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의 어원은 걸어치
거짓의 중세어 거줏
이라고 한다
해서 거지와 거짓의 어원이 같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말이 먼저 생기고 문자가 생겼다고 가정한다면
문자를 배제하고 언어만을 고려한다면
거지와 거짓의 어원은 같을까?
걷다-걷이-거지로
거지짓에서 거짓으로 변화했다면
또한
걷어-거두어-거둬-거저로
혹은 거짓말의 방언 중에 거저말이 있듯이
거지-거저로 변했다면
거지-거짓-거저 모두의 어원이 같다고 볼 수도 있겠다
언어와 문자가 달리 쓰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언어의 어원을 추정함에
철처히 문자에만 얽매이면
언어가 문자에 앞선다는 사실에 가까운 추정을 무시하게 되고
사실과 거리가 먼 추정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명 (0) | 2018.08.30 |
---|---|
貞操 정조 (0) | 2018.08.26 |
(쌍) 둥이 (0) | 2018.08.19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누릴-올리다-바치다 享 향 (0) | 2018.08.18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눈빠지게 기다리다 (0) | 2018.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