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飛雹散 풍비박산
옥편에는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이라고 되어 있다.
문자가 나타내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바람 風 풍
소전에 따라
'무릇 凡 범 + 벌레 虫 훼' 으로 보기도 하나
'(바람의 궤적을 나타낸) 사물의 왕성한 모양 几 궤 + 벌레 虫 훼'
으로 보아도 좋을 듯하다
'벌레가 바람의 궤적 안에서 이동함'을 그려
'바람' 을 나타냈다.
*. 날다 - 높다 - 누각 같은 것이 높이 솟아 있는 모양 - 새 - 날짐승 飛 비
새가 두 날개를 펴고 하늘을 높이 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금문
대전
소전
*. 우박 雹 박
비 雨 우 + 쌀 包 포
'비를 싸고 있는 것' 을 그려 '우박' 을 나타냈다.
*. 한가롭다 - 흩어 버린다 - 헤어지다 - 풀어놓다 - 내치다 - 도망가다 - 쓸모없다 散 산
현재의 해석은 소전의 모양으로
‘고기 육 변 月 + 내치다 㪔 산’로 해석되지만
‘홍수를 나타내는 ≋ 의 변형 + 살 육 변 月 + 흩어지다 - 지탱하다 支 지’
로 보고
‘큰 물을 나타내는 모양 ≋ 의 변형 + 살 - 고기 육 변 月’는 ‘물살’이고
‘갈라지다 - 흩어지다 - 지탱하다 支 지’는 ‘흩어지다’로
‘물살이 부서지다' 를 그려
‘흩어지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혹은
‘홍수를 나타내는 ≋ 의 변형 + 살 육 변 月 + 칠 攵 복’
로 보고
‘큰 물을 나타내는 모양 ≋ 의 변형 + 살 - 고기 육 변 月’는 ‘물살’이고
'칠 攵 복' 은 '치다 - 때리다' 로
물살이 '때리다 - 치다' 로
'물살이 부서지다' 를 그려
‘물살이 때려 박살내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해서 '風飛雹散 풍비박산' 이란 글자가 의미하는 바는
'(사람이나 사물이) 바람에 날리고 (주먹만한) 우박에 (사람이나 사물이) 박살나는 것' 을 나타냈던 것으로 보인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承服 승복 (0) | 2025.04.21 |
---|---|
‘어질 仁 인’ 과 ‘어질 賢 현’ 의 차이 (0) | 2025.03.13 |
吉 이 들어 있는 글자들 (0) | 2025.01.24 |
'송곳질할 - (속이다) 矞 율 - (휼)' 이 들어있는 글자들 (0) | 2024.09.27 |
名銜 명함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