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巫俗人 무속인 과 巫堂 무당

***. 巫俗人 무속인 과 巫堂 무당

사전적으론 길흉화복을 점치고 굿을 주관하는 사람의 총칭으로

지역이나 성별에 따라 호칭에 차이가 있는데

지역적으로

충청도에서는 법사, 전라도에서는 단골, 제주도에서는 심방이라고도 한다

성별에 따라

여자 무당은 만신이라고 하며

남자 무당은 박수 - 화랭이 - 낭중 - 양중 이라고도 한다

최근 巫堂 무당 이란 말에는 천시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 고 하여

巫俗人 무속인이란 표현을 쓰기도 한다고 한다

 

巫俗人 무속인 의 문자적 의미를 살펴보면

*. 무당 巫 무

하늘 - 초자연적인 존재 를 나타내는  ̄ +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 + 

땅을 나타내는 ▁ + 사람들 세상을 나타내는 人人

해서 巫 는

하늘 - 초자연 혹은 초인간적인 존재들과

사람들이 사는 땅위의 세상을 연결시켜주는 존재를 가리킨다

 

*. 속되다 - 속인 俗 속

사람 인 변 亻 + 골 谷 곡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골에 사는 사람을 그려

속되다 - 속인을 나타냈다

'속되다 - 속인' 에서 '보통 - 세상 - 풍습’ 등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 사람 人 인

사람이 팔을 뻗고 있는 모습이라 옥편은 설명하지만

두 사람이 서로 의지하고 사는 모습을 그린 것에 더 가깝다

불안정한 한사람 ノ +  불안정한 한사람 ヽ

불안정해 보이는 두사람이 모여

陽 양과 陰 음이 모여 안정되어 보이는 人 사람이 된다

 

해서 巫俗人 무속인 의 문자적 의미는

하늘 - 초자연 혹은 초인간적인 존재들과

사람들이 사는 땅위의 세상을 연결시켜주는 일을 업으로 삼은 존재를 가리킨다

巫俗 무속 의 문자적 의미는

무속인이 하늘 - 초자연 혹은 초인간적인 존재들과

사람들이 사는 땅위의 세상을 연결시켜주는 풍속을 가리킨다

고 할 수 있겠다

 

*. 큰 집 - 할아버지가 같은 친척 堂 당

높이다 尚 상 + 흙 土 토

'흙을 쌓아 높인 것' 을 그려

'큰 집' 을 나타냈다

‘큰 집에서 제사지낼 때 함께하는 사람’을 의미해

‘할아버지가 같은 친척' 도 나타낼 수 있었던 것 같다

 

“최근 巫堂 무당 이란 말에는 천시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하여

巫俗人 무속인이란 표현을 쓰기도 한다고 한다” 지만

본래 무당 - 제사장 이 족장을 겸하고 있었기 때문에

내 씨족이나 부족의 무당은 씨족원이나 부족원이었기 때문에

‘巫堂 무당’ 으로 제사장을 표현하지 않았나 추측해 볼 수 있겠다 

 

갑골문

=

+

금문

+

소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