魅力 매력
사전적으론
남의 마음을 호리어 끄는 힘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아 끌어들이는 힘
등등 이라고 한다
여기서 ‘魅力 매력' 이란 문자가 뜻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깨비 - 홀리다 -미혹시키다 魅 매
귀신 鬼 귀 + 아닐 未 미 + 힘 力 력
278. 귀신 鬼 귀
삐침 ˊ 별 + 밭 田 전 + 어진 사람 인 발ㄦ + 사사 ㄙ 사
옥편엔 “삐침 ˊ 별 + 밭 田 전”를 귀신의 머리 모양
“어진 사람 인 발ㄦ”을 사람
“사사 ㄙ 사” 를 해치다 로 해석해 놓았다
“삐침 ˊ 별 + 밭 田 전”을 귀신의 머리 모양으로
“사사 ㄙ 사” 를 해치다 로 해석한 것도
그리 신빙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사람을 해치는 것이 귀신이라고?
여기서 고대인들의 귀신에 대한 생각에 따라
귀신 鬼 귀 를 다시 해석해 보자
고대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생각을 맡은 혼魂 은 승천해 신 神 이 되고
육체를 주재하는 백 魄 은 땅에 들어가 귀 鬼 가 된다고 한다
고대인들은 그렇게 생각했다란 전제하에
‘귀신 鬼 귀’를 해석하면
삐침 ˊ 별 삐쳐-삐져 나온
밭 田 전 바깥으로
어진 사람 인 발ㄦ 사람-육신
사사 ㄙ 사 나
‘육신의 바깥으로 (삐져) 나온 나’ 를
‘귀신 鬼 귀’로 나타낸 것이며
삐침 ˊ 별 의 삐침에서 삐쳐-삐져
밭 田 전 의 밭 에서 바깥 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민족은 우리 말을 하는 민족이다
우리 말을 모르는 지나인들의 문자 해석과
우리 말을 아는 이의 문자 해석이
고대인들의 ‘귀신’에 대한 생각과 가까운가?
또한 옛날에 사람이 귀신에게 길함을 빌 때는
그 귀신의 귀가 매우 큰 귀신상을 만들었었는데
이는 소원을 잘들어달라고 귀신의 귀가 큰 귀신상을 만들었던 것이라고 전한다
귀가 큰 鬼의 발음이 '귀' 인 것은
귀가 머리에서 삐져나온 기관으로
'鬼' 의 뜻이 몸에서 삐져나온 것이기에
귀와 鬼 가 서로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봐도
귀와 鬼를 동일하게 발음하는 민족이
한글이라 불리는 표음문자와 진서라 불리던 표의문자를 모두 만든 것
으로 판단될 수 있겠다
*. 아닐 未 미
"나무에 가지가 많이 있음을 나타낸 글자" 혹은
"서 있는 나무에 가지가 두 개 더 있음을 나타낸 글자로
가지가 많으면 잎이 많아 반대쪽을 볼 수 없다는 데서 부정의 뜻을 나타낸 것"
이라고도 하는데
윗쪽 가지가 아랫쪽 가지보다 짧아
'아직 덜 자란 것' 그리고 '다 자란 것이 아님' 을 그려
'아직과 아니다' 를 그린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
*. 힘 力 력
팔에 힘을 주었을 때 근육이 불거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
로 보기도 하며
소전의 모양을 보면
'농기구를 들고 있는 팔뚝의 모양' 을 그린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해서 '‘魅力 매력' 이란 문자는
'육신의 바깥으로 나온 내가 아직 쓰지 않은 힘'
즉 '귀신이 아직 쓰지 않은 힘'
을 그려 '홀리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물 暮 모’ 와 '무덤 墓 묘’ 와 사모할 慕 모 (0) | 2022.03.28 |
---|---|
'울 鳴 명' 과 탄식할 嗚 오 (0) | 2022.03.28 |
'다스릴 理 리' 와 '속될 俚 리' 의 차이 (0) | 2022.03.28 |
中道 중도 (0) | 2022.03.26 |
駭怪罔測 해괴망측 (0) | 202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