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文化 문화/明文化 명문화

일제의 침략전에는 지금 우리가 쓰는 의미의 文化 문화란 단어는

쓰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조실록에도 보이듯 ‘明文化 명문화’ 란 단어는 쓰였다

이 ‘明文化 명문화’ 는 지금도 우리가 쓰고 있고 그 의미도 같다

明文化 명문화되었다는 것은 문서로 만들어 명백하게 되었다란 뜻으로

한 사회나 공동체에서 공통으로 인정되는 생활의 모양으로 볼 수 있겠다

Culture 의 어원이

라틴어의 “가꾸고 경작한다”는 뜻의 쿨투라 Cultura 에서 시작되어

16~17세기 영어와 불어의 culture, 독일어의 Kultur 이고

그 뜻이

특정 시대의 특정인들의 보편적 생활양식이라며

일본인들의 번역이 잘못되었다고 새로운 번역어를 찾아야한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文化 문화란 明文化 명문화될 정도로

한 사회나 공동체에서 공통으로 인정되는 생활양식으로 설명한다면

文化 문화란 단어의 어원을 明文化 명문화로부터 유추해 볼 수 있겠다

일본인들이 번역어를 만들었다 해도

결국 조선의 문자 생활 영역 안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조선의 문자에서 따온것이 아니겠는가?

 

文明 문명

*. 사전적 의미들을 살펴보면

  1. 文彩 문채가 있고 빛남

  2. 덕이나 교양이 갖추어져 훌륭함

  3. 인류가 이룩한 물질적·기술적·사회구조적인 발전,

자연 그대로의 원시적 생활에 상대하여 발전되고 세련된 삶의 양태를 뜻한다.

흔히 문화를 정신적·지적인 발전으로,

문명을 물질적·기술적인 발전으로 구별하기도 하나

그리 엄밀히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문자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

빛나다 文 문 + 밝을 明 명

특정 시대와 장소에서 빛나고 밝았던 것 즉 뛰어났던 것

혹은 특징적인 것으로 볼 수도 있겠다

 

문자가 의미하는 바대로

고구려 문명을 극도로 간단히 표현해보면

고구려 문명은

건국 신화가 있고

구백여년의 역년을 자랑하며

왕족-귀족-평민-노비의 신분제도가 있었으며

산업은 농업을 위주로 했으며

한나라-남북조-당나라의 침략에 맞서야 했으므로

전략전술-무기-축성술이 뛰어났었고

발해가 가림토문을 사용했다는 학설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구려도 가림토문을 사용했을 개연성이 있다

세계 어느 나라의 문명을 기술할 때도

등장할 수 있는 것들인데

꼭 물질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고

특정 시대-특정지역을 설명하기 위한 몇가지 특징적인 것들이라고

볼 수 있겠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胎於 나다 태어나다  (0) 2021.02.11
儒學 유학  (0) 2021.01.14
遺傳 유전과 流轉 유전  (0) 2021.01.03
宗敎 종교와 religion  (0) 2020.12.29
平和 평화의 반대말은 전쟁이 아니다  (0) 2020.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