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天字文 천자문 ⊕⊕ 6

天字文 천자문 ⊕⊕ 6

 

金生麗水 玉出崑岡 금생여수 옥출곤강

금속은 여수에서 생산되고

옥은 곤륜산에서 생산된다

 

*. 쇠 - 철 - 금속 - 구리 - 금속으로 만든 그릇 - 무기 - 악기 金 금

금문

=

(작은 가루로도 본다) +

(‘이제 今 금' 의 변형 혹은 ‘머금다 含 함' 의 

本字 로도 본다) +

(광산을 그린 ‘흙 土 토' 로도 본다)

금문

금문

소전

예서

예서

金 의 원형은⇟과 비슷하며 아랫부분이 V 모양 대신에 ⛛ 모양이다

⛛ 모양은 날카로운 것을 그린 모양이며

丰 은 '겹칠 丰 봉' 으로

'날카로운 것이 겹쳐있음' 을 그려

'쇠' 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모을 亼 집 + 흙 土 토 + 빛이 나는 것을 그린 丷

으로 '흙 속에 모여 있는 빛나는 것' 을 그려

‘쇠'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金甲 금갑 : 황금으로 장식한 갑옷.

(갑옷 - 껍질 - 첫째 천간 - 시작하다 - 법령 甲 갑)

金剛 금강 : 五行 오행 의 金 금 의 氣 기. 금강석.

如來 여래 의 知德 지덕 이 견고하여 일체의 번뇌를 깨뜨림.

金剛神 금강신 : 불법을 수호하기 위해 절의 문 양쪽에 세운 한 쌍의 神將 신장.

金剛力士 금강역사.

金剛心 금강심 : 견고하여 깰 수 없는 보살의 큰 마음.

專念 전념 하여 변하지 않는 신앙심  (굳세다 - 굳다 - 바야흐로 剛 강)

金景 금경 : 황금의 빛. (경치 - 볕 - 양지 - 크다 - 우러러보다 - 남풍 - 그림자 景 경)

金鏡 금경 : 금으로 꾸민 거울. 달의 딴 이름. 金丸 금환. 밝은 德 덕.

(거울 - 비추다 - 안경 鏡 경)

金界 금계 : 절. 佛寺 불사. (땅의 경계 - 한계 - 경계를 삼다 - 이간질하다 界 계)

金鼓 금고 : 軍中 군중 에서 쓰는 종과 북. 鼓 는 진격할 때, 金 은 후퇴할 때 씀.

(북 - 계량용기 휘 鼓 고)

金鼓振天 금고진천 : 종소리와 북소리가 하늘을 뒤흔듦. 격렬한 전쟁.

(거두다 - 떨치다 - 두려워 떨다 - 예 - 오래되다 - 구제하다 振 진)

(하늘 - 자연 - 진리 - 임금 - 운수 - 타고나다 天 천)

金谷酒數 금곡주수 : 罰酒 벌주. 罰杯 벌배. 고구려 시대 晉 진 나라의 石崇 석숭 

이 金谷 금곡 의 별장에 빈객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고 시를 짓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벌주 서 말을 마시게 한 고사에서 온 말.

(경로 - 좁은 길 - 골 - 골짜기 - 홈 - 홈통 - 살이 깊은 곳 - 막히다 - 기르다 자라게 

 하다  谷 곡, 술 - 냉수 酒 주, 몇 - 수 - 셈 - 세다 數 수)

金骨 금골 : 쇠와 뼈. 견고한 곳의 비유. 귀중한 물건. 仙藥 선약 의 이름. 

神仙 신선 의 모습. 舍利 사리.  (뼈 - 사람의 품격 - 

몸 - 중심이 되는 것 - 골격 - 굳다 - 강직하다 - 혈통 - 꼿꼿하다 - 요긴하다 骨 골)

金科玉條 금과옥조 : 金玉 금옥 과 같이 훌륭한 科條 과조. 귀중한 법률. 

절대적으로 여기는 교훈과 규칙. (품등 - 조목 - 법 - 과거시험 - 죄 - 구멍 - 웅덩이 科 과, 구슬 - 옥 - 사랑하다 - (옥같이 아름다운 물건이 되도록) 이루다 玉 옥,

가지 - 뻗어나가다 - 조목 - 조리 - 법 - 끈 - 줄 - 용수철 條 조)

金管 금관 : 금으로 만든 퉁소. 금으로 만든 붓대.

(맡아 다스리다 - 법 - 관 - 붓대 - 피리 - 열쇠 - 고동 - 樞要 추요 管 관)

金貫子 금관자 : 2품 이상의 관리가 달았던 황금으로 만든 망건 관자.

