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가 말하길
사람은 모두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다.
以不忍人之心 行不忍人之政 治天下可運之掌上
이불인인지심 행불인인지정 치천하가운지장상
(선대의 왕들은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어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가 있었고,)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를 행함으로써
세상을 다스리는 것이 (수월했다) 손바닥 위에서 천하를 움직이는 것과 같았다.
(어린 아이가 물에 빠지려고 할 때) 모두 두려워 걱정하며 가엾게 여기는 것은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의 부모가 친분이 있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고,
마을 친구들로부터 명예를 구하려는 때문도 아니고,
나쁜 평판 때문에 그런 것은 더욱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보면
측은지심 즉 불쌍히 여겨서 언짢아 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수오지심 즉 자기의 나쁜 짓을 부끄러워하며, 남의 나쁜 짓을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사양지심 즉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시비지심 즉 착한 일을 옳다 하고 나쁜 일을 그르다 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측은지심은 남을 위하는 마음의 시작과 끝이다.
수오지심은 남을 위하는 마음을 펼치는데 필요한 힘의 시작과 끝이다.
사양지심은 예도의 시작과 끝이다.
시비지심은 배워서 남에게 알려주고자 하는 마음의 시작과 끝이다.
사람이 이 사단이 있는 것은 마치 사람이 사지를 가진 것과 같다.
이 사단이 있으면서 스스로
(義와 禮와 智 를 바탕으로 仁政 을 베푸는 것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스스로를 해치는 자요,
그 임금에게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자는 그 임금을 해치는 자다.
그렇게 = 義와 禮와 智 를 바탕으로 仁政 을 베푸는 것을.
무릇 사단이 나에게 있는 이는 사단을 모두 넓혀 충만하게 해야 하는 것을 안다면
(사단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이) 불이 막 타오르는 것이나 샘물이 막 솟아나는 것과 같다.
진실로 (사단으로 마음을) 충만하게 할 수 있다면 세상을 보전하기에 족하고
진실로 (사단으로 마음을) 충만하게 할 수 없다면 부모님을 모시기에도 부족하다.
---------------------------------------------------------------------------------------------------------------------------
맹자가 말하길
사람은 모두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다.
선대의 왕들은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어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가 있었고,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를 행함으로써
세상을 다스리는 것이 (수월했다) 손바닥 위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것과 같았다.
사람들 모두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다고 이르는 까닭은
만일 사람이 어린 아이가 우물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언뜻 보면
모두 두려워 걱정하며 가엾게 여기는 마음이 생긴다.
(어린 아이가 물에 빠지려고 할 때) 모두 두려워 걱정하며 가엾게 여기는 것은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의 부모가 친분이 있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고,
마을 친구들로부터 명예를 구하려는 때문도 아니고,
나쁜 평판 때문에 그런 것은 더욱이 아니다.
이로 말미암아 보면 ‘불쌍히 여겨서 언짢아 하는 마음’ 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자기의 나쁜 짓을 부끄러워하며, 남의 나쁜 짓을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착한 일을 옳다 하고 나쁜 일을 그르다 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측은지심은 남을 위하는 마음의 시작과 끝이다.
수오지심은 남을 위하는 마음을 펼치는데 필요한 힘의 시작과 끝이다.
사양지심은 예도의 시작과 끝이다.
시비지심은 배워서 남에게 알려주고자 하는 마음의 시작과 끝이다.
사람이 이 사단이 있는 것은 마치 사람이 사지를 가진 것과 같다.
이 사단이 있으면서 스스로 (義와 禮와 智 를 바탕으로 仁政 을 베푸는 것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스스로를 해치는 자요,
그 임금에게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자는 그 임금을 해치는 자다.
그렇게 = 義와 禮와 智 를 바탕으로 仁政 을 베푸는 것을.
무릇 사단이 나에게 있는 이가 사단을 모두 넓혀 충만하게 해야 하는 것을 안다면
(사단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이) 불이 막 타오르는 것이나 샘물이 막 솟아나는 것과 같다.
진실로 (사단으로 마음을) 충만하게 할 수 있다면 세상을 보전하기에 족하고
진실로 (사단으로 마음을) 충만하게 할 수 없다면 부모님을 모시기에도 부족하다.
