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想 이상
사전적으론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고
오직 이론상으로만 가장 완벽하다고 여겨지는 어떤 형태, 생각, 이념 등
혹은 이성이 추구하는 본질
등이라고 한다
여기서 문자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13. 다스릴 理 리
구슬 玉 옥 변 + 마을 里 리 로 이루어진 자 라고들 하는데
구슬 + 마을 로는 다스리다 를 나타낼 수 없고
(구슬이 서옥이라면 서옥 + 마을
로 '다스리다' 를 나타냈다고 볼 수도 있겠다
瑞玉 서옥 : 왕이 제후에게 신표로 주던 옥홀)
임금 王 왕 + 밭 田 전 + 흙 土 토
(혹은구슬 玉 옥 변 + 밭 田 전 + 흙 土 토)
임금 (혹은 구슬) + 밭 + 흙 (마음 + 마을) 로는 근심하다 를 나타낼 수 없고
밭 田 전 에서 밭 을 바깥으로
흙 土 토 에서 토 를 토해 내다 로 전환해
임금이 바깥으로 토해낸 것
(혹은 바깥으로 토해낸 구슬같이 소중한 것)
(혹은 王 을 '천지인이 조화를 이룬 것' 으로 보면
'천지인의 조화' 를 밖으로 토해낸 것 즉 '천지인의 조화를 나타낸 것') 을 그려
다스리다 를 나타냈다
*. 생각 想 상
서로 相 상 + 마음 心 심
서로 相 상
나무 木 목 + 눈 目 목
나무 + 눈 으로는 서로 를 나타낼 수 없다
‘나무 木 목’ 의 ‘나무’를 ‘남’으로 전환시키면
‘남의 눈’이 되어 ‘내 눈이 남의 눈을 보는 것’
혹은 ‘내 눈이 남의 눈이 되는 것’이 된다
해서 ‘남의 눈’을 그려
‘서로-다스리다’등을 나타냈다
갑골문엔 木 위에 目 이 있는 그림문자로
'나무 위에서 살펴보다' 를 그려 '다스리다 - 재상 - 점치다'
를 나타낸 것이 확실히 보인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나무 木 목' 과 '눈 目 목' 이 나란히 쓰여지면서
'서로' 의 뜻을 나타내게 된 것으로 보인다
'나무 木 목 + 눈 目 목' 에서
'나무 木 목' 은 '나오다' 를 나타낼 수 있고
'눈 目 목' 은 '보다 - 보이다' 를 나타낼 수 있으니
'밖으로 나와서 보이는 것' 을 그려
'형상' 을 나타냈다
해서 문자 '理想 이상' 이 뜻하는 바는
임금이 말한 것을 남의 눈으로 보는 마음
즉 (나라를 다스림에)
임금이 말한 것을 신하들의 눈으로 보는 마음
혹은 천지인의 조화가 인간세상에 펼쳐진 것을
남의 눈으로 보는 마음 즉
혹은 천지인의 조화가 인간세상에 펼쳐진 것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는 마음
을 말한다고 보겠다
理想鄕 이상향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좋고 완전한 세계
현실에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사회
*. 시골 鄕 향
고을 읍의 변형 + 고소할 皀 흡 + 고을 읍 阝
고소한 냄새가 나는 즉 곡식 냄새가 나는 고을들을 가리켜
시골을 나타냈다
이설
밥상을 가운데 놓고 마주앉아 있는 모습으로
‘같이 밥을 먹다’를 그린 글자라고도 한다
해서 문자 '理想鄕 이상향' 이 뜻하는 바는
임금이 말한 것을 남의 눈으로 보는 마음
즉 (나라를 다스림에)
임금이 말한 것을 신하들의 눈으로 보는 마음으로
다시 말해서 임금과 신하들이 의견을 모아 다스리는 마을 - 곳
혹은 천지인의 조화가 인간세상에 펼쳐진 것을
남의 눈으로 보는 마음 즉
혹은 천지인의 조화가 인간세상에 펼쳐진 것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는 마음으로 다스려지는 마을 - 곳
을 말한다고 볼 수 있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駭怪罔測 해괴망측 (0) | 2022.03.26 |
---|---|
勞心焦思 노심초사 (0) | 2022.03.26 |
勳章 훈장 과 褒章 포장 (0) | 2022.03.19 |
'해적 倭 왜' 와 '아리땁다 婑 유' (0) | 2022.03.18 |
"大努 대노"는 일제의 잔재인 "대통령"을 대체할 수 있는 적합한 호칭이다 (0)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