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字文 천자문 ⊕⊕ 7
劍號巨闕 珠稱夜光
검호거궐 주칭야광
거궐이라 불리는 검
야광이라 불리는 구슬
(이 유명했다)
*. 칼 - 죽이다 劍 검
다 僉 첨 + ‘칼 刀 도' 방刂
‘다 僉 첨’ 은
여러 사람 (人人) 이 하는 말들 (口口) 이
(모을 亼 집) 하나가 된다는 것을 그림으로써
‘모두 다’를 그려냈다
해서 劍 은 ‘다 가른다' 를 그려
'완전히 절단하다 - 칼' 을 나타냈다
劍閣 검각 : 長安 장안 (현 西安市 서안시) 에서 蜀촉 (현 四川省 사천성) 으로
가는 길에 있는 두 산, 大劍山 대검산 과 小劍山 소검산 사이에 있는 要害地
요해지 의 관문을 이른다고 한다. (지나족 고대 서쪽 수도 장안, 동쪽 수도 낙양)
(가교 - 잔도 - 누각 - 문설주 - 대궐 - 복도 - 사다리 閣 각)
劍匣 검갑 : 칼을 넣어두는 궤. (상자 - 궤 匣 갑)
劍光如電 검광여전 : 칼빛이 번개와 같이 날카로움.
(빛 - 명예 - 영광 - 은혜 - 시간 - 햇살 - 기운 - 경치 - 문물의 미 - 넓다 - 멀다 光 광)
(같을 -가다 - 이르다 - 무리 - 어조사 如 여, 번개 - 번쩍이다 電 전)
劍戟 검극 : 칼과 창. 劍槊 검삭. 무기. 戎器 융기. (갈래진 창 - 찌르다 戟 극)
劍器 검기 : 刀劍 도검 (한쪽 날 칼과 양날 검) 과 器物 기물 (살림에 쓰는
그릇붙이). 칼춤. 향악의 칼춤에 쓰던 칼.
(그릇 - 그릇으로 여기다 - 재주 - 度量 도량 器 기)
*. 이름 - 부르짖다 - 울다 號 호
소전
=
(대롱이나 뿔을 이용해 소리를 내는 것을 그린 부르짖다 - 이름 号 호)
+
(범 虎 호)
부르짖다 - 이름 号 호 + 범 虎 호
입 口 구 + 하다 - 공교하다 丂 교 + 범 虎 호
口 입이 하는 기능 중에 소리를 내놓는 것이 있고
丂 하다 - 잘하다
虎 는 특별하게를 나타낸다
사람들이 무서워하던 범은
사람들이 들으면 어떤 의미에서든 일단 특별하게 생각하게 된다
해서 '특별히 - 특별한 소리를 내놓다’ 를 그려
'이름 - 부르짖다 - 울다' 를 나타냈다
號叫 호규 : 울부짖음. 소리 지름. 외침. (부르짖다 - 멀리 들리다 叫 규)
號旗 호기 : 신호용의 기. 信號旗 신호기. 軍旗 군기. (기 - 대장기 旗 기)
號咷 호도 : 목 놓아 욺.大哭 대곡. (울다 - 어린 아이가 울어대다 咷 도)
號令 호령 : 지휘하는 명령. 큰 소리로 꾸짖음.
(시키다 - 명령 - 법 - 하여금 - 장관 - 착하다 - 가령 令 령)
*. 클 巨 거
장인 工 공 + 손을 그린 ⊃
하늘을 그린 ㅡ + 땅을 그린 ㅡ + '잇다/이어주다' 를 그린 ㅣ + 손을 그린 ⊃
해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손' 을 그려
'크다' 를 나타냈다
巨姦 거간 : 큰 죄를 저지른 간악한 사람.
(간사하다 - 간음하다 - 거짓말하다 - 옳지 않다 - 악한 - 훔치다 - 아름답다 姦 간)
巨鯨 거경 : 큰 고래. 큰 것의 비유. (고래 - 숫고래 鯨 경) (크다 - 서울 京 경)
巨款 거관 : 큰 돈. 巨額 거액. (돈 - 조목 - 정성스럽다 - 사랑하다 - 막히다 款 관)
巨觀 거관 : 굉장하고 볼 만한 관경. 壯觀 장관. 커다란 樓客 누각.
(보다 - 보이다 - 놀다 - 모양 - 대궐 - 태자의 궁관 - 무덤 - 생각 觀 관)
巨魁 거괴 : 일당의 우두머리. 頭目 두목.
