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史覽 사람, 사람 人 인, 人間 인간

*. 사람은 스스로 인간임을 인정해야 사람

史覽 사람이란

역사 史 사 + 볼 覽 람

어제를 보는 즉 기억하는 동물을 가리킨다

어제를 기억하지 못하면 사람으로 간주되기 어렵다

 

사람人인

사람이 팔을 뻗고 있는 모습이라 옥편은 설명하지만

두 사람이 서로 의지하고 사는 모습을 그린 것에 더 가깝다

불안정한 한사람 ノ +  불안정한 한사람 

불안정해 보이는 두사람이 모여

陽 양과 陰 음이 모여 안정되어 보이는 人 사람이 된다



틈 間 간

'사람人인' 에 더해 人間인간이란 단어가 나온 것은

서로 의지해야 사는 사람들 사이에도 틈이 있을 수 밖에 없음을 그린 것이다

한시라도 떨어져선 살 수 없을 것 같은 연인사이에도

異見 이견이 있고 다툼이 있다

인공지능 로봍이 만들어지는 현대에 적용해보면

사전에 프로그램된 대로만 행동해서 예측이 가능한 로봍이 아닌

사람은 모두가 다를 수 있는 존재임을 나타낸 것이기도 함을 그린 것이다

 

혼자라면

'틈' 즉 '이견' 이란 것이 있을 수가 없다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인간임을 인정하며

어제를 거울삼아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만들기 위해

오늘을 살아가는 것이 인간임을

'史覽 사람, 사람 人 인, 人間 인간' 이 잘 보여주고 있다

틈 間 간

문 門 문 + 해 日 일

로 문틈 사이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그린 것으로

본자는 閒

문 門 문 + 달 月 월로 문틈 사이로 달빛이 들어오는 것을 그린 것으로

후에 閒이 한가하다의 뜻으로도 쓰이면서

間으로 틈을 나타내게 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