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기를 - 기쁠 台 이' 가 들어간 자

*. 기를 - 기쁠 台 이

사사 厶 사 + 입 口 구

‘개개인의 입' 을 그려

'개개인의 즉 자신의 입부터 채운다 즉 기른다' 를 나타냈고

'기른다' 에서 '기쁘다 - 베풀다 - 나 - 늙은이' 등의 뜻으로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 처음 始 시

계집 女 녀 + 기를 台 이

'여자가 (뱃속에서부터) 길렀다' 를 그려

'처음' 을 나타냈다

 

*. 처음 乨 시 ('처음 始 시' 의 옛자)

기를 台 이 + '새 을' 의 변형乚

'새 을' 의 변형乚 에서 '날아다니는 새' 를

‘새롭다' 는 ‘새' 로 변환해

‘새로 기르다' 를 그려

'처음' 을 나타냈다고 볼 수도 있겠다

 

*. 처음 兘 시 ('처음 始 시' 의 옛자)

으뜸 元 원 (二儿) + 기를 台 이

'으뜸 元 원' 은  '두 二 이 + 사람 인 발 儿' 로

'두 사람이 즉 부모가 키우다' 를 그려

'처음' 을 나타냈다

 

*. 유인하다 (台見) 시

나 台 이 + 볼 - 보게 하다 見 견

'나를 보게 하다' 를 그려

‘유인하다' 를 나타냈다

 

*. 기르다 - 먹이다 飴 시

밥 식 변 飠 + 기를 -기뻐하다 台 이

'飠' 은 '먹거리의 총칭' 으로 볼 수도 있고

'먹거리로 기르다’ 를 그려

'기르다 - 먹이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불릴 冶 야

얼음 - 얼다 冫 빙 + 기를 台 이

'얼음을 기르다' 를 그려

'불리다' 를 나타냈다

'꾸미다 - 예쁘다 - 요염하다 - 쇠를 불에 달구다 - 단련하다 - 대장장이' 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 기뻐하다 怡 이

마음 심 변 忄 + 기를 台 이

'기르는 마음' 을 그려

'즐겁다 - 기쁘다' 등을 나타냈다

 

*. 작은 독 - 뚝배기 瓵 이

기를 台 이 + 질그릇 瓦 와

질그릇을 기른 것 즉 ‘질그릇의 크기를 키운 것' 을 그려

'작은 독 - 뚝배기' 를 나타냈다

 

*. 눈 치뜨다 - 눈 똑바로 뜨고 보다 - 놀라서 보는 모양 眙 이

눈 目 목 + 기를 台 이

눈을 기르다 즉 '눈의 크기를 크게 하다' 를 그려

'눈 치뜨다 - 눈 똑바로 뜨고 보다 - 놀라서 보는 모양' 을 나타냈다

 

*. 말을 전하다 (속이다) 詒 이 (태)

말씀 言 언 + 기를 台 이

말을 기르다 즉 '말을 퍼뜨리다' 를 그려

'말을 전하다' 를 나타냈고

말을 기르다 즉 '말을 불리다' 를 그려

'속이다' 를 나타냈다

 

*. 주다 - 증여하다 - 남기다 - 끼치다 貽 이

조개 貝 패 + 기를 - 기쁘다 - 베풀다 台 이

'貝’ 는 재산을 나타낸다

‘台' 는 '기르다' 에서 시작해

'(사람 -동식물을) 기르니 기쁘고

길러서 기쁘니 타인과 함께 나누고 싶어 베풀게 된다'

해서 '재산을 베풀다' 를 그려

‘주다 - 증여하다 - 남기다 - 끼치다' 를 나타냈다

 

*. 엿 飴 이

밥 식 변 飠 + 기를 -기뻐하다 台 이

'飠' 은 '먹거리의 총칭' 으로 볼 수도 있고

'물건을 기르다' 는 '물건을 가공하다' 로 볼 수도 있으니

'기쁘게 하는 먹거리’ 혹은 '가공한 먹거리' 를 그려

'엿'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다스리다 乿 치 (古字)

손톱 爪 조 + 실 絲 사 변 +새 乚 을

새 발에 실을 묶어 다스리다

*. 다스릴 治 치

물 수 변 氵+ 기를 台 이

'물을 기르다' 를 그려

‘물을 다스리듯이

민심이 흐르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 다스림' 임을 나타냈다

 