(우두머리 - 괴수 - 으뜸 - 크다 - 별 이름 魁 괴)
巨觥 거굉 : 큰 잔. (외뿔소의 뿔로 만든 잔 - 크다 - 꼿꼿하다 - 굳세고 바르다 觥 굉)
*. 망루 - 대궐 - 빠지다 - 모자라다 - 빼다 - 제외하다 闕 궐
문 門 문 + 숨차다 欮 궐 (거스를 屰 역 + 하품 欠 흠)
'문이 높아 쳐다 보기에도 숨이 찬다' 를 그려
‘궐'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보겠다
“宮門外有兩闕 궁문외유양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宮闕) 궁궐)
궁문 바깥의 양편에 있는 망루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궁의 성벽 - 성루 - 성문 까지를 포함하다
‘궐' 이란 말만으로도 대궐까지 의미하게 되었다
여기선 '궁문 양 옆의 망루 사이가 (문이 열려) 비어 있다 - 뚫려 있다' 로부터
'뜷다' 의 뜻으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闕閣 궐각 : 宮門 궁문 의 樓閣 누각.
(가교 - 잔도 - 누각 - 문설주 - 대궐 - 복도 - 사다리 閣 각)
闕略 궐략 : 뺌. 생략함. (대략 - 간략하게 - 거의 - 노략질하다 - 다스리다 略 략)
闕漏 궐루 : 새어 없어짐. 실수. 틈. (새다 - 뚫다 - 구멍 - 잃어버리다 - 물시계 漏 루)
闕榜 궐방 : 과거에 낙제함. 꼭 해야 될 일을 하지 않음.
(급제자 성명을 게시하는 패 - 문자로 표지삼는 목패 - 방을 써붙이다 - 노 榜 방)
闕本 궐본 : 한 帙 질 에서 권수가 모자라는 일. 또는 그 빠진 책. 缺闕 결본.
(책 - 문서 - 밑 - 원본 - 원금 - 바탕 - 본가 - 조상 - 고향 - 본디 - 선행 - 근본 -
근본으로 삼다 本 본) (책갑 - 권질 - 작은 주머니 帙 질)
闕祀 궐사 : 제사를 지내지 않거나 제삿날을 지나치어 못 지냄. 闕祭 궐제.
(제사 - 제사지내다 - 해 (年)祀 사)
'크다' 는 '멀다 혹은 대단하다' 를 나타내기도 하므로
'巨闕 거궐' 은 ‘잘 뚫는 검 - 잘 베는 검’ 을 나타낼 수 있었다
巨闕 거궐 은
“(월나라의 구야자가 만든 보검으로
거궐로 청동이나 쇠그릇을 찌르면 기장쌀만한 구멍이 곳곳에 뚫렸는데
이는 검의 날이 워낙 예리하고 잘들어
쇠붙이 속의 공기 거품이 눌리지 않고 그대로 잘려나가)"
'잘 뚫는다' 는 의미의 '巨闕 거궐' 이란 이름이 생겨났다고 한다
*. 구슬 珠 주
구슬 옥 변 王 + 붉을 朱 주
902. 붉을 朱 주
나무 木 목 + ? (화살을 나타내는 부호)
목에 화살이 박히면 목이 붉게 된다
는 뜻을 표현한 문자다
木 을 신체의 일부로 전환시켜 표현했다
'목에 화살이 박히면 목으로부터 붉은 구슬이 흘러내린다'
를 그려 ‘구슬' 을 나타냈다
珠閣 주각 : 화려한 樓閣 누각. (누각 - 문설주 - 대궐 - 복도 - 사다리 閣 각)
珠璣 주기 : 구슬. 珠 는 둥근 구슬.
(네모난 구슬 - 둥글지 않은 구슬 - 작은 구슬 璣 기)
珠丹 주단 : 진주빛으로 빛나는 연지. (붉을 - 정성 - 정련한 약물 丹 단)
珠聯璧合 주련벽합 : 구슬이 줄지어 모임. 아름다운 것이 많이 모임. 훌륭한 선비가
모임. (연하다 - 잇닿다 - 돕다 - 합하다 - 열 집 - 열 사람 聯 련, 고리 모양의 둥근 옥 璧 벽, 합하다 - 모으다 - 모이다 - 같다 - 대답하다 - 짝 合 합)
朱闕 주궐 : 붉은 칠을 한 궁궐.
