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다르다, 닳다, 닮다, 담다와 달아 오르다의 어원

밝음을 崇尙 숭상했던 우리 민족에게

태양은 항상 변함없이 밝지만

달은 어둡다가 해를 받을 때만 밝아지고

그 밝음이 차차 작아지며

보이는 모양도 작아지는 변화하는 것으로

태양과 對 대가 되는 것으로

태양은 양의 상징이요

달은 음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그래서

달은

해와 다르다

달은 계속 닳아 작아진다-없어진다

달은 해와 닮았다

달은 해를 담는다

달은 해를 받으면 달아 (이) 오른다

등의 의미를 가진 말의 어원이 되었다


‘달' 에서

다르다, 닳다, 닮다. 담다. 그리고 달아 오르다

가 나왔다


닳다-닳게 하다- 작다-본받다 肖 초

‘작을 小 소 + 고기 肉 육 변 月’ 로 해석해 왔으나

‘작을 小 소 + 달 月 월’ 로 해석해

달이 점차 작아지는 모양을 그려

해를 담아 변화하는 모양을 나타내

닳다, 닮다. 작다’ 의 뜻을 나타냈다

또한 여기서

닳다’ 에서 ‘가늘어지다’ 가 나왔다

‘닮다’ 에서 ‘담다' 가 나왔다


*. 달이 ‘다르다-달아 오르다’ 로 변화된 경우

근심하다 悄 초 (마음이 닳다, 마음이 달아 오른다)

마음 심 변 忄 + 닳다-달아 오르다 肖 초

꾸짖을 誚 초 (마음을 달아 오르게 하는 다른 말)

말씀 言 언 + 다르다-달아 오르다 肖 초

움직이다 踃 초 (발을 계속 달리하게 하는 모양)

발 족 변 足 + 다르다 肖 초


*. 달이 ‘닳다’ 로 변화된 경우

근심하다 悄 초 (마음이 닳다, 마음이 달아 오른다)

마음 심 변 忄 + 닳다-달아 오르다 肖 초

나무나 나뭇가지의 끝 梢 초 (나무나 나뭇가지의 끝은 닳은 것처럼 가늘다)

나무 木 목 + 닳다 肖 초

소 뿔 뾰족하다 (牛肖) 초 (닳은 것처럼 뾰족한 소의 조직)

소 우 변 牜 + 닳다 肖 초

벼 줄기의 끝 稍 초 (벼의 끝은 닳은 것처럼 가늘다)

벼 禾 화 + 닳다 肖 초

초석 (화약과 유리의 原料) 硝 초 (닳게 해 없애는 돌)

돌 石 석 + 닳다 肖 초

급하다-가파르다 陗 초 (언덕이 닳은 것으로 가파르다를 나타냈다)

언덕 부 阝변 + 닳다 肖 초

가파를 峭 초 (산이 닳은 것으로 가파르다를 나타냈다)

뫼 山 산 + 닳다 肖 초

옷깃 䘯 초 (옷이 닳아 가는 부분)

옷 의 변 衤 + 닳다 肖 초

죽은 깨 (黑肖) 초 (닳아 검은 점 같은 것)

검을 黒 흑 + 닳다 肖 초


*. 달이 ‘닫다’ 로 변화된 경우

망보다 哨 초 (입을 닫고 망을 본다)

입 口 구 + 닫다 肖 초


*. 달이 ‘닮다’ 로 변화된 경우

서 있는 모양 䇌 초 (서 있음을 닮은 것)

설 立 립 + 닮다 肖 초

예쁘다 俏 초 (사람을 닮은 것이 예쁘다)

사람 인 변 亻 + 닮다 肖 초


*. 달이 ‘담다’ 로 변화된 경우

福 복 (示肖) 초 (제상에 (제수를) 담는 것이 복을 받는 길이다)

제상을 나타내는 보일 시 변 礻 + 닮다 肖 초

잠깐 보다 睄 초 (눈에 담다를 그려 잠깐 보다를 나타냈다)

눈 目 목 + 담다 肖 초

칼집 鞘 초

가죽 革 위 + 담다 肖 초

칼집 韒 초

다른 가죽 韋 위 + 담다 肖 초

묶다 帩 초 (수건에 (물건을) 담으려면 (수건을) 묶어야 한다)

수건 巾 건 + 담다 肖 초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네째 천간 丁 정  (0) 2018.08.18
번뇌  (0) 2018.08.17
가난  (0) 2018.08.11
團結 단결  (0) 2018.08.06
불(울)긋불긋-불(울)난바토르-불(울)란우데  (0) 2018.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