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빌 空 공

빌 空 공


189. 정성스러울 悾 공

마음 심 + 빌 空 공

'비어있는 마음' 은 사심이 없음을 그렸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정성' 을 그렸다고 볼 수는 없다

'빌 空 공' 을 옥편에서 찾아보면

비어있다 (허공)

공간

구멍 등의 뜻이 있다

그러나 우리 말을 하는 사람이라면

빌다로여러가지 다른 뜻들도 나타낼 수 있는데

그 중 한 가지가 기원하다-치성드리다 이다

'정성 悾 공' 은 결국 치성드리는 마음을 그린 것으로

'빌 空 공' 을 비어있다-비다에서 '치성드린다' 는 '빌다' 로 전환시킨 것이다

우리 말을 모르고선 만들 수 없는 문자다


190.  가는 비

물 수シ변 + 빌 空 공

빌→ 빈

빈 물→ (머리 빗처럼 가는) 빗 물

해서 빗 물 로 가는 비 를 나타냈다


192. 치다

빌 空 공 + 창 殳 수

빌 空 공 에서 공 을

창 殳 수 의 창에서 기능인 치다 를 써서

공 치다 를 그려 치다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