(망루 - 대궐 - 빠지다 - 모자라다 - 빼다 - 제외하다 闕 궐)
朱紐 주뉴 : 옥으로 만든 붉은 단추 (끈 - 매다 - 묶다 - 매듭 - 관여하다 紐 뉴)
(紐 는 ‘실 糸 사 + 소 丑 축’ 으로 보지만 ‘丑’ 는 소전의 모양이 ‘⋺ + 丨’ 로
모양도 의미도 ‘다스릴 尹 윤’ 에 가깝다
朱螺 주라 : 붉은 칠을 한 소라 껍데기로 만든 취주 악기의 한 가지
(소라 - 고둥 (고동) 螺 라)
朱欄畫閣 주란화각 : 붉은 칠을 한 난간에 단청으로 채색한 화려한 누각
(난간 - 울간 (짐승을 기르는 곳) 欄 란) (그림 畫 화)
(가교 - 잔도 - 누각 - 문설주 - 대궐 - 복도 - 사다리 閣 각)
*. 일컫다 - 칭찬하다 - 저울 - 저울질하다 - 맞다 - 어울리다 稱 칭
벼 禾 화 + 들다 爯 칭
벼 禾 화 + 손톱 爪 조 + '다시 再 재' 의 약형으로
저울질할 때 최소한 두 번은 재야 하기 때문에
저울과 비슷하게 생긴 혹은 저울을 상형한
'다시 再 재' 의 약형으로 저울을 나타내
‘손으로 저울을 잡고 벼의 무게를 재다' 를 그려
'저울질하다 - 재다 - 칭찬하다 - 부르다 - 일컫다’ 를 나타낼 수 있었다
稱擧 칭거 : 칭찬하여 천거함. (들다 - 올리다 - 천거하다 - 권하다 擧 거)
稱達 칭달 : 칭찬하여 권장함. (권장하다 - 천거하다 - 통달하다 - 이르다 達 달)
(逹 은 達 의 譌字 와자)
稱貸 칭대 : 돈이나 물건을 빌려주고 이익을 취함. 빌림.
(빌리다 - 꾸다 - 갚다 - 베풀다 貸 대)
稱德 칭덕 : 덕을 칭송함. 사람의 도리를 밝혀 거행함. 만물이 그 덕에 맞음.
(남을 위하는 마음가짐 - 은혜 - 크다 - 가르침 - 복 - 나다 德 덕)
稱道 칭도 : 칭찬하여 말함.
(바른 길 - 길 - 도리 - 이치 - 기능 - 작용 - 인도하다 - 말하다 道 도)
稱量 칭량 : 저울로 무게를 닮. 사정이나 형편을 헤아림.(헤아리다 - 생각하여 분별하다 - 예상하다 - 곡식을 되는 용기인 휘 量 량)
*. 밤 夜 야
갑골문
= 사람을 그린
+ 양쪽 겨드랑이를 그린
금문
,
,
(
은 신체 조직을 나타내는 고기 육 변 月)
소전
예서
소전의 모양을
또 亦 역 의 변형 + 저녁 夕 석 으로 해석하거나
사람을 뜻하는 大 모양 + 옆구리를 지시하는 ヽ + 달을 의미하는 '저녁 夕 석'
으로 보기도 하지만
예서의 모양대로
돼지 해 머리 亠 두 + 사람 인 변 亻 + 불똥 丶 주 + 뒤처져 올 夂 치
로 보고
지붕을 의미해 집을 나타내는 돼지 해 머리 亠 두
사람 인 변 亻
촛불을 그린 불똥 丶 주
시간을 천천히 보낸다를 의미하는 뒤처져 올 夂 치
로 집안에 불켜 놓고 느긋하게 시간을 보내는 시간
을 그려 ‘밤'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보겠다
夜客 야객 : 밤손님. 盗賊 도적.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客 객)
夜景 야경 : 밤의 경치나 정경.
(경치 - 볕 - 양지 - 크다 - 우러러보다 - 남풍 - 그림자 景 경)
夜攻 야공 : 밤에 적을 공격함. (치다 - 공격하다 - 다스리다 - 짓다 攻 공)
夜光 야광 : 밤에 빛남. 밤에 빛나는 빛. 달의 딴 이름. 반딧불의 딴 이름.
夜光珠 야광주. 夜光璧 야광벽.
(빛 - 명예 - 영광 - 은혜 - 시간 - 햇살 - 기운 - 경치 - 문물의 미 - 넓다 - 멀다 光 광)
夜勤 야근 : 밤에 일함. (힘쓰다 - 일하다 - 부지런하다 - 근심하다 - 은근하다 勤 근)
夜氣 야기 : 밤기운. 깨끗하고 조용한 마음. 精氣 정기 를 회복할 때의 정신 상태.
(만물 생성의 근원 즉 元氣 원기 - 풍취 - 느낌 - 모양 -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夜對 야대 : 임금이 밤에 신하를 불러 講書 강서 하던 일.
