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統 전통’은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ㆍ관습ㆍ행동 따위의 양식’
‘慣習 관습’은 ‘어떤 사회에서 오랫동안 지켜 내려와
그 사회 성원들이 널리 인정하는 질서나 풍습’으로 풀이되어 있다
-표준 국어 대사전-
**. 傳統 전통
897-0-1. 전할 傳 전
사람 人 인 변 + 오로지 專 전
사람 + 오로지 론 전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오로지 專 전 은
물레 전 + 규칙 寸 촌
물레 전 의 물레 를 물려 로 전환해
사람이 물려준 규칙이 될 만한 것-사람이 규칙이 될 만한 것을 물려주다 를 그려
물려주다 를 나타냈다
*. 큰 줄기 統 통
실 사 변 糸 + 가득할 充 충
가득할 充 충
돼지 해 머리 ┴ 두 + 진실로 允 윤
눌러 가리다 + 진실
즉 진실을 눌러 가리려 하면
진실은 결국 널리 널리 퍼져 세상 가득하게 된다는 뜻의 조자
해서 傳統 전통이란 사람-조상이 물려준 널리 퍼진 규칙이 될 만한 것
**. 慣習 관습
*. 익숙하다-버릇 慣 관
마음 심 변 忄 + 꿸 貫 관
마음에 꿴/마음에 새겨진/마음에 익숙한
*. 익힐 習 습
'깃 羽 우 + (훈련이 되지 않은 이-초보자 白 백) 을 '코-나' 를 나타내는 스스로 自 자'
로 보기도 하지만
'깃 羽 우 + 훈련이 되지 않은 이-초보자 白 백' 로 해석해
'초보자 + '날다' 를 나타내는 날개' 를 그려
초보자가 익히지 않고는 날 수 없으므로
'익히다' 를 나타냈다
해서 慣習 관습이란 온전히 익숙하진 않지만 배워서 마음에 익숙해진 것
전통과 관습은 비슷하지만 다른데
전통은 관습에 비해 더 오랜 기간 동안 그리고 더 널리 행해져 왔고
전통은 더 큰 범주를 관습은 상대적으로 작은 범주를 다루고
전통은 관습에 비해 더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것이 그 차이가 아닌가 한다
예를 들면
윷놀이는 설날의 전통 놀이 방법이지만
놀이의 도구와 방법은 변해왔다고 볼 수 있는데
각각의 도구와 방법은 관습이라 볼 수있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燃料 연료 (0) | 2019.06.24 |
---|---|
結婚 결혼과 結合 결합 (0) | 2019.06.20 |
性 성, 人性 인성, 人間性 인간성 (0) | 2019.06.17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새 한 마리 隻 척 (0) | 2019.06.17 |
한자라 불리는 문자의 근원은 우리 말, 새 떼지어 울 喿 조 (0) | 201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