-----------------------------------------------------------------------------------------------------------------------------
孟子曰人皆有不忍人之心
맹자왈 인개유불인인지심
맹자가 말하길
사람은 모두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다.
忍 동정심이 없다. 용서하다. 참다.
不忍 참지 못함. 차마 하지 못함.
‘不 아니다’ + ‘忍 동정심이 없다’ 는 동정심이 있다 즉 불쌍히 여기다.
3有[2 (1 不忍 + 人) 之心] 의 구조로
- 불쌍히 여기다 사람을
- 〜 는 마음을.
- 있다.
로 해석된다.
先王有不忍人之心 斯有不忍人之政矣 以不忍人之心 行不忍人之政 治天下可運之掌上
선왕유불인인지심 사유불인인지정의 이불인인지심 행불인인지정 치천하가운지장상
선대의 왕들은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어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가 있었고,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를 행함으로써
세상을 다스리는 것이 (수월했다) 손바닥 위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것과 같았다.
斯 이에. 그래서. 곧. 이. 강조의 어조사. 쪼개다. 가르다. 희다. 천하다. 잠시.
可 쯤. 정도. 옳다. 가능하다.
之 는 天下 세상. 治天下可運'天下'掌上.
所以謂人皆有不忍人之心者 今人乍見孺子將入於井 皆有怵惕恻隐之心
소이위인개유불인인지심자 금인사견유자 장입어정 개유출척측은지심
사람들 모두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있다고 이르는 까닭은
만일 사람이 어린 아이가 우물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언뜻 보면
모두 두려워 걱정하며 가엾게 여기는 마음이 생긴다.
所以 까닭. 하는 일이나 짓.
今 만일. 지금
乍見 갑자기 보다. 잠깐 보다. 언뜻 보다.
孺 젖먹이. 어리다. 낳다. 사모하다. 대부의 아내. 문무관 아내의 품계. 子 아이.
孺子 어린 아이.
怵 두려워하다. 가엾게 여기다. 惕 걱정하다. 두려워하다. 놀라다.
怵 = 마음 忄 + 나무 木 목 + 점 丶 주
'나무 木 목 + 불똥 - 점 丶 주' 를 '나무 위에 불똥이 옮겨 붙었음' 을 그려
'나무 위에 불똥이 옮겨 붙었을 때의 마음' 을 그려 '두려워하다 - 가엾게 여기다' 를 나타냈다.
혹은 '나무 木 목' 의 음인 '목' 을 '사람의 목' 으로 + '불똥 - 점 丶 주' 를 '핏방울' 로 보면
'사람의 목에서 피가 나올 때의 마음' 을 그려 '두려워하다 - 가엾게 여기다' 를 나타냈다.
惕 = 마음 忄 + 점치는 일을 밑은 벼슬아치 - 만상의 변화 - 바꾸다 易 역
'점치는 일을 맡은 벼슬아치의 마음 - 점을 치는 마음 - 만상의 변화를 지켜보는 마음
- (국적 - 남편 - 아내 를) 바꾸는 마음' 을 그려 '두려워하다 - 근심하다 - 공경하다' 를 나타냈다.
怵惕 여기선 가엾게 여겨 걱정하다. 두려워하다. 마음이 편하지 않다.
恻隐 딱하고 가엾음. 불쌍함. 恻隐之心 불쌍히 여겨서 언짢아 하는 마음.
非所以内交於孺子之父母也 非所以要譽於鄕黨朋友也 非惡其聲而然也
비소이납교어유자지부모야 비소이요예어향당붕우야 비악기성이연야
(어린 아이가 물에 빠지려고 할 때) 모두 두려워 걱정하며 가엾게 여기는 것은
(우물에 빠지려는) 아이의 부모가 친분이 있는 신분이 높은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고,
마을 친구들로부터 명예를 구하려는 때문도 아니고,
나쁜 평판 때문에 그런 것은 더욱이 아니다.
内交 를 '납교' 로 읽으면 ‘신분이 높은 사람과의 교분' 을 말한다.
鄕黨 마을. 고향. 朋友 친구 (들). 鄕黨朋友 마을 친구 (들).