 

*. 아이 배다 孡 이

아이 子 자 + 기를 台 이

'길러야 할 아이' 를 그려

'아이 배다' 를 나타냈다

 

*. 들다 - 치다 抬 이

손 수 변 扌 + 기를 - 베풀다 台 이

'손으로 베풀다' 를 그려

'들다 - 치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게으를 怠 태

늙다 - 늙은이 (기를) 台 대 (이) + 마음 心 심

(만사에 서두름이 없고 느긋한) 늙은이의 마음

을 그려 ‘게으르다’ 를 나타냈다

혹은

기르는 이의 마음은 꾸준히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기르는 마음' 을 그려

'꾸준하다' 를 나타내고

그 의미를 '게으르다' 까지 확장했다고 볼 수도 있겠다

 

*. 아이배다 囼 태

에울 口 위 + 기를 台 이

'길러야할 (생명) 을 둘러싸고 있다' 를 그려

'아이 배다' 를 나타냈다

 

*. 아이를 배다 胎 태

고기 육 변 月 + 기를 台 이

길러야 할 고기 즉 ‘길러야 할 몸 즉 생명' 을 그려

'아이를 배다' 를 나타냈다

 

*. 위태로울 殆 태

죽을 사 변 歹 + 기를 台 이

'죽음을 기르다' 를 그려

‘위태롭다' 를 나타냈다

 

*. 이끼 苔 태

풀 초 머리 艹 + 잇다 - 계승하다 台 대

이끼의 생명력을 표현한 것으로

'풀 + 계승하다' 즉 '계속 나오는 풀' 을 그려

'이끼'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海苔 해태 : 김

 

*. 미치다 - 이르다 迨 태

쉬엄쉬엄 갈 착 변 辶 + 늙다 台 대

'늙어가다' 를 그려

‘미치다 - 이르다' 를 나타냈다 

 

*. 볼기를 치다 - 매질하다 笞 태

대 竹 죽 + 기를 台 이

'竹' 은 '대나무 회초리' 를 나타내

'생명체를 기름에 회초리질을 하다' 를 그려

'볼기를 치다 - 매질하다' 를 나타냈다

 

*. 죽순 䈚 태

대 竹 죽 + 게으를 怠 태

싹이 나와서 열흘이면 대나무가 되기 때문에

'게으르면 (먹지 못하는) 대 (나무 요리)' 를 그려

'죽순'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실 엉키다 - 속이다 - 의심하다 紿 태

실 사 변 糹 + 베풀다 - 기를 台 이

'실을 베풀다' 를 그려

'실 엉키다' 를 나타냈고

'실 엉키다' 에서 '속이다 - 의심하다' 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

 

*. 차다 - 밟다 - 유린하다 跆 태

발 족 변 ? + 기를 台 이

기르다 ⟶ 변화시키다

발 (의 동작) 을 변화시키다 즉 '발을 움직이다' 를 그려

'차다' 를 나타냈다

 

跆拳道 태권도 : 손과 발을 이용해 공격과 방어를 하는 무도

'跆' 는 발을 이용하고

'拳’ 은 손을 이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 수레 - 수레 바퀴 - 기울어지다 軩 태

수레 바퀴 車 거 + 잇다 (기쁠 - 기를) 台 대 (이)

수레의 바퀴

‘수레 바퀴 (굴대) 를 잇다' 를 그려

‘수레 기울어지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또한 지금으로 치면

‘수레에서 기뻐 날뛰다' 를 그려

‘수레 기울어지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태풍 颱 태

바람 風 풍 + 기를 台 이

'바람을 기른 것' 을 그려

'태풍' 을 나타냈다

 

*. 노둔한 말 駘 태

말 馬 마 + 늙은 ( 기를) 台 대 (이)

'늙은 말' 을 그려

'노둔한 말' 을 나타냈다

 

*. 복어 鲐 태

물고기 魚 어 + 기를 台 이

복어가 놀라거나 적의 습격을 받았을 때

물을 흡입해 몸을 팽창시키는 특징을 고려해

'물고기 + 기르다 ⟶ 커지다' 를 그려

'복어'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