(화살촉 - 돈꿰미 - 벼리 (規繩 규승) - 맞다 - 익숙하다 貫 관)

(첫째 地支 지지 - 사람 - 어르신네 - 아들 - 자식 - 임 - 이자 - 열매 - 씨 -임자 - 

자네 - 쥐 - 북방 子 자, 貫子 : 망건에 달아 망건 줄을 꿰는 작은 고리)

金塊 금괴 : 금의 덩이.  (흙덩이 - 뭉치 - 홀로 塊 괴)

金口 금구 : 금속으로 만든 그릇의 부리. 말을 가볍게 하지 아니함. 남의 말의 경칭.

 天子 천자 의 말. 聖旨 성지. 부처의 말. 석가의 說法 설법.

(입 - 어귀 - 인구 - 호구 - 구멍 - 말하다 - 실마리 口 구)

金丘 금구 : 서쪽. 西方 서방. 五行 오행 에서 金 금 은 西 서 에 배당되는 데서 

온 말. (언덕 - 크다 - 높다 - 모으다 - 고을 - 스님 丘 구)

金口木舌 금구목설 : 敎令 교령 을 낼 때 흔들어서 청중에게 주의를 환기하는 큰 

종. 학자가 지위를 얻어 가르침을 베풂. (입 - 어귀 - 인구 - 호구 - 구멍 - 말하다 - 

실마리 口 구)(나무 - 동방 - 질박하다 - 뻣뻣하다 - 곧다 - 무명 木 목) 

말 - 혀  - 언어 - 목관 악기에 끼워 소리를 내는 물건 舌 설)

金甌無缺 금구무결 : 조금도 흠집이 없는 황금 단지. 방위가 튼튼하여 외국에게 

수모를 받은 적이 없는 완전무결한 국가. (사발 - 뙈기밭 - 움집 甌 구, 없다 - 

아니다 - 말다 - 비다 - 풀 이름 - 있어야 할 곳에 없고 없어야 할 곳엔 있다 無 무)

(이지러지다 - 그릇 깨지다 - 이 빠지다 - 비다 - 무너지다 - 번개 번쩍이다 缺 결)

金甌覆名  금구부명 : 황금 단지로 이름을 덮음. 宰相 재상 을 임명함.

唐 당 玄宗 현종 이 재상을 고를 때마다 그 성명을 쓴 종이를 황금 단지로 덮어서 

신하에게 맞추게 한 뒤에 임명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 (되풀이 하다 - 엎치다 - 덮을 

覆 복 - 부, 명예 - 이름 - 이름짓다 - 명령하다 名 명)

金口閉舌 금구폐설 : 입을 다물고 혀를 놀리지 아니함. 침묵함. 金 은 噤 으로 

‘입을 다물다' 를 뜻함. (입 - 어귀 - 인구 - 호구 - 구멍 - 말하다 - 실마리 口 구,

닫다 - 가리다 - 마치다 - 자물쇠 - 도지개 (뒤틀린 활을 바로잡는 틀) 閉 폐,

말 - 혀  - 언어 - 목관 악기에 끼워 소리를 내는 물건 舌 설)

金闕 금궐 : 道敎 도교 에서 天帝 천제 가 있는 곳. 黃金闕 황금궐. 

천자의 궁궐. 禁闕 금궐. 황금으로 꾸민 문.

(대궐 - 대궐문 - 궐하다 (빼놓다 - 잃다) - 허물 - 이지러지다 - 비다 - 뚫다 闕 궐)

金匱 금궤 : 금으로 장식하여 만든 궤. 쇠로 만든 궤. 귀중한 물건을 넣어 두고 길이 

전하는 데에 씀. (함 - 다하다 - 가난하다 匱 궤)

金匱石室 금궤석실 : 쇠로 만든 상자와 돌로 만든 방.  책을 엄중하게 간직하는 곳.

(돌 - 비석 - 돌로 만든 악기 - 숫돌 石 석, 언덕 厂 엄 + 돌을 그린 口, 언덕/산에 있는 

돌을 그려, '돌' 을 나타냈다, 집 - 방 - 아내 - 전대 - 묘 구멍 - 칼집 室 실)

 

*. 날 生 생

갑골문

=

(풀 屮 초) +

(땅을 나타내는 한 一 일)

금문

소전

예서

예서체를 보면 화살모양 𠂉 + 흙 土 토

‘화살모양 𠂉’ 은 남근을

‘흙 土 토’ 는 여성의 음부를 그린 것으로 보면

남녀가 함께 아이를 낳는다

를 그려 ‘낳다’ 를 나타냈다

금문과 소전에 가까운

‘날 生 생’ 의 고자인 ‘날 (土 위에 Ψ) 생’ 의 해석은 현재까지

풀의 싹이 땅의 표면 위로 나온 모양 으로 되어 있다

한 가지 해석을 덧붙여 보자면

흙 土 토 + 뫼 山 산 으로

흙이 산이 된다 를 그려

(흙이 산을) 낳는다(낳다) 를 나타냈다

가 될 수 있겠다

 

生客 생객 : 모르는 손님. 처음 대면하는 사람.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客 객)

生絹 생견 : 生絲 생사 로 짠 깁 (명주실로 바탕을 조금 거칠게 짠 비단)

(명주 (견직물) 絹 견)

生訣 생결 : 생이별. 生別 생별.

