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가 들어간 자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소전체를 보면

불꽃 炎 염 + 날 - 해 日 일 + 불 火 화

(불꽃 - 세차게 타다 焱 염 (혁))

로 '불이 해처럼 세차게 타다/해처럼 세차게 타는 불' 을 그려

‘횃불 - 불놓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큰 大 대 + 불 火 화 + 해 日 일 + 작을 小 소' 로 보고

'작은 해와 같은 큰 불' 을 그려

'횃불' 을 나타냈다로 볼 수도 있고

'해가 작아져 (없어져) 만든 큰 불' 을 그려

'횃불' 을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 벼슬아치 - 예쁘다 僚 료

사람 인 변 亻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횃불을 든 사람 즉

'앞에서 인도하는 사람/밝은 사람' 을 그려

'벼슬아치 - 예쁘다' 를 나타냈다

 

*. 울다 - 멀리까지 들리는 소리 嘹 료

입 口 구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口' 는 여기선 '소리' 를 나타내

'횃불처럼 멀리까지 보이는 소리' 를 그려

'멀리까지 들리는 소리 -울다' 를 나타냈다

 

*. 예쁘다 - 외조모 嫽 료

계집 女 여 + 횃불 - 불놓다 尞 료 (요)

'여인이 횃불처럼 밝은 - 선명하다' 을 그려

'예쁘다' 를 나타냈고

'불을 다스리는 여인' 를 그려

'외조모'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벼슬아치 寮 료

집 宀 면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집을 밝게하는 이' 를 그려

'벼슬아치'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자지 㞠 료

몸 尸 시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불을 내놓는 몸 (의 조직)' 을 그려

'자지' 를 나타냈다

*. 자지 屪 료

몸 尸 시 + 집 宀 면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집 안에 불을 내놓는 몸 (의 조직)' 을 그려

‘자지'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산이 높다 嶚 료

뫼 山 산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산이 횃불처럼 멀리서도 보인다' 를 그려

'산이 높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산이 높다 嶛 료

뫼 山 산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산이 횃불처럼 멀리서도 보인다' 를 그려

'산이 높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똑똑하다 - 밝히다 憭 료

마음 심 변 忄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마음이 횃불처럼 밝다' 를 그려

'똑똑하다 - 밝다' 를 나타냈다

 

*. 쥐다 - 얼르다 撩 료

손 수 변 扌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손에 횃불을 쥐다' 를 그려

'쥐다 - 취하다 - 얼르다' 를 나타냈다

 

*. 밤에 사냥하다 獠 료

개사슴 록 변 犭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동물을 잡으려 횃불을 들다' 를 그려

'밤에 사냥하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작고 긴 모양 (尞攴) 료

횃불 尞 료 + 칠 攴 복

우리말 '치다' 는 '여긴다' 도 나타내기에

위의 그림과 같이 작고 긴 모양의 횃불로 여긴다

를 그려 '작고 긴 모양' 을 나타냈다

 

*. 밝다 - 환하다 暸 료

날 日 일 + 횃불 尞 료

'날이 횃불같다' 를 그려

‘밝다 - 환하다' 를 나타냈다

 

*. 눈이 밝다 曢 료

날 日 일 + 벼슬아치 寮 료 ( 집 宀 면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집 안을 해처럼 밝게 보다' 를 그려

‘눈이 밝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패하다 (歹尞) 료

죽을 사 변 歹 + 횃불 尞 료

'선봉의 횃불이 꺼지다' 를 그려

'패하다' 를 나타냈다

 

*. 화톳불 - 밝다 燎 료

불 火 화 + 횃불 尞 료

‘火’ 는 '태우다 - 불을 놓다 - 익히다' 등도 의미한다

'횃불을 태우다 (우리말 태우다는 놓다도 의미한다)' 를 그려

‘화톳불 - 밝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뜰에 세운 횃불 爎 려

불 火 화 + 벼슬아치 寮 료 ( 집 宀 면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火’ 는 '태우다 - 불을 놓다 - 익히다' 등도 의미한다

'횃불을 태우다 (우리말 태우다는 놓다도 의미한다)' 를 그려

해서 ' 집안에 놓은 횃불' 을 그려

'뜰에 세운 횃불'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굽다 爒 료

고기구울 炙 적 + 횃불 尞 료

'炙' 는 '고기 육 변 月 + 불 火 화'

‘火’ 는 '태우다 - 불을 놓다 - 익히다' 등도 의미한다

해서 '불에 고기를 익히다' 를 그려

'굽다' 를 나타냈다

 

*. 풀 이름 藔 료

풀 초 머리 艹 + 뚫을 寮 료

'땅을 뚫고 나온 풀' 을 그려

'풀 이름'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멀다 - 요나라 遼 료 (요)

쉬엄쉬엄갈 착 변 辶 + 횃불 尞 료

'멀리서 보이는 횃불' 을 그려

‘멀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병 고치다 療 료

병질 疒 녁 +  횃불 尞 료

병들다 + 횃불 로는 병 고치다 를 나타낼 수 없고

횃불 尞 료 의 뜻인 밝히다 를 써

병을 밝히다 를 그려

병을 고치다 를 나타냈다

 

