恩惠 은혜 - 신세지다 - 恩愛 은애
*. 恩惠 롭다 은혜롭다
사전적으론 "은혜를 입어 매우 고마움을 느끼다"
*. 恩惠 은혜
사전적으론 “사랑으로 끼치는 신세" 라고 한다
*. 어원이 불분명한 '신세' 란
"남에게 도움을 받거나 괴로움을 끼치는 일” 이며
'신세지다' 란 "남에게 도움을 받다"
'新’ 은 '새로이' 이고
‘稅' 는 '보내다' 란 뜻을 갖고 있고
'지다' 는 '책임을 지다' 란 뜻이 있다
해서 '신세지다' 를 '新稅 지다 신세-지다' 로 추정해
'新稅 지다 신세-지다' 는
'새로이 보낼 - 져야할 책임을 지다' 로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은혜 恩 은
에울 口 위 + 큰 大 대 + 마음 心 심
크게 둘러 쌓는 마음
즉 두텁게 보호하는/베푸는 마음
을 그려
‘은혜’ 를 나타냈다
*. 은혜 惠 혜
오로지 - 삼가다 叀 전 + 마음 心 심
'叀' 은 물레를 그린 글자로
물레는 한 방향으로만 돌리게 되어 있다
그래서 전혀 융통성이 없는 것이 물레를 사용하는 규칙임을 그려
‘오로지-제멋대로 하다’ 를 나타냈다
해서 '恩惠' 는 '크게 둘러싸는 방향으로만 향하는 마음' 을 그려
'오직 감싸주는 마음' 을 나타냈다
*. 사랑 愛 애
愛 의 古字 고자인 㤅 + 마음 心 심
이라고도 하고
'줄 受 수' 의 줄임 + 마음 心 심 + 천천히 걸을 夊 쇠
라고도 하는데
'손톱 爪 조 + 덮을 冖 멱 + 마음 心 심 + (방해하는 의미의) 천천히 걸을 夊 쇠' 로
'덮여 있는 마음을 손톱으로 방해한다 즉 (손으로) 행동으로 마음을 열려고 한다'
를 말한다
해서 '恩愛 은애' 란
사전적으론
"은혜와 사랑" 이라고 하고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크게 감싸는 마음으로 닫혀있는 마음을 열려고 하는 행동' 을
말한다고 하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기다 爰 원' 이 들어간 자 (0) | 2022.04.26 |
---|---|
日蝕 일식 과 月蝕 월식 (0) | 2022.04.25 |
失手 실수 와 失敗 실패 (0) | 2022.04.24 |
'오로지 專 전' 이 들어간 자 (0) | 2022.04.23 |
'펴다 - 깔다 - 두루 尃 부' 가 들어간 자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