(헤어지다 - 영결 (사별) 하다 - 사례하다 - 비결 訣 결)

生硬 생경 : 시문 따위가 세련되지 않아 딱딱함.

세상물정에 어둡고 완고함. (단단하다 - 강하다 - 익숙하지 않다 硬 경)

生計 생계 : 생활을 해 나갈 방도. (세다 - 셈하다 - 꿰하다 計 계)

生枯起朽 생고기후 : 마른 것을 살리고 썩은 것을 일으킴. 다 죽게 된 것을 살림.

(마르다 - 죽다 - 거칠다 枯 고, 일으키다 - 일어서다 - 기동하다 起 기, 썩을 - 망하다 

朽 후)

生穀 생곡 : 익히지 않은 곡식. 곡식이 남.

(곡식 穀 곡, 벼 禾 화 + 껍질 殼 각, 벼와 함께 둘러싸일 수 있는 것들)

生光 생광 : 빛이 남. 영광스러워 낯이 남. 生色 생색. 아쉬운 때에 쓰게 되어 

보람이 있음. 일식⋅월식 때에 皆既蝕 개기식 이 끝나 다시 빛이 나는 일.

(빛 - 빛나다 - 영광 - 경치 - 넓다 - 크다 光 광)

生壙 생광 : 생전에 미리 만들어 놓은 墓所 묘소. 壽藏 수장.

(뫼 구덩이 (무덤의 하관하는 곳) - 굴 - 넓다 壙 광)

生口 생구 : 사로잡은 적군. 捕虜 포로. 말이나 노새 따위의 가축. 牲口 생구.

(사람 - 식구 - 입 - 말하다 - 어귀 - 구멍 口 구, 사람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

生剋 생극 : 五行 오행 의 相生相極 상생상극.

(이기다 - 능하다 - 메다 - 지기 싫어하는 성질 즉 勝癖 승벽 剋 극)

生擒 생금 : 사로잡음. 生捕 생포. (사로잡다 - 생포하다 - 포로 擒 금)

生氣 생기 : 만물을 생장⋅발육시키는 힘. 생생한 기운. 생동하는 기운. 敵愾心 

적개심 을 일으킴. 성냄. 노함. (만물 생성의 근원 즉 元氣 원기 - 풍취 - 느낌 - 

모양 -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生寄死歸 생기사귀 : 삶은 이 세상에 잠깐 머무르는 것이며, 죽음은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 (寄 는 宀 집안 大 사람에게 可 가능한 것은 ‘의존하다 - 의지하다 - 

맡기다 - 위탁하다 - 마음을 붙이다 - 부탁하다 - 의뢰하다 - 임시 주거,’ 죽다 - 

끊다 - 마치다 - 다하다 - 기운이 흩어지다 - 위태하다 死 사, 돌아오다 - 

돌려보내다 - 시집보내다 - 던지다 - 맡기다 - 허락하다 - 합하다 - 마치다 歸 귀)

生道 생도 : 백성을 살리는 길. 살아갈 방도. 生計 생계.

(바른 길 - 길 - 도리 - 이치 - 기능 - 작용 - 인도하다 - 말하다 道 도)

生動 생동 : 살아 움직임.

(움직이다 - 짓다 (作) - 감응 - 일어나다 - 난리 - 가다 - 행동 - 흔들다 - 동물 動 동)

生得 생득 : 사로잡음. 나면서부터 터득한 法 법.

(능하다 - 자신•힘•용기 등을 가지게 되다 - 얻다 - 탐하다 - 만족하다 - 서로 통하다 - 

덕 - 이루다 - 분명하다 - 체포하다 - 제어하다 得 득, 소전을 보면 

자축거릴 彳 척 + 조개 貝 패 + 헤아리다 - 법 寸 촌,

 '자축거릴 彳 척' 은 '길,' '조개 貝 패' 는 재물, '헤아리다-법 寸 촌' 은 ‘주웠다’ 를 

그린 것)

生冷 생랭 : 날 음식과 찬 음식. 冷氣 냉기 가 생김.

(차다 - 춥다 - 맑다 - 쓸쓸하다 - 동정심이 없다 - 식히다 冷 냉)

生靈 생령 : 생명. 목숨. 백성.

(죽은 사람의 혼백 - 영혼 - 정성 - 효험 - 신령 - 만유의 정기 - 인체의 정기 靈 령)

生路 생로 : 살아나갈 방도. 살아서 빠져나갈 수 있는 길. 낯선 길. 생소한 길.

(길 - 크다 - 수레 路 로)

生老病死 생로병사 :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큰 고통. 

四苦 사고. (늙다 - 늙은이 - 어른  老 로)

(질병 - 병들다 - 근심하다 - 피로하다 - 아프다 - 괴롭다 病 병)

(죽다 - 끊다 - 마치다 - 다하다 - 기운이 흩어지다 - 위태하다 死 사)

生類 생류 : 산 것. 곧, 동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生物 생물.

