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 마음에 끌리다 - 아리따운 여자 媛 원
계집 女 녀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여인에 끌리다 (당겨지다)' 를 그려 '마음에 끌리다' 를
'당기는 여인' 을 그려 '미인' 을 나타냈다고 볼 수 있겠다
*. 돕다 援 원
손 수 변 扌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援 은 벗에게 손을 내밀다/벗의 손을 당기다
를 그려
돕다
를 나타낸 것이다
*. 물소리 - 물 졸졸 흐르다 湲 원
물 수 변 氵 + 당기다 - 늘어지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 늘어지다' 를 나타낸 것이다
‘물이 늘어지다' 를 그려
'물소리 - 물 졸졸 흐르다' 를 나타냈다
*. 원숭이 猨 원
개사슴 록 변 犭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손을 대는/내미는 동물' 을 그려
'원숭이' 를 나타냈다
*. 떡갈나무 - 신의 모형 (틀) - 실감게 楥 원
나무 木 목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껍질은 염료로 쓰이며
잎은 떡을 쪄먹고
열매인 도토리는 구황식품으로 사용되었고
목재는 다른 참나무처럼 표고버섯을 재배하는데 사용되는”
떡갈나무를 문자로 표현함에
‘(사람에게) 손을 내미는 나무' 로 그려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노리게 - 노리개 띠 禐 원
옷 의 변 礻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옷이 끌어당기는 것' 을 그려
'노리개 - 노리개 띠' 를 나타냈다
*. 대를 끊다 䈠 원
대 竹 죽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대를 당기다' 를 그려
‘대를 끊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원숭이 蝯 원
벌레 虫 훼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손을 대는/내미는 생명체' 를 그려
'원숭이' 를 나타냈다
*. 잊다 - 거짓 - 속이다 諼 원
말씀 言 언 + 늘이다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말을 늘이다' 를 그려
'거짓 - 속이다' 를 나타냈다
*. 얼굴 비뚫다 (爰頁) 원
늘이다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 머리 頁 혈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머리가 늘어지다' 를 그려
'얼굴 비뚫어지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천천히 가다 㣪 완
자축거릴 彳 척 + 늘이다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자축거리다 : 다리에 힘이 없어 잘름거리다
'늘어져 자축거리다' 를 그려
‘천천히 가다' 를 나타냈다
*. 느릴 -느슨하다 緩 완
실 사 변 糹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실을 당기다' 를 그려
'느슨하다 - 느릴'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따뜻할 暖 난
해 日 일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다
*. 따뜻할/따뜻하게 하다 煖 난
불 火 화 + 당기다 爰 원 (손톱 爪 조 + 한 一 일 + 벗 友 우)
('손톱 爪 조 + 한 一 일' 은 '손바닥/손' 을 의미할 수 있겠다)
'당기다 爰 원' 은
'벗에게 손을 대다/내밀다' 를 그려
'당기다' 를 나타낸 것이고
'따뜻할/따뜻하게 하다 煖 난' 은
'불을 당기다' 를 그려
'따뜻할/따뜻하게 하다' 를 나타낸 것이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숙할 肅 숙´ 들어간 자 (0) | 2022.04.27 |
---|---|
野合 야합 과 野望 야망 (0) | 2022.04.26 |
日蝕 일식 과 月蝕 월식 (0) | 2022.04.25 |
恩惠 은혜 - 신세지다 - 恩愛 은애 (0) | 2022.04.25 |
失手 실수 와 失敗 실패 (0) | 202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