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으로 어렵다는 의미의 ‘가난’ 의 어원을
보통은 ‘艱難 간난’ 에서 중복되는 ‘ㄴ' 이 탈락되어 ‘가난' 으로
이 ‘가난' 에서 ‘家難 가난’ 도 나왔다고들 한다
여기서
‘假難 가난-艱難 간난-家難 가난’ 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假難 가난’ 은
‘거짓 假 가 + 어려울 難 난’ 으로
‘거짓 어려움 혹은 임시적 어려움’ 을 나타내며
‘艱難 간난’ 은
‘어려울 艱 간 + 어려울 難 난' 으로
‘매우 어려움’ 을 나타내고
‘家難 가난’ 은
‘집 家 가 + 어려울 難 난’ 으로
‘집안이 어려움에 처해 있음’ 을 나타낸다
그렇다면 고대인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고려해보자
불교의 ‘八苦 팔고’ 를 살펴보면
사람이 살면서 겪게 되는 어려운 여덟 가지 고통이 있는데
이는 곧,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
즉 生老病死 생로병사의 고통 四苦 사고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고통 愛別離苦 애별리고
싫어하는 사람과 함께 있는 고통 怨憎會苦 원증회고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고통 求不得苦 구부득고
내 몸과 마음이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의 불균형 五蘊 오온
의 四苦 사고를 말한다
無恒心而有恒心者有士爲能 若民則無恒産因無恒心
무항심이 유항심자 유사위능 약민 즉무항산인무항심
-맹자-
‘일정한 소득이 없어도 변함없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 이는
오직 선비 뿐이다
일반인들은 일정한 소득이 없으면
변함없는 마음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란 맹자의 말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었던 것 같다
또한 “돈을 잃는 것은 적게 잃은 것이고
명예를 잃는 것은 인생의 많은 부분을 잃는 것이다
하지만 건강 (신용이나 용기 혹은 희망) 을 잃는 것은 인생의 전부를 잃는 것이다”
는 의미의 격언들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해져 오고 있다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하기 힘들다' 는 속담이 있긴하나
나랏님이 개개인의 인생 팔고를 해결해 주는 것은
개개인의 가난을 구제하는 것보다 훨씬 힘들어서인지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힘든 고통이라고
기록해 놓은 것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해서 경제적 어려움은
거짓 어려움 혹은 일시적 어려움을 뜻하는
‘假難 가난’
으로 표현하지 않았을까 추정해본다
그렇게 경제적 어려움을 진정한 어려움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었으나
자연재해-전쟁-질병-기아가 오랫동안 계속되던 기간에
경제적 어려움을 오랫동안 계속 겪는 사람들이 많아져
경제적 어려움을 표현함에
수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과
이를 보며 고통을 공감하는 이들에 의해
假難 가난이 탈락되고
경제적 어려움도
艱難 간난과 家難 가난으로 이해되기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난' 의 어원을 추정함에
물론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어렵다는 의미의 말이
‘가난하다’ 란 문자 표현보다 먼저 존재했었을 것이긴 하다
또한 경제적 어려움이 진정한 고통이 아니며
生老病死 생로병사와
愛別離苦 애별리고
怨憎會苦 원증회고
求不得苦 구부득고
五蘊 오온이 고통이며
건강-명예-용기-희망 등을 잃는 것이
돈을 잃는 것보다 많은 것을 잃는 것이라고 말하기 위해선
경제적 어려움을
‘거짓 어려움' 이나 ‘일시적 어려움' 으로 표현하기 위해선
‘假難 가난’ 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 보며
누구도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어려운
‘艱難 간난이나 家難 가난’ 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는 사회가 돌아오기를 기대해 본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뇌 (0) | 2018.08.17 |
---|---|
다르다, 닳다, 닮다, 담다와 달아 오르다의 어원 (0) | 2018.08.14 |
團結 단결 (0) | 2018.08.06 |
불(울)긋불긋-불(울)난바토르-불(울)란우데 (0) | 2018.07.19 |
대한민국 (0) | 201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