(비슷하다 - 같다 - 나누다 - 무리 - 좋다 - 대개 類 유)

生理 생리 : 萬物 만물 의 生育 생육 원리. 하늘에서 인간으로 生 생 을 받은 

까닭. 생물이 죽고 사는 도리. 月經 월경. 달거리. (살결 - 나무의 결 - 도리 - 

이치 - 다스리다 - 재판관 - 매개 - 거동 - 임금이 바깥으로 내뱉은 것 理 리)

 

**. 고울 麗 려

짝지어가다 - 곱다 - 빛나다 丽 려  + 사슴 鹿 록

'사슴이 짝지어가다' 를 그려

'짝지어가다 - 아름답다 - 곱다' 를 나타냈다

사슴뿔은 양쪽으로 대칭이라 '짝' 을 나타낼 수 있다

*. 사슴 鹿 록

소전의 모양은 사슴을 그린 것으로

예서를 파자해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자로

소전맨 윗부분은 뿔의 상대를

그 아래 부분은 하대를

그 아래 부분은 머리

견줄 比 비 모양은 네 다리

집 广 의 厂 모양은 몸통을 그린 것으로 보인다

‘짝지어가다' 에서 '보기좋다 - 곱다 - 아름답다 - 깨끗하다 - 정결하다'

등의 의미도 파생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麗曲 여곡 : 아름다운 노래. (곡조 - 잠박 - 굽다 - 까닭 - 그르다 曲 곡)

麗句 여구 : 아름다운 시문의 문구. (글귀 - 맡아보다 - 거리끼다 句 구)

麗都 여도 : 아름답고 화려함. (아름답다 - 성하다 - 도읍 都 도)

麗木 여목 : 無窮花 무궁화 의 딴 이름. (나무 - 동방 - 뻣뻣하다 - 곧다 木 목)

麗妙 여묘 : 아름답고 절묘함. (묘할 - 간들거리다 - 젊다 - 예쁘다 妙 묘)

麗妙 여묘 : 아름답고 絶妙 절묘 함. (묘할 - 간들거리다 - 젊다 - 예쁘다 妙 묘)

麗文 여문 : 아름다운 文采 문채. (현상 - 글월 - 어귀 - 글자 - 문채 - 빛나다 - 법률 - 착하다 - 아롱지다 - 꾸미다 - 아름답다 - 채색 - 결 (理) 文 문)

麗靡 여미 : 곱고 화사함. 靡麗 미려. (예쁘다 - 좇다 - 아닐 - 없다 - 쓰러지다 - 

쏠리다 靡 미, 木 는 ‘삼나무를 그린 그림’ 으로 木木 를 삼 (나무 껍질) + 삼 (나무 

껍질) 로 ‘삼삼' 으로 非 는 ‘아니한가' 로 ‘삼삼하지 아니한가' 로 ‘예쁘다 - 화려하다' 

를 나타냈다. 또한 ‘삼 麻 마 + 아닐 非 비’ 로 ‘아닌 것으로 삼다' 로 아니다 - 없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麗密 여밀 : 아름답고 세밀함.

(노력하다 - 힘쓰다 - 감추다 - 빽빽하다 - 편안하다 - 비밀로하다 密 밀,

편안하다-비밀로하다 宓 밀 + 뫼 山 산, 산에는 보이지 않는 - 비밀스런 것들이 

무수히 많다 - 빽빽하다, ‘편안하다-비밀로하다 宓 밀’ 은

집 宀 면 + 반드시 必 필, ‘비밀스런 일은 반드시 집안에서 해야함을 그린 그림)

麗辭 여사 : 아름다운 말. 고운 말. (말씀 - 헤어지다 - 거절하다 辭 사)

 

*. 물 水 수

물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그린 글자로

"음인 フ 과 양인 ㄑ 사이에서 흘러나오는 것亅" 을 그려

‘물' 을 나타냈다고도 한다

 

水脚 수각 : 뱃삯. 배가 물 위에 떠 있을 때 물에 잠기는 부분.

(발을 잡는 것 - 파발꾼 - 다리 - 발 脚 각)

水閣 수각 : 물가에 세운 누각. 水樓 수루.

(누각 - 문설주 - 대궐 - 복도 - 사다리 閣 각)

水脚銀 수각은 : 뱃삯. 旅費 여비 의 한 가지. 

(발을 잡는 것 - 파발꾼 - 다리 - 발 脚 각)

(은 - 은으로 만든 그릇 - 은빛 - 경계 - 날카롭다 銀 은)

水鑑 수감 : 모양을 비추어 보기 위하여 거울로 삼은 물. 물거울.

(거울 - 보다 - 거울삼다 鑑 감)

水閘 수갑 : 물문. 水門 수문. (물문 - 문을 여닫다 - 닫다 閘 갑)

水客 수객 : 뱃사공. 수로를 가는 여객. 船客 선객. 마름꽃의 딴 이름.