(대답하다 - 마주보다 - 같다 - 당하다 - 짝 - 원수 對 대)
夜臺 야대 : 무덤의 구덩이. 壙穴 광혈.
(돈대 (조금 높은 평지) - 하인 - 코골다 - 잔디 - 관청 - 고관 臺 대)
夜邏 야라 : 야경을 돎. 야경꾼. (순찰하다 - 돌다 - (연기나 노을 따위) 연하 가
산에 끼이다 邏 라)
夜郎自大 야랑자대 : 야랑이 스스로를 큰 나라라고 여김. 세상 물정 모르고 함부로
잘난 체하고 뽐냄. 夜郎 야랑 은 고구려 시대 漢 한 나라의 西南 서남 지역에서
우세했던 나라로, 夜郎侯 야랑후 가 한나라 사신에게 자기 나라와 한나라의
優劣 우열 을 물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
(젊은이 - 청소년 - 사내 - 남편 - 벼슬 이름 - 행랑 郎 랑, 스스로 - 저절로 - 몸 -
〜 로 부터 自 자, 큰 - 길다 - 높이는 말 - 지나다 大 대)
夜涼 야량 : 밤의 신선함.
(서늘하다 - 엷다 - 맑다 - 슬퍼하다 - 쓸쓸하다 - 근심 - 맑은 술 涼 량)
238. 빛 - 빛나다 - 영광 - 경치 - 넓다 - 크다 光 광
불 火 화 + 어진 사람 인 발ㄦ
어진 사람은
사람 人 인 의 오른편을
卵生 난생 인 새를 나타내기 위해 '새 을 의 변형인 乚' 을 그려
그냥 사람이 아닌 난생설화를 갖고 있는 동이족을 말하며
빛 光 광 자는
동이족이 불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냈으며
그래서 동이족이 빛이 났다는 의미를 그린 것이다
(849-4. 어진 사람 ㄦ 인 발
어진 사람 ⎠ 인 발 + 새 乚을
지금까지 우리는 ㄦ를 어진 사람 인 발 이라고 불렀으나
새가 데리고 온 혹은 (새의) 알로부터 생겨난 민족이란
건국 신화들을 갖고 있는 민족이다
ㄦ의 사람의 두 다리로 본다면
오른쪽 다리는 꺾여 있는 상태다
굳이 다리가 꺾인 것같은 그림으로 다리를 나타낸 것은
우리의 난생설화를 반영한 것이다
난생설화를 가지고 있는 우리 민족이 만든 문자다)
불을 사용하는 방법을 널리 알린 수인씨 燧人氏 로
수 燧 자는
불 火 화 + 이룰 遂 수 로
이 분이 불의 사용법을 널리 알린 분이다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光價 광가 : 좋은 평판. 好評 호평. 聲價 성가 를 높임. (값 - 가치 - 시세 價 가)
光景 광경 : 상태와 모양. 情景 정경. 경치. 빛. 빛나는 모양. 德澤 덕택 이나
威勢 위세 가 壯盛 장성 한 모양.
(경치 - 볕 - 양지 - 크다 - 우러러보다 - 남풍 - 그림자 景 경)
光慶 광경 : 慶事 경사. (경사 - 선행 - 복 - 하례하다 慶 경)
光爛 광란 : 밝음. 환함. (밝다 - 촛불 빛 - 불에 데어 문드러지다 爛 란)
光芒 광망 : 비치는 빛발. 光線 광선. (가시랭이 - 까끄랭이 - 꼬리별 芒 망)
光明 광명 : 밝은 빛. 밝고 환함. 빛나는 사람. 賢者 현자 중의 현자. 영광스러운
일. 또는 세력이 있는 일. 번뇌⋅죄악의 암흑을 비추어 信仰上 신앙상 의 智見 지견
을 주는 것.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비치는 빛.
(결백하다 - 빛 - 밝다 - 희다 - 새벽 - 낮 - 이승 - 시력 明 명)
光輔 광보 : 크게 도움. (돕다 - 도움 - 광대뼈 - 아전 - 京畿 경기 輔 보)
6장은 땅 위에서 금속과 옥이 생산되는 곳을 밝혔다
이어지는 7장에선 금속으로 만든 칼과
옥을 가공하여 만든 구슬에 대해 말한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9 (19) | 2023.03.18 |
---|---|
天字文 천자문 ⊕⊕ 8 (5) | 2023.03.17 |
天字文 천자문 ⊕⊕ 6 (2) | 2023.03.15 |
天字文 천자문 ⊕⊕ 5 (3) | 2023.03.14 |
天字文 천자문 ⊕⊕4 (6)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