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

***.누릴 享 향

의미없는 토 (덮다) ㅗ 두 + 입 口 구 + 아들 子 자

아들 子 자 는 자지-열매를 나타낸다

자지-열매를 입으로 덮다

즉 ‘자지를 빨다/열매를 먹다’ 를 그려

‘누리다’ 를 나타냈다

모계사회에서 만들어진 문자로 추정된다

 

*. 비슷하게 생긴 자

형통하다 (삶다) 드리다 亨 형 (팽) 향

'높을 高 고’ 의 줄임 + 마칠 了 료

'높임을 마치다' 를 그려

'형통하다' 를 나타냈다

삶다의 뜻은 享 처럼 해석해

'자지를 덮어 구워삶다' 를 그려

'삶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드리다' 는 뜻도 역시 '삶다' 와 같이 이해할 수 있겠다

 

 

214. 성곽 (外城)-둘레-벌리다()-나라 이름-성() 郭 곽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 + 고을 邑 읍

‘누릴-올리다-바치다 + 고을’ 론 외성 (성곽)-둘레 를 나타낼 수 없다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의 바치다를 받치다-지키다 로 변환해

고을을 지키는 것을 그려

외성을 나타낸 뒤

둘레-벌리다 등의 뜻이 더해졌다

 

215. 덧관 (外棺); 재다() (同字) 椁 곽

나무 木 목 +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

‘나무 + 바치다’ 론 덧관을 나타낼 수 없다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의 바치다를 받치다-지키다 로 변환해

관을 지켜 (보강하는) 것을 그려

덧관을 나타냈다

 

222. 다룬 가죽 (皮去毛)-털 벗긴 날가죽 (鞹과 同字) 鞟 곽

가죽 革 혁 + 누릴 享 향

‘가죽 + 누리다’ 론 다른 가죽 을 나타낼 수 없다

‘누릴 享 향’ 의 누리다를 누르다로 변환해

‘누른 가죽’ 을 그려

‘다룬 가죽’ 을 나타냈다

 

223. 다룬 가죽 (皮去毛) 鞹 곽

가죽 革 혁 + 외성 郭 곽

‘가죽 + 외성’으론 ‘다룬 가죽’을 나타낼 수 없다

‘외성 郭 곽’ 을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 + 고을 邑 읍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의 누리다를 누르다 로 변환하고

‘고을 邑 읍’ 의 고을을 ‘골’ 로 다시 ‘골고루’ 로 변환해

‘골고루 누른 가죽’ 을 그려

‘다른 가죽’ 을 나타냈다

 

 

331. 누런 빛 (享豈)

누릴 享 향 + 어찌(바랄) 豈 기(개)

누릴 享 향 의 뜻인 누릴에서 누런 을

어찌(화할) 豈 기(개) 에서 화하다 를 빛으로

누렇게 화하는 것을 그려

누런 빛을 나타냈다

 

711. 누르고 입술 검은 소 犉 순

소 牛 우 + 누릴 享 향

소 + 누리다 로는

누르고 입술 검은 소 를 나타낼 수 없다

누릴 享 향 의 누리다 를 누르다 로 전환해

누른 소 를 그려

누르고 입술 검은 소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