非惡其聲而然也 는 所以 가 생략되어 있고 其 는 말소리를 고르는 어조사 혹은
강조를 나타내는 어조사로 쓰여 ‘나쁜 평판 때문에 그런 것은 더욱이 아니다'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由是觀之 無恻隐之心 非人也 無羞惡之心 非人也 無辭讓之心 非人也 無是非之心 非人也
유시관지 무측은지심 비인야 무수오지심 비인야 무사양지심 비인야 무시비지심 비인야
이로 말미암아 보면 ‘불쌍히 여겨서 언짢아 하는 마음’ 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자기의 나쁜 짓을 부끄러워하며, 남의 나쁜 짓을 미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착한 일을 옳다 하고 나쁜 일을 그르다 하는 마음이 없으면 사람답지 않다.
是 만일 사람이 어린 아이가 우물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을 언뜻 보면
모두 두려워 걱정하며 가엾게 여기는 마음이 생기는 것.
*. 바치다-음식-부끄럽다 羞 수
양 羊 양 + 소 丑 축
'제수로 쓰이는 양과 소' 를 그려
'바치다 - 음식' 을 나타냈으며
'소 丑 축' 은 소의 고삐를 쥔 손의 모양을 그려
소와 함께 '끌고가다' 를 나타낸 것으로
'양이나 소처럼 끌려가는 모습' 을 그려
'부끄럽다' 를 나타냈다
恻隐之心仁之端也羞惡之心義之端也辭讓之心禮之端也是非之心智之端也
측은지심인지단야 수오지심의지단야 사양지심예지단야 시비지심지지단야
측은지심은 남을 위하는 마음의 시작과 끝이다.
수오지심은 남을 위하는 마음을 펼치는데 필요한 힘의 시작과 끝이다.
사양지심은 예도의 시작과 끝이다.
시비지심은 배워서 남에게 알려주고자 하는 마음의 시작과 끝이다.
端 은 ‘시초’ 도 의미하지만 ‘끝’ 도 의미한다.
해서 위 문장의 모든 端 은 ‘시작과 끝이다' 로 볼 수 있겠다.
人之有是四端也 猶其有四體也
인지유시사단야 유기유사체야
사람이 이 사단이 있는 것은 마치 사람이 사지를 가진 것과 같다.
有是四端而自謂不能者 自賊者也 謂其君不能者 賊其君者也
유시사단이자위불능자 자적자야 위기군불능자 적기군자야
이 사단이 있으면서 스스로
(義와 禮와 智 를 바탕으로 仁政 을 베푸는 것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은 스스로를 해치는 자요,
그 임금에게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자는 그 임금을 해치는 자다.
그렇게 = 義와 禮와 智 를 바탕으로 仁政 을 베푸는 것을.
凡有四端於我者 知皆擴而充之矣 若火之始然 泉之始達
범유사단어아자 지개확이충지의 약화지시연 천지시달
무릇 사단이 나에게 있는 이는 사단을 모두 넓혀 충만하게 해야 하는 것을 안다면
(사단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이) 불이 막 타오르는 것이나 샘물이 막 솟아나는 것과 같다.
苟能充之 足以保四海 苟不充之 不足以事父母
구능충지 족이보사해 구불충지 부족이사부모
진실로 (사단으로 마음을) 충만하게 할 수 있다면 세상을 보전하기에 족하고
진실로 (사단으로 마음을) 충만하게 할 수 없다면 부모님을 모시기에도 부족하다.
之 '사단으로 마음을' 을 가리킨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曰 子路人告之以有過則喜 禹問善言則拜맹자왈 자로인고지이유과 즉희 우문선언 즉배 (0) | 2023.12.04 |
---|---|
孔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智 夫仁 天之尊爵也 人之安宅也 공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부인 천지존작야 인지안택야 (0) | 2023.12.02 |
仁則榮 不仁則辱 今惡辱而居不仁 是猶惡濕而居下也 인즉영 불인즉욕 금오욕이 거불인 시유오습이 거하야 (2) | 2023.11.27 |
以力假仁者霸 霸必有大國 以德行仁者王 王不待大이력가인자 패 패필유대국 이덕행인자 왕 왕부대대 (0) | 2023.11.25 |
志 氣之帥也 氣 體之充也 夫志至焉 氣次焉 故曰 持其志 無暴其氣 지 기지수야 기 체지충야 부지지언 기차언 고왈 지기지 무포기기 (8) | 202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