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쌀 米 미

 

267. 물결 어른거리다 (水文) 淗

+ 움켜뜰

+ 움켜뜨다

물결 어른거리다 나타낼 없다

+ +

풀어

쌀을 살로 변환해

물쌀을 싸다물살을 둘러싸다 그려

물결이 어른거리다 나타냈다

 

267-1. 제기 (皮毛之丸) 毩

+

‘털 + 쌀’ 론 제기를 나타낼 수 없다

미’ 의 쌀을 살로 변환해

‘살같은 털’ 을 그려

(넓은 털이 많이 달린) 제기를 나타냈다

 

267-2. 제기 () (踘 同字) 毱

+ 움켜뜰

+ 움켜뜨다

제기를 나타낼 없다

+ +

풀어

쌀을 살로 변환해

살같은 털로 쌓여 있는 것을 그려

(넓은 털이 많이 달린) 제기를 나타냈다

 

268. 싸다 (裹) ( 通字) 䪕

가죽 + 움켜뜰

‘가죽 + 움켜뜨다’ 론 싸다를 나타내기 어렵다

‘가죽 위 + 쌀 + 미’

풀어

쌀을 살로 변환해

‘가죽이 살을 둘러싸고 있다’ 를 그려

싸다를 나타냈다

 

423. 산이 높다

+ 도깨비 으로는

산이 높다 나타낼 없다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산살( ) 사방으로 뻗치다 그려

(우리 살은 힘을 나타내기도 한다)

산이 높다 나타냈다

 

425. 물이 맑다

+ 도깨비 으로는

물이 맑다 나타낼 없다

+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물살( ) 사방으로 뻗치다 그려

(우리 살은 힘을 나타내기도 한다)

물이 맑다 나타냈다

 

426. 개짖는 소리

개사슴 도깨비 으로는

개짖는 소리를 나타낼 없다

개사슴 +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개의 살이 사방으로 뻗치다 그려

(우리 살은 모진 기운 나타내기도 한다)

개짖는 소리를 나타냈다

 

427. 도깨비

+ 어그러질 으로는

도깨비 나타낼 없다

+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불살( ) 사방에 있다 그려

(우리 살은 모진 기운 나타내기도 한다)

도깨비 나타냈다

 

427-1. 머뭇거리다

쉬엄쉬엄갈 +도깨비 으로는

머뭇거리다 나타낼 없다

쉬엄쉬엄갈 +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전환하여

쉬엄쉬엄갈 + 살가다살펴가다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사방을 살피며 가다 그려

머뭇거리다 나타냈다

 

428. 밭두둑

+ 도깨비 으로는

밭두둑 나타낼 없다

+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전환하여

(우리 살은 창살-부채살 등에서와 같이 뼈대가 되는 대오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사방의 대오리 그려

밭두둑 나타냈다

 

429. 부라리며 보다

+ 어그러질 으로는

부라리다 나타낼 없다

+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눈살( ) 사방에 뻗치다 그려

(우리 살은 모진 기운 나타내기도 한다)

부라리다 나타냈다

 

430. 날다

도깨비 + 로는

날다 나타낼 없다

+ 왼쪽  + 오른쪽 +

에서 쌀을 살로 전환하여

(우리 살은 창살-부채살 등에서와 같이 뼈대가 되는 대오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깃을 사방으로 대오리를 펼쳐 그려

(날개를 들어 올리다 그려)

날다 나타냈다

 

431. 굳세다

+ 도깨비

+ 도깨비 로는 굳세다  나타낼 없다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전환하여

(우리 살은 창살-부채살 등에서와 같이 뼈대가 되는 대오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사방의 (금속 대오리) 그려

굳세다 나타냈다

 

432. 머리 숱 적다

머리 頁 혈 +도깨비

머리 + 도깨비 로는 머리 숱 적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머리 頁 혈 + 쌀 + 왼쪽  + 오른쪽

에서 쌀을 살로 전환하고

왼쪽  + 오른쪽 사방으로 전환해

머리 사방의 ( 보임) 그려

머리 적다 나타냈다

 

454-1. 싸라기 糆 면

쌀 米 미 + 낯 面 면

쌀 + 얼굴 로는 쌀가루 즉 싸라기를 나타낼 수 없다

우리 선조들께선 ‘눈’을 그려 얼굴을 나타내시기도 했다

해서 얼굴은 눈으로도 쓸 수 있다

그래서 쌀 + 눈 을 그려

싸라기 를 나타냈고 이것이 나중에 밀가루 란 뜻으로도 쓰였다

 

487. 물결

물 수 변 + 쌀 米 미

물 + 쌀 로는 물결 을 나타낼 수 없다

쌀 米 미 의 쌀 을 살 로 전환시켜

물살 을 그려

물결을 나타냈다

 

*. 미혹하다 - 헤매다 - 희미하다 迷 미

쉬엄쉬엄 갈 착 변 辶 + 쌀 米 미

쉬엄쉬엄 가다 + 살 (살)

살살은 가볍게 - 조금 등의 뜻으로

‘살살 쉬엄쉬엄 가다’란 거의 움직이는 듯 또한 움직이지 않는 듯

아리송한 움직임을 묘사한다고 볼 수 있겠다

해서 ‘미혹하다 - 헤매다 - 희미하다’를 나타낼 수 있었다

 

488. 어루만지다

+

+ 치다(때리다) 로는 어루만지다 나타낼 없다

치다

() 치다 그려

어루만지다 나타냈다

 

490. 물고기 알

물고기 魚 어 + 쌀 米 미

물고기 + 쌀 로는 물고기 알 을 나타낼 수 없다

쌀 米 미 의 쌀을 우리는 씨알 에서 나왔다고 한다

물고기 씨알 을 그려

물고기 알 을 나타냈다

 

725. -오줌 ? (米屎)

+

+ 으론 -오줌 나타낼 없다

훈인 싸다 전환해

똥을 싸다 그려

(똥을 때는 오줌도 함께 나오며

자는 주로 똥으로 쓰인다)

-오줌 나타냈다

 

881. 꾸미다

+ 훌륭하다 

+ 훌륭하다 로는 꾸미다 나타낼 없다

싸다 전환해

훌륭하게(하도록) 싸다 그려

꾸미다 나타냈다

 

882. 단장하다 

+ 장중하다

+ 장중하다 로는 단장하다 나타낼 없다

싸다 전환해

장중하게(하도록) 싸다 그려

단장하다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