각지에 가서 화물을 매매하는 상인.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客 객)

水居 수거 : 물가에 삶. 물속에서 삶. 물속에서 사는 것. 물고기와 조개류.

(살다 - 거처하다 - 편안하다 - 앉다 - 그치다 - 쌓다 居 거)

水渠 수거 : 도랑. 溝渠 구거.

(도랑 - 깊고 넓다 - 크다 - 껄껄 웃다 - 저이 (저 사람) - 저 渠 거)

水鏡 수경 : 물이 물체를 반영하듯이, 공평한 처지에서 사물을 판단하여 남의 

모범이 되는 일. 총명한 사람. 달의 딴 이름. 물속에서 물이 눈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쓰는 안경. (거울 - 비추다 - 비추어 보다 - 안경 鏡 경)

水工 수공 : 治水作業 치수작업 을 하는 사람. 뱃사공. 대궐 안의 各司 각사 

에서 물을 긷거나 마당을 쓰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장인 - 공교하다 - 벼슬아치 - 만들다 工 공)

水攻 수공 : 강물을 막아 적의 성을 침수시키는 전법. 用水 용수의 길을 끊어 

적군이 갈증에 못 견디어 항복하게 하는 전법.

(공격하다 - 치다 - 다스리다 - 짓다 - 굳다 - 남의 허물을 말하다 攻 공)

水瓜 수과 : 수박. (오이 - 참외 모과 瓜 과)

水郭 수곽 : 강가나 바닷가에 있는 촌락.

(성곽 - 둘레 - 벌리다 - 나라 이름 - 성 郭 곽)

水寛魚大 수관어대 : 물이 깊고 넓으면 큰 고기가 깃들임. (관대하다 - 느슨하다 - 

사랑하다 寛 관, 물고기 - 물고기를 잡다 - 두 눈이 흰 말 魚 어, (①크다 - 지나다 - 

길다 - 높이는 말 ②극하다 - 심하다 大 ①대 ②다) 

水光 수광 : 수면에 비치는 빛. (빛 - 빛나다 - 영광 - 경치 - 넓다 - 크다 光 광)

水廣則魚游 수광즉어유 : 물이 넓으면 고기가 모여 놂. 덕이 있으면 자연히 

사람이 따름. (광대함 - 마음 쓰는 도량이 크다 廣 광, 곧 - (법) 則 즉 - (칙), 

물고기 - 물고기를 잡다 - 두 눈이 흰 말 魚 어, 놀다 - 헤엄치다 - 순히 흐르다 游 유)

水怪 수괴 : 물속에 사는 괴물.

(괴이할 - 기이하다 - 요괴 - 의심하다 - 깜짝 놀라다 怪 괴)

水國 수국 : 호수⋅늪⋅내⋅섬 따위가 많은 땅. 水鄕 수향.

(나라 - 나라를 세우다 - 고향 - 땅 - 일정한 국가의 영토 - 세상 - 세계 國 국)

水龜 수귀 : 남생이. (거북 - 점치다 - 본뜨다 龜 귀) 

水歸海 수귀해 : 냇물과 강물이 바다로 돌아감. 人心 인심 이 어떤 사람에게 

歸服 귀복 함. (돌아오다 - 돌려보내다 - 시집보내다 - 던지다 - 맡기다 - 허락하다 - 

합하다 - 마치다 歸 귀, 바다 - 세계 - 많다 - 넓다 크다 - 그믐 海 해)

水根 수근 : 물의 근원. 水源 수원. 수중 식물의 뿌리.

(뿌리 - 근본 - 밑동 - 뿌리박다 - 뿌리뽑다 - 수학의 근 - 간방에서 나왔다 根 근)

水祇 수기 : 물을 맡아 다스리는 신. 水神 수신.

(토지의 신 - 편안하다 - 크다 - 공경하다 - 마침내 - 다만 祇 기)

水氣 수기 : 물기. 습기. 수증기. 腎經 신경 의 음기.

(만물 생성의 근원 즉 元氣 원기 - 풍취 - 느낌 - 모양 -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水弩 수노 : 물여우. 물속에 설치한. 돌로 만든 쇠뇌.

(여러 개의 화살이나 돌을 잇따라 쏘게 만든 큰 활, 쇠뇌 弩 노)

水塘 수당 : 貯水池 저수지.  (못 - 둑 - 제방 - 저수지 塘 당)

水碓 수대 : 물방아. 水磨 수마. (방아 - 물방아 碓 대)

水稻 수도 : 논에 심는 벼. (벼 稻 도)

水到渠成 수도거성 : 물이 흐르면 자연히 도랑이 이루어짐.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道 도 가 이루어짐. 때가 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짐. 水到魚行 수도어행.

