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眞情性 진정성
아직 사전엔 등재되지 않았다고 하며
보여지지 않은 마음과 보여지는 마음의 표현이 항상 하나인 것
이라 볼 수 있겠다
예를 들어
일본 정부가 대한민국에 과거사에 대해 수차레 사과했으니 더는 사과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수 차레에 걸쳐 형식을 갖추어 사과한다 표현했으니
더 이상은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은 형식을 갖추어 사과함과 동시에
우리 영토인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해왔고
급기야는 역사교과서에 마져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표기하는 등
다음 세대에게 한일간 반목의 불씨를 심고 있다
그들의 형식을 갖춘 사과는
겉과 속이 다른 진정성이 없는 사과였던 것이다
*. 眞
匕 변화하는 것을 + 目 눈으로 보는 것 + ? 똑바로 + ㅣㅣ 받든다
眞實은 변화하는 것을 눈으로 똑바로 보는 것을 받드는(중요시하는) 행위
변화하는 각각의 부분의 행위도 중요시한 것이다
*. 뜻-마음 속-욕망 情 정
마음 심 변 忄 + 푸를 青 청
'마음 + 푸르다' 론 뜻-마음-욕정을 나타낼 수 없다
'푸를 青 청' 을 '예쁠-겹칠 丰 봉 + 고기 육 변 月' 으로 보면
'마음 심 변 忄+ 예쁠-겹칠 丰 봉 + 고기 육 변 月' 로
'살이 겹칠 때의 마음' 을 그려
욕망-뜻-속 마음을 나타냈다
문자가 보여주는 뜻은 ‘살이 겹칠 때의 마음’ 이지만
‘살을 겹치게 하고 싶은 마음' 역시 情 에 포함된다고 하겠다
여기서 살이 겹쳐진다는 것은
식욕-색욕-수면욕-재물욕-명예욕 등
인간이 가지는 모든 욕구를 의미하는 것이다
해서 情 정은 현실적으로 보여지는 것을 말한다
*. 성품-성 性
마음 심 변 忄 + 날 生 생
마음이 낳는 것
마음이 내놓는 것
으로 현실에선 보여지지 않는 마음을 말한다
해서 진정성이란
보여지지 않은 마음과 보여지는 마음의 표현이 항상 하나인 것
을 말한다고 할 수 있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가를 咅 부 (0) | 2019.06.13 |
---|---|
義士 의사 烈士 열사 志士 지사 (0) | 2019.06.08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반드시 必 필 (0) | 2019.05.11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반 半 반 (0) | 2019.05.11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바칠 貢 공 (0) | 201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