*. 눈 밝다 - 아득하게 보이다 瞭 료

눈 目 목 + 횃불 尞 료

'눈이 횃불처럼 밝다' 를 그려

'눈 밝다' 를 나타냈고

'멀리서도 보이는 횃불이 보이다' 를 그려

'아득하게 보이다' 를 나타냈다

 

*. 천제 지내다 (示尞) 료

(제사상을 그린) 보일 示 시 + 횃불 尞 료

횃불은 불 중에서도

 '선봉에 서서 인도하는 불 - 큰 불 - 밝은 불' 을 의미할 수 있어

'맨 꼭대기를 밝힌다' 를 나타낼 수 있겠다

해서 '맨 위를 밝히는 제사' 를 그려

'천제를 지내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뚫다 - 집 - 비다 竂 료

구멍 穴 혈 + 횃불 尞 료

'횃불이 있는 구멍' 을 그려

'안이 비어 있는 동굴 (집)' 을 그려

‘뚫다 - 집 - 비어 있다' 를 나타냈다 

 

*. 종묘에 고기 담는 대나무 제기 簝 료

대 竹 죽 + 횃불 尞 료

우리말 '태우다' 는 '놓다' 란 뜻이 있어

'태우는 대나무' 를 그려

'종묘에 고기 담는 대나무 제기'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감기다 - 다스리다 - 두르다 繚 료

실 사 변 糹 + 횃불 尞 료

실의 기능인 '잇다' 를 적용해

'밝게 잇다' 를 그려

'실을 감다 - 실을 다스리다' 를 나타냈다

 

*. 작고 긴 배 (舟尞) 료

배 舟 주 + 횃불 尞 료

위 그림과 같이 작고 긴 모양의 횃불과 배를 그려

'작고 긴 배' 를 나타냈다

 

*. 쓰르라미 蟟 료

벌레 虫 훼 + 횃불 尞 료

나무 꼭대기에 불이 있는 횃불처럼

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쓰르라미의 특성에서 '꼭대기' 부분을 강조해

'꼭대기에 앉아 있는 벌레' 를 그려

'쓰르라미'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말 잘하다 䜍 료

말씀 言 언 + 횃불 尞 료

'말을 횃불처럼 밝게 앞에서 인도하듯 하다' 를 그려

'말 잘하다' 를 나타냈다

 

*. 오랑캐 이름 䝤 료

해태 豸 치 + 횃불 尞 료

짐승을 의미하는 豸 와 '횃불 尞 료' 를 함께 그려

밤 눈이 밝았다고 알려진 족속의 이름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성큼성큼 걷다 - 다리 긴 모양 (走尞) 료

달릴 走 주 + 횃불 尞 료

위의 그림처럼 작고 긴 모양의 횃불에서 '길다'

‘달릴 走 주' 에서 '달리는 다리' 를 그려

‘다리 긴 모양' 을 나타냈고

'성큼성큼 걷다' 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달리다 蹽 료

발 족 변 ? + 횃불 尞 료

'다리가 밝다' 를 그려

'다리가 그 기능에 밝다/충실하다' 를 그려

‘달리다' 를 나타냈다

 

*. 수레 덮게 - 구르다 轑 료

수레 車 거 + 횃불 尞 료

나무 꼭대기에 불이 있는 횃불처럼

'수레의 꼭대기' 를 그려 '수레 덮개를 나타냈고

'수레의 기능에 밝다' 를 그려 '구르다' 를 나타냈다

 

*. 술이 맑다 (酉尞) 료

술 - 닭 酉 유 + 횃불 尞 료

'술이 밝다' 를 그려

'술이 맑다' 를 나타냈다

 

*. 은 - 풍로 鐐 료

쇠 金 금 + 횃불 尞 료

'밝은 쇠' 를 그려

'은' 을 나타냈고

'(횃) 불을 품고 있는 쇠' 를 그려

'풍로' 를 나타냈다

 

*. 길다 镽 료

긴 長 장 + 횃불 尞 료

'길고 밝은 횃불' 을 그려

‘밝다' 를 나타냈다

 

*. 뱁새 䨅 료

홰불 尞 료 + 새 隹 추

“15세기 - 17세기엔 '볍새'

18세기엔 '밥새'

19세기엔 '볍새 - 뱝새'

20세기부터 '뱁새' 로 불리고 있는 새를

'䨅' 자가 만들어지던 시기엔 '불새' 로 불리우지 않았을까?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얼굴이 희다 䩍 료

낯 面 면 + 횃불 尞 료

'횃불처럼 밝은 낯' 을 그려

'얼굴이 희다' 를 나타냈다 

 

*. 바람 소리 - 산들바람 飉 료

바람 風 풍 + 횃불 尞 료

'밝은 바람' 을 그려 ‘산들바람' 을 나타냈고

'바람과 횃불 타는 소리' 를 합쳐

'바람소리'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요기하다 䭜 료

밥 식 변 飠 + 횃불 尞 료

'밝게/현명하게 먹다' 를 그려

'요기하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머리카락 가늘고 길다 (髮 밑에 尞) 료

터럭 髮 발 + 횃불 尞 료

‘머리털이 횃불처럼 가늘고 길고 밝다' 를 그려

'머리카락 가늘고 길다' 를 나타냈다

 

*. 놀라다 (鬼尞) 료

귀신 鬼 귀 + 횃불 尞 료

'귀신의 불 즉 도깨비 불' 을 그려

'놀라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