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天字文 천자문 ⊕⊕ 5

天字文 천자문 ⊕⊕ 5

 

雲騰致雨露結爲霜

운등치우노결위상

구름이 (수증기의 형태로 땅으로부터) 올라가 비가 된다

(내린 비는 이슬이 되고) 이슬은 뭉쳐 서리가 된다

 

*. 구름 - 축축한 기운 - 높음의 비유 - 많음의 비유 - 멂음의 비유 - 성함의 비유 雲 운

갑골문

=

(二,天) +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움직임)

으로 보기도 하지만

’ 가 ‘天’ 이 아니고

/’ 이 ‘天’ 이고 ‘ +

’ 이 (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움직임)

으로 보인다

갑골문

 

(雨) 이 추가되었다

대전

 

(雨) 이

로 바뀌었고 

(云) 이

로 바뀌었다

소전

 

(雨) 이

로 바뀌었고,

(云) 이

로 바뀌었다

비 雨 우 + 위로 올라가는 움직임을 그린 이를 云 운

비가 위로 올라가다 ⟶ 사실은 비가 될 것이 위로 올라가다 ⟶ 비를 움직이다

를 그려

구름을 나타냈다

 

雲架 운가 : 높은 지붕. 雲棟 운동. (시렁 - 사다리 架 가)

雲駕 운가 : 임금이 타는 수레. (탈 것 - 임금이 타는 수레 駕 가)

雲脚 운각 : 구름이 움직여 가는 모양. 구름이 낮게 드리워 있는 모양. 구름발.

茶 차 의 딴 이름. (다리 - 발 脚 각)

雲間鶴 운간학 : 구름 사이를 나는 학. 고상한 인물. (사이 - 사이뜨다 - 가깝다 - 

병이 낫다 - 헐뜯다 - 섞이다 間 간, 학 [두루미] - 희다 鶴 학)

雲監 운감 : 觀象監 관상감 의 딴 이름.

(보다 - 살피다 - 헤아리다 - 감옥 - 어사 - 시인 - 내시 - 거울 監 감)

雲開見日 운개견일 : 구름이 열려 해를 보게 됨. 오랫동안 닫히고 막혔던 것이 

비로소 열려 통함. 의문이나 불안하던 것이 해소됨. 불화하던 사이에 화해가 

이루어짐. (개간하다 - 열다 - 풀다 - 통하다 - 베풀다 - 시작하다 開 개)

(보다 - 만나보다 - 상고하다 - 당하다 - 보는 바 見 견)

(일 - 해 - 하루 - 낮 - 나날이 - 때 日 일)

雲客 운객 : 구름 속의 사람. 신선이나 隱者 은자 의 美稱 미칭.

(나그네 - 사람 - 손님 - 단골손님 - 식객 - 지나다 - 붙이다 客 객)

雲車 운거 : 望樓 망루 가 있는 수레. 구름문을 새긴 수레. 신선이 탄다는 구름 

수레. (수레 - 바퀴 - 그물 - 잇몸 車 거)

雲衢 운구 : 구름이 흐르는 길. 雲路 운로.  (네거리 - 길 衢 구)

雲捲天晴 운권천청 : 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맑게 갬. 병이나 근심이 씻은 듯이 

없어짐. (말다 - 주먹 - 힘쓰다 捲 권, 하늘 - 자연 - 진리 - 임금 - 운수 - 타고나다 天 

천, 개다 - 맑은 날씨 晴 청)

 

雲根 운근 : 구름이 생기는 근원. 산의 높은 곳. 구름은 산에서 생긴다는 데서 온 

말. 바위. 구름은 바위 틈에서 생긴다는 데서 온 말. 구름.

(뿌리 - 근본 - 밑동 - 뿌리박다 - 뿌리뽑다 - 수학의 근 - 간방에서 나왔다 根 근)

雲錦 운금 : 아침노을. 朝霞 조하. 구름을 수놓은 비단. (비단 - 비단옷 錦 금)

雲錦裳 운금상 : 썩 아름다운 옷. 神仙 신선 이 입는 옷. 

(화려하고 아름다운 모양 - 낮에 입는 옷 - 치마 - 성하다 裳 상)

雲氣 운기 : 구름과 안개. 구름이 움직이는 모양. 공중으로 떠오르는 기운.

(만물 생성의 근원 즉 元氣 원기 - 풍취 - 느낌 - 모양 -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雲起龍驤 운기용양 : 구름이 일고 용이 올라감. 영웅이 奮起 분기 함.

(일으키다 - 일어서다 - 기동하다 起 기, 용 - 임금 龍 용, 말이 날뛰다 - 뛰어 오르다 