(이를 到 도, 이를 至 지 + 선 칼 도 방 刂, 칼을 들고 도착했다,  도랑 - 깊고 넓다 - 

크다 - 껄껄 웃다 - 저 이 (저 사람) - 저 渠 거, 이루다 - 되다 - 화목하다 成 성)

水到魚行 수도어행 : 물이 흐르면 고기가 그 속을 다님. 때가 오면 일이 이루어짐.

(물고기 - 물고기를 잡다 - 두 눈이 흰 말 魚 어, 실행하다 - 가다 - 순시하다 - 줄 - 

대열 - 보내다 行 행)

水剌 수락 : 임금이 먹는 밥. 水刺 수라. (어그러질 - 수라 剌 랄 - 라,

찌를 - 수라 刺 자 - 라)

水落 수락 : 시냇물이 줄어듦. (떨어질 - 새로 만든 종에 피를 바르다 - 마을 - 하늘 - 

죽다 - 쇠하다 - 헤어지다 - 쌀쌀하다 - 술잔 - 폐하다 - 논마지기 落 락)

水落石出 수락석출 : 강물이 말라 밑바닥의 돌이 드러남. 겨울 江 강 의 경치.

드디어 사건의 眞相 진상 이 밝혀짐. 정체가 드러남.  (돌 - 비석 - 돌로 만든 악기 - 

숫돌 石 석, 언덕 厂 엄 + 돌을 그린 口, 언덕/산에 있는 돌을 그려, '돌' 을 나타냈다)

(나오다 - 나가다 - 낳다 - 토하다 - 물리치다 - 도망하다 - 보이다 - 벼슬하다 出 출)

水簾 수렴 : 물의 발. 폭포. (발 - 珠簾 주렴 簾 렴)

水路 수로 : 물이 흐르는 길. 배가 다니는 길. (길 - 크다 - 수레 路 로)

水礱 수롱 : 水力 수력 을 이용하여 穀物 곡물 을 쓿는 맷돌. 水磨 수마 따위.

(갈다 - 맷돌 礱 롱)

 

*. 구슬 玉 옥

三 는 옥을

丨 는 옥을 꿴 끈을

점 、 주 는 불꽃을 나타내기도 하니 영롱함을 나타낸 것으로

구슬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또한

임금 王 왕 + 점 、 주

로 '임금이 갖고 있는 영롱한 것' 을 그려

'옥' 을 나타냈다고도 억측해 볼 수 있겠다

 

玉玦 옥결 : 고리 모양. 한 쪽이 트인 고리 모양의 佩玉 패옥.

(옥패 - 노리개 - 활깍지 玦 결)

玉京 옥경 : 도교에서 天帝 천제 가 있다는 곳. 서울. 皇都 황도.

(서울 - 언덕 - 크다 - 창고 - 근심하다 京 경)

玉鏡 옥경 : 옥으로 만든 거울. 달의 딴 이름. 호수 따위의 수면이 맑고 잔잔한 모양.

수면이 얼어 있는 모양. (거울 - 비추다 - 안경 鏡 경)

玉階 옥계 : 대궐 안의 섬돌. 섬돌의 미칭. 玉砌 옥체.

 (섬돌 - 층계 - 벼슬 次例 차례 階 계)

玉稿 옥고 : 훌륭한 原稿 원고. 남의 원고의 존칭. (볏집 - 초고 - 초안 稿 고)

(원고 - 초안 - 초고 - 볏짚 稿 고)

 

玉昆金友 옥곤금우 : 옥 같은 형과 금 같은 아우. 남의 형제의 미칭.

(맏 - 형 - 뒤 - 자손 - 같다 - 다 昆 곤, 금속 - 황금 - 돈 - 쇠 - 병장기 - 귀하다 - 

오행의 하나 金 금, 벗 - 벗하다 - 우애 - 합하다 友 우)

玉骨 옥골 : 매화나무의 딴 이름. 옥 같은 뼈. 고결한 풍채. 뼈의 미칭.

(뼈 - 요긴하다 - 꼿꼿하다 骨 골)

玉關 옥관 : 하늘의 관문. 코 (鼻).

(관문 - 역참 - 잠그대 - 관계하다 - 문빗장 - 통하다 關 관)

玉關情 옥관정 : 遠征 원정 간 남편을 그리워하는 아내의 쓸쓸한 정희. 玉關 

옥관 은 甘肅省 감숙성 敦煌 돈황 에 있는, 匈奴 흉노 땅과의 경계에 설치된 

관문 이름. (사랑 - 심정 - 뜻 - 마음 속 - 욕망 情 정)

玉轎 옥교 : 임금이 타던 가마. (가마 - 사람이 타는 작은 수레 轎 교)

玉肌 옥기 : 희고 깨끗한 살결. 미인의 살결. 玉膚 옥부. (살 - 피부 肌 기)

玉女 옥녀 : 미녀. 남의 딸의 경칭. 仙女 선녀. 神女 신녀.

