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마을 曹 조

897-4. 떠들다

+ 마을

입 + 마을 로는 떠들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마을 조 의 마을 을 빠르게 발음하면 ‘말’ 이 된다

'말 + 말' 즉 '말 많다' 를 그려

떠들다 를 나타냈다


897-4-1. 예쁘다

계집 + 마을

계집 + 마을 로는 예쁘다 나타낼 없다

마을

동녘 + 동녘 + 가로

지금까지의 해석은 사람의 재판관이 동쪽에 자리잡고

앉아서 판결을 내리는 말을 한다에서마을-관아 뜻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마을

'동녘동' 은 나무 +

나무 + 나무 으로 전환해

해가 (해가 ) 그린

가로 이르다

동녘 동녘

해가 뜨는 곳을 일러동녘이라 한다 그렸고

동녘에동네-마을관아 있었기에

나중에동네-마을관아 뜻으로 쓰였다

동녘의 계집 그려

예쁘다 를 나타냈다

동녘이 서녘보다 문화가 크게 발전했겠기도 하겠지만

동녘에서 만든 문자이니 당연히

동녘의 계집들이 예쁘다 라고 문자를 만들었으리라


897-4-2. 마을

동녘 + 동녘 + 가로

지금까지의 해석은 사람의 재판관이 동쪽에 자리잡고

앉아서 판결을 내리는 말을 한다에서마을-관아 뜻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마을

'동녘동' 은 나무 木 목 + 해 日 일 로

나무 + 해 로 나무 를 남 으로 전환해

해가 남 (해가 뜸) 을 그린 자

가로왈 이르다

동녘동 동녘

‘해가 뜨는 곳을 일러 ‘동녘’ 이라 한다’ 를 그렸고

그 동녘에 ‘동네-마을’ 과 ‘관아’ 가 있었기에

나중에 ‘동네-마을’과 ‘관아’ 란 뜻으로 쓰였다


897-4-3. 포대기-치마 褿

+ 마을

+ 마을 포대기-치마 나타낼 없다

마을 마을을 -말다 전환해

(둘둘) 마는 그려

포대기-치마 나타냈다


897-4-4. 시끄럽다 䜊 조

말씀 言 언 + 마을 曹 조

말씀 + 마을 로는 떠들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마을 조 의 마을 을 빠르게 발음하면 ‘말’ 이 된다

'말 + 말' 즉 '말 많다' 를 그려

시끄럽다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