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 言 언
'口 입에서 나온 것을 立 세우다' 를 그려
(소전체는 '허물 䇂 건' + '입 口 구')
허물 䇂 건 (날카로운 도구로 해석되는 경우도 있다)
'세우다 立 립' + '높게' 를 나타낸 뚫을 ㅣ 곤'
'높게 세우다/내세우다' 를 그려
'허물' 을 나타냈다
해서 '입에서 내놓은 허물' 을 그려
'말씀' 을 나타냈다
*. 말씀 語 어
말씀 言 언 + 글 읽는 소리 吾 오
'말씀 言 언' 은 '口 입에서 나온 것을 立 세우다' 를 그려
'말씀' 을
'글 읽는 소리 吾 오'
하늘과 땅을 그린 '두 二 이' + 힘 力 력 + 입 口 구
(사람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살 수 있도록 해주는 힘 즉 '만유인력' 을 그린
五 + 입에서 나오는 옳은 말을 그린 '입 口 구'
로 '옳은 말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사람이) 생을 영위하게 해준다' 를 그려
'말씀' 을 나타냈다
678. 말씀 說 설
말씀 言 언 + 바꿀 兌 태
말씀 + 바꾸다 로는 말씀 을 나타내기엔 좀 껄끄럽다
말씀 言 언 + 여덟 八 팔 + 맏 兄 형 으로 해석해
맏 兄 형 의 음인 형 을 형태로 전환해
형태를 덮어 가리는 말을 그려
말씀 을 나타냈다
말씀 說 설 로 끝맺는 단어들은 직설을 빼고는
대개가 쉬운 말이 아니다
*. 이야기하다 - 논란하다 談 담
말씀 言 언 + 불꽃 炎 염
‘말씀의 (불) 꽃을 피우다’를 그려
‘이야기하다 - 논란하다’를 나타냈다
불의 기능인 '태우다' 를 써서
'말을 태우고 태우다' 를 그려
즉 '말을 하고 또 (열렬하게) 하고' 를 그려
'이야기하다 - 논란하다'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 말할 話 화
말씀 言 언 + 혀 舌 설
‘말씀 + 혀’로
혀가 움직여 말하는 그림으로 보인다
소전의 모양은 '말씀 言 언 + 막을 (氏 아래 口) 괄' 로
'말' 의 위험함을 의미하는 '말하다' 로 쓰이다
예서부터는
'혀' 의 위험함을 의미하는 '말하다' 로 쓰이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 舌禍 설화란 혀 즉 말로 인한 재앙이란 뜻이다
해서 우린 '혀 舌 설' 이 포함된 말하다란 뜻의
'말씀 話 화' 와 '말씀(話) - 말하다 舙 화' 의 발음과
'재앙 禍 화' 의 발음이 모두
'화' 로 동일하다
그러나 우리 문자를 빌려다 쓰고 있는 지나인들은
'말씀 話 화' 와 '말씀(話); 말하다 舙 화' 의 발음은 "huà"
'재앙 禍 화' 의 발음은 "huò"
다르다
*. 말씀 話 화
말씀 言 언 + 혀 舌 설
지나 발음 huà
*. 재앙 禍 화
보일 示 시 변 礻 + 입 삐뚤어질 咼 와 (괘)
지나 발음 huò
*. 말씀(話); 말하다 舙 화
혀 舌 설 + 혀 舌 설 + 혀 舌 설
지나 발음 huà)
*. 논의하다 論 논/론
말씀 言 언 + 뭉치 侖 륜 (모을 亼 집 + 책 冊 책)
천지인 삼합에 부합하다를 그린 ‘모을 亼 집’
채우다는 뜻인 ‘책 冊 책’
‘천지인 삼합에 부합하는 말을 하는 것’을 그려
‘논의하다’를 나타냈다
*. 말씀 - 문장 - 고하다 - 잇다 詞 사
말씀 言 언 + 맡을 司 사
'司' 는 '임금 后 후' 를 좌우로 바꾸어 놓은 모양으로
임금과 '對 대' 가 되는 '신하' 를 그린 글자로 본다
해서 '詞' 는 신하 - 공무원의 말 (문장 - 서류) 로
'말씀 - 문장 - 고하다 - 잇다' 를 나타냈다
*. 말을 잘하다 - 논쟁하다 辯 변
따지다 辡 변 + 말씀 言 언
'말로 (옳고 그름을) 따지다' 를 그려
'말을 잘하다 - 논쟁하다' 를 나타냈다
'辡' 을 해석함에
'매울 辛 신' 을 '죄인의 이마에 죄명을 문신할 때 쓰는 뾰족한 도구' 로 봐
'辡' 을 마주보고 있는 두 죄인이라고 보는 설도 있으나
'辛' 은 '세우다 立 립 + 十' 으로 소전에 따라
'▽' 밑에 '十' 을 그린 것으로 '내세우다' 를 그린 것으로
'마주보고 서서 말을 내세우다' 를 그려
'말을 잘하다 - 논쟁하다' 를 나타냈다
고 보는 것이 옳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촉나라 - 애벌레 蜀 촉' 이 들어간 글자들 (0) | 2022.09.06 |
---|---|
槪念 개념 (2) | 2022.08.31 |
前科者 전과자 (0) | 2022.08.27 |
'구멍 穴 혈' 이 들어간 글자 중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자 (0) | 2022.08.22 |
'需' 가 들어간 글자 (0)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