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풀 艸 (草) 초 머리 艹 (1)

737-7. 먹다 茹 여

같을 如 여 + 풀 艸 초 머리

로는 먹다는 뜻이 나오지 않는다

'같을 如 여'는

계집 女 녀 + 입 口 구

女와 口는 같다는 뜻인데

여자의 성기와 입은 같다는 뜻이다

'풀 艸 초 두 머리'는 '나온다'는 뜻으로

여자의 성기와 입은 공히 구멍으로

구멍이 나 벌어지면 먹는다는 뜻을 그린 것이다

초 두 머리→나온다→내다→벌리다→벌어지다 로 전환시켰다

한국어 언중이 아니면 불가능한 조자다

 

같을 如여 의 조자를 보여주는 예)해진 옷 䘫 여

옷 衣 의 변 + 같을 如 여

옷 + 같다 로 도저히 해진 옷이란 해석이 나오지 않는 문자?

女는 口 다→여자는 입과 같다→여성기는 입과 같다

→여성기와 입은 모두 구멍이다

해서 옷에 구멍이 난 것은

'옷이 해진 것이다'를 표현한 것이다

 

 

787. 재주 藝 예

풀 초 머리 +심을 埶 예  + 말하다 云 운

는 땅 밑에서 위로 자라나오는 것

해서 '나오다 - 내놓다' 는 뜻으로 쓰일 수 있고

심을 埶 예

흙 土 토 + 어진 사람 인 발 儿 + 흙 土 토  + 알 丸 환 

‘土 + 土’ 는 대지

‘丸’ 은 씨앗

'어진 사람이 밭에서 씨앗을 심다' 를 그린 것이고

云 은 '말하다'란 뜻

‘밭에서 씨앗을 길러내는 것 즉 농사짓는 방법을 말하는 것' 을

'재주' 를 나타냈다

혹은 ‘밭에서 씨앗을 길러내는 것 즉 농사짓는 방법을 일러 재주’ 라 한다

 

 

471. 말 분명치 않다 ? 몽

입 口 구 +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입  + 풀 + 덮을 + 하나 + 돼지 으로는

말 분명치 않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초 두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입에서 돋아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말 분명치 않다 를 나타냈다

 

472. 어릴 蒙 몽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어리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즉

아직 덜 나온 것을 그려

어리다 를 나타냈다

 

473. 덮을 幪 몽

수건 巾 건 + 풀 초 머리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수건 + 풀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덮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 것을 수건(베)로 덮다 를 그려

덮다 를 나타냈다

 

474. 어두울 懞 몽

마음 심 변 + 풀 초 머리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마음  + 풀 + 덮을 + 하나 + 돼지 로는

(마음이) 어둡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나오는 하나의 마음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마음이)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5. 어두울(동이 트다) 曚 몽

날 日 일 + 풀 초 머리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날 + 풀 초 머리 + 덮을 + 한 + 돼지 로는

동이 트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 돋아 나오는 해를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동이 트다 (어둡다) 를 나타냈다

 

477. 가랑비 濛 몽

물 수 변 +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물  + 풀 + 덮을  + 한 + 돼지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듣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서 물이 듣어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하늘에서 내리는 물을 모두 가릴 순 없으므로)

가랑비 를 나타냈다

 

478. 지는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朦 몽

달 月 월 +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달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지는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를 나타낼 순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하늘 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하늘에서 돋아 나오는 달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달빛이 어른거리다(흐리다) 를 나타냈다

 

479. 청맹과니 矇 몽

눈 目 목 +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눈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청맹과니 를 나타낼 순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돋아 나오는(좋은) 눈을 하나 로 덮어 가리다 를 그려

청맹과니 (눈은 멀쩡히 뜨고 있는데 앞을 못 보는 사람)

를 나타냈다

 

480. 싸움배 艨 몽

배 舟 주 +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배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싸움배 를 나타낼 수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치고 오르다→치고 오다→치며 오다) 의 전환으로

치며 오는 배를 덮어 가리고 나가는 배를 그려

싸움배 를 나타냈다

 

481. 말이 불분명하다 ?

말씀 言 언 + 풀 초 머리  + 덮을冖멱 + 한 一 일 + 돼지 豕 시

말씀  + 풀 + 덮을  + 한 + 돼지

로는 말이 불분명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풀 초 머리 : 나오다-나타나다

한 一 일 을 하나→것 으로 전환해

돼지 豕 시 의 훈인 돼지의 우리 말은 ‘돝’이다

→돋→돋다(돋우다) 의 전환으로

말이 돋아 나오는 것을 덮어 가리다 를 그려

말이 불분명하다 를 나타냈다

 

*. 번거로울 菐  

풀 초 머리 艸 + 아름다울 美 미

풀 초 머리 艸 는 손을 쓰다 를 나타낸다

해서 아름다워지기 위해 손을 쓰는 것은 번거롭다

는 뜻을 그린 문자다

 

1011. 어리섞다 憃 충

봄 春 춘 의 원형은

풀 초 머리 + 움터나오다 屯 둔 + 해 日 일 로

햇볕을 밭아 풀이 움터나오다 를 그려 봄 을 나타낸 자

어리섞다 憃 충 은

풀 초 머리 卄 + 움터나오다 屯 둔 + 절구 臼 구 + 마음 心 심

풀 초 머리 卄 의 초-풀 은 풀어지다 로

움터나오다 屯 둔 은 진치다 로

절구 臼 구 는 여인의 음부 로 해석되어

마음이 여인의 음부에 진을 치고 풀어져 있는 것을 그려

어리섞다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