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아홉 九 구

아홉 九 구

아홉 九 구 는 숫자 구 이외에도 ‘구하다→모으다→모아들이다’- ‘구름’- ‘구부리다’ 등의 의미로도 쓰였지만

이는 지나인들의 언어 체계로는 가능한 것이 아니다 

 

169. 꽁무니 ()-밑바닥 (底部)-구부리다 (蹲) 尻 고 

몸을 엎드리고 손발을 쭉 펴다 尸 시 + 아홉 九 구

‘몸을 엎드리고 손발을 쭉 펴다  + 아홉’ 으론 구부리다-꽁무니-밑바닥 을 나타낼 수 없다

‘아홉 九 구’ 의 자형이 구부리고 광물을 캐는 모습이고

음의 ‘구’ 가 구부리다의 첫음과 같아 구부려로 전환하면

몸을 구부려 엎드리고 손발을 쭉편 것을 그려

구부리다-밑바닥-꽁무니 를 나타냈다

(엉치 척추뼈 5 개와 꼬리 척추뼈 4 개를 합해 9개의 뼈로

엉치뼈와 꼬리뼈를 이루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259. 바르다 㐜 구

구할 求 구 + 아홉 九 구

구하고 또 구하는 것은 음란하지 않고 바른 것이다

란 뜻으로 九가 '구하다'로 쓰여

'구한다'는 뜻이 반복되어 사람들이 이상적으로 원하는

것을 나타냈다

지나인들은 구할 求 구 와 아홉 九 구 의 발음이 완전히

다르다 

 

260. 간청하다 㐤 구

아홉 九 구 + 참 眞 진

진실로 구하는 것을 얻으려면 간청해야 한다는 뜻으로

九 가 '구한다'는 뜻으로 쓰였다

 

269. 머리 엉클어지다 (亂髮) ? 국 

터럭 髮 발 + 아홉 九 구

‘터럭 + 아홉’ 으론

‘머리 엉클어지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아홉 九 구’ 의 음인 구를 이용해 구부러지다를 써서

‘터럭 구부러지다’ 를 그려

‘머리 엉클어지다’ 를 나타냈다

 

329. 간청하다 㐤 단

아홉  九 구 + 참 眞 진

아홉  九 구 의 구 를 구하다 로 전환해

진실을 구하다 를 그려

(진실을 구하기 위해 구부린 마음)

간청하다 를 나타냈다

 

773. 물들이다 染 염

물 수 シ 변 + 모으다(아홉) 九 + 나무 木 목

九는 구하다→모으다→모아들이다→들이다 로

木 은 나무→나오다→내놓다

해서 물들여 내놓다

한국어를 잘하는 사람이라야 만들 수 있는 문자

 

774. 물감 (染 위에 초サ두 머리) 염

물 수 シ 변 + 모으다(아홉) 九 + 나무 木 목 + 초サ두 머리

九는 구하다→모으다→모아들이다→들이다 로

木 은 나무→나오다→내놓다

サ는 풀로 물감의 재료로 쓰이는 것

해서 '물들여 내놓는 풀'로 물감을 나타냈다

 

 

836. 날다 亴 우

높을 高 고 + 흙 土 토 + 아홉 九 구

구름을 토하며 높이 날다

土가 흙이 아닌 입으로 토한다로 전환되었고

九 가 구름으로 전환되었다

 

843. 햇살 치민다 旭 욱

아홉 九 구 + 날 日 일

九 가 구름으로 전환되어

日은 해로도 쓰인다

日 을 九 위에 써서

해가 구름을 덮은 그림을 그려

햇살 치밀다 를 나타냈다

*. 아침 해 旭 욱

아홉 九 구 + 해 日 일

양수의 극이라 불리는 9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고 한다

해서 '새로운 시작 + 해' 를 그려

‘아침 해' 를 나타냈다

 

848-2. 뼈 구불퉁구불퉁하다 骩 위

뼈 骨 골 + 아홉 九 구

'아홉 九 구'의 음인 '구'를 구불(퉁)구불(퉁)하다로 

전환시켰다

 

 849-1-1. 나약하다 㐡 유-나-연

아홉 九 구 + 가냘프다 耎 연

‘아홉 + 가냘플’ 론 나약하다를 나타낼 수 없다

‘아홉 九 구’ 는 오래되다-늙다 란 뜻도 있는데

이는 ‘아홉 九 구’ 의 음인 ‘구’ 로

구부러지다를 나타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가냘퍼 구부러지다’ 를 그려

‘가냘퍼 구부러지다’ 를 그려

나약하다-여리다 를 나타냈다

또한

말이을 而 이 + 큰 大 대

‘아홉 九 구’는 구부러지다

‘말이을 而 이’는 수염의 모양

‘큰 大 대’는 긴 모양을 그린 것으로

‘긴 수염이 구부러지다' 를 그려

‘나약하다'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