형' 으로 해석해도
'갈 之 지' 는 발이 움직여 가다 목적지에 멈춘 그림으로
정했다를 나타내기도 한다
해서 '뜻 志 지' 는
'마음을 정하다' 를 나타낸 것이다
**. 志士 지사
*. 사전적으론
고매한 뜻을 품은 사람으로
의를 지키는 사람
나라에 충성하는 사람
救世 구세의 뜻이 있는 사람
*.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마음이 확고하게 정해져 있는 사람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붉을 赤 적 (0) | 2019.06.16 |
---|---|
침-가를 咅 부 (0) | 2019.06.13 |
眞情性 진정성 (0) | 2019.05.21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반드시 必 필 (0) | 2019.05.11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반 半 반 (0) | 201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