 (여자 - 딸 - 시집을 보내다 女 녀)

玉奴 옥노 : 여자. 계집. (종 - 노비 奴 노)

玉堂 옥당 : 아름다운 殿堂 전당. 고구려 시대 漢 한 나라 궁전의 이름. 女官 여관 

의 방. 한나라 관청의 이름. 고려시대 宋 송 나라 이후의 翰林院 한림원 의 딴 

이름. 弘文館 홍문관 의 딴 이름. 홍문관의 副提學 부제학 이하 실무를 맡아보던 

관리의 총칭. (집 - 대청 - 마루 - 당당하다 - 조부에서 갈린 일가 堂 당)

玉臺 옥대 : 옥으로 만든 望臺 망대. 玉皇上帝 옥황상제 가 있는 곳.

(돈대 (조금 높은 평지) - 하인 - 코골다 - 잔디 - 관청 - 고관 臺 대)

玉童 옥동 : 仙童 선동. 귀여운 어린이. (아이 - 우뚝한 모양 - 어리석다 - 

아직 뿔이 나지 않은 양이나 소 - 벗겨지다 - 민둥산 - 대머리 童 동)

玉斗 옥두 : 옥으로 만든 술구기. 玉杓 옥작. 北斗七星 북두칠성.

(북두성 등 별 이름 - 용적을 재는 단위 '말' 斗 두)

玉燈 옥등 : 옥으로 만든 등잔. 아름다운 등잔불.

(등 - 등잔 - 등불 - 초 - 촛불 - 佛法 불법 燈 등)

玉路 옥로 : 제왕이 타는 수레. 路 는 輅로 수레를 뜻함. (길 - 크다 - 수레 路 로)

玉露 옥로 : 구슬같이 아름다운 이슬. (나를 감싸주는 이가 없음 - 고달프다 - 

이슬 - 새나가다 - 드러나다 - 나타나다 露 노-로)

玉漏 옥루 : 옥으로 장식한 물시계. 漏 는 漏刻 누각.

(눈물 - 울다 - 눈물을 흘리다 - 촛농이 떨어지다 淚 루)

玉樓 옥루 : 아름다운 樓閣 누각. 화려한 궁전. 玉殿 옥전. 道家 도가 에서, 

어깨를 이름. 눈이 쌓인 누각. (기생집 - 망루 - 다락 樓 루)

 

*. 날 出 출

처음 시작은 발모양을 그린 자였으나

단군조선에서 쓰이던 예서체부터는 '屮' 모양으로 변해

“초목의 싹이 차츰 위를 향하여 뻗어나오는 모양을 본뜬 글자” 혹은

“초목이 차츰 가지를 위로 뻗으며 자라나는 모양을 본떠서

성장하다 - 출생하다 등의 뜻을 나타낸다”

입 벌릴 凵 감 + 싹 삐죽 나오다 屮 철 (혹은 풀 艸 초 의 고자)

 

出家 출가 : 집을 떠나감. 속세의 생활을 버리고 佛道 불도 에 들어감, 승려가 됨.

(집 - 남편 - 아내 - 가정 - 가족 - 한 집안의 계통 즉 가계 - 주거하다 - 조정 家 가)

出嫁 출가 : 처녀가 시집을 감. (시집가다 - 시집보내다 - 가다 嫁 가)

出嫁外人 출가외인 : 시집간 딸은 친정 사람이 아니므로 남이나 마찬가지임.

(바깥 - 겉 - 잊다 - 멀리하다 - 다르다 - 위 - 제쳐놓다 - 외가 外 외, 사람 - 인품 - 

남 - 백성 人 인)

出脚 출각 : 은퇴했다가 다시 벼슬에 나아감. (발을 잡는 것 - 파발꾼 - 다리 - 

발 脚 각)

出閣 출각 : 태자가 諸侯 제후 가 되어 나감. 공주가 시집감. 여자가 시집감.

(누각 - 문설주 - 대궐 - 복도 - 사다리 閣 각)

出降 출강 : 帝王 제왕 의 딸이 신하의 집으로 시집감 (내릴 - (항복하다) 降 강 

-(항))

出去 출거 : 나감. 떠나감. (갈 - 바뀌다 - 덜다 去 거)

出格 출격 : 應制 응제 나 表章 표장 을 쓸 때. 敬意 경의 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른 

줄보다 한 자 올려서 쓰던 일. 격식에서 벗어남. 別格 별격. 破格 파격.

(이르다 - 다다르다 - 바로잡다 - 법 - 자리 - 품등 - 담 - 뒤얽히다 格 격)

出京 출경 : 시골로 가려고 서울을 떠남. 出都 출도.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옴.

(서울 - 언덕 - 크다 - 근심이 많다 京 경)

出系 출계 : 養子 양자 로 들어가서 그 집의 대를 이음.

(핏줄 - 혈통 - 실 - 끈 - 실마리 - 매다 系 계)

出庫 출고 : 물품을 창고에서 꺼냄. (곳집 - 문 이름 - 별 이름 庫 고)

出告反面 출고반면 : 자식 된 도리는, 외출할 때 반드시 부모에게 고하고, 

돌아와서는 반드시 부모 앞에 나아가 돌아왔음을 아룀.

(발표하다 - 가르치다 - 고하다 - 알리다 - 찾다 - 묻다 - 말미 告 고, 돌아오다 - 

돌이키다 - 거스르다 反 반, 얼굴 - 향하다 - 보이다 - 얼굴을 돌리다 - 눈앞 - 

다면체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 -  행정 구획의 하나 面 면)

出谷遷喬 출곡천교 : 새가 봄에 깊은 산골에서 나와 높은 나무에 올라앉음. 

사람의 轉居 전거⋅출세 등의 비유.

(경로 - 좁은 길 - 골 - 골짜기 - 홈 - 홈통 - 살이 깊은 곳 - 막히다 - 기르다 자라게 

하다  谷 곡, 바뀌다 - 옮기다 - 벼슬 바뀌다 遷 천, 높을 - 큰 나무 - 창갈구리 - 

교만하다 喬 교' 의 소전을 보면 '높을 高 고' 위에 사람이 있는 모양)

出恭 출공 : 변소에 감.

(공손하다 - 공경하다 - 삼가다 - 엄숙하다 - 본받다 - 받들다 - 바치다 恭 공)

出口 출구 : 나가는 곳. 입에서 나옴. 말이 입에서 나옴. 멀리 귀양 보냄.

(사람 - 식구 - 입 - 말하다 - 어귀 - 구멍 口 구, 사람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

出群 출군 : 많은 사람 중에서 빼어남. (무리 - 떼를 짓다 - 모으다 - 많다 群 - 羣 군)

出氣 출기 : 怒氣 노기 를 띰. 화냄. 성냄.

(만물 생성의 근원 즉 元氣 원기 - 풍취 - 느낌 - 모양 -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出納 출납 : 금전⋅물품을 내어 주거나 받아들임. 지출과 수입.

(바치다 - 거두어 들여 간직함 - 들이다 納 납)

出頭 출두 : 頭角 두각 을 나타냄. 남보다 뛰어남. 出席 출석. 호출을 받아 

관청에 나감. 御史出頭 어사출두.

(최상부 - 머리 - 우두머리 - 꼭대기 - 끝 頭 두)

 

*. 곤륜산 崑 곤

뫼 山 산 + 맏 昆 곤

7천 미터가 넘는 높은 산으로

아름다운 옥이 많이 나는 등

온갖 좋은 표현은 다 동원해 미화되어온 산

'맏형인 산' 을 그려

'곤륜산' 을 칭했다

 

崑岡 곤강 : 崑崙山 곤륜산 의 딴 이름. (산등성이 - 언덕 岡 강)

崑腔 곤강 : 곤산의 위양보가 옛 곡조를 고쳐 만든 것으로 南曲 남곡 이라고 함.

(노래 곡조 - 몸 안의 빈 곳 - 빈 속 - 창자 - 뼈대 - 말 허구리 腔 강)

 

*. 산등성이 - 언덕 岡 강

그물 罔 (그물 罒 망 + 망할 亡 망) 망 + 뫼 山 산

으로도 보고

소전을 보면

‘그물 - 덮어씌우다 网 망’ 의 변형 + 뫼 山 산

으로 ‘산의 높은 곳이 낮은 곳을 덮어씌우는 그물처럼 이어진 곳' 을 그려

'산등성이 - 언덕' 을 나타냈다

 

岡曲 강곡 : 언덕 모퉁이. (모퉁이 - 곡조 - 잠박 - 굽다 - 까닭 - 그르다 曲 곡)

岡陵 강릉 : 언덕. 구릉. 岡 은 낮은 언덕 陵 은 큰 언덕.

(큰 언덕 - 임금의 무덤 - 가파르다 - 업신여기다 - 짓밟다 - 높다 陵 릉)

岡巒 강만 : 언덕. 낮은 산. 丘山 구산.

(작고 뾰족한 산 - 둥근 봉우리 - 산 둘러 있다 巒 만)

岡阜 강부 : 작은 산. 언덕. (언덕 - 크다 - 살찌다 - 성하다 두둑하다 - 메뚜기 阜 부)

 

崑岡 곤강 은 곤륜산맥으로 곤륜산을 나타낸다

 

6장은 땅 위에서 금속과 옥이 생산되는 유명한 곳을 밝혔다

7장에선 금속으로 만든 유명한 칼과

옥을 가공하여 만든 유명한 구슬에 대해 말한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8  (5) 2023.03.17
天字文 천자문 ⊕⊕ 7  (2) 2023.03.16
天字文 천자문 ⊕⊕ 5  (3) 2023.03.14
天字文 천자문 ⊕⊕4  (6) 2023.03.13
天字文 천자문 ⊕⊕ 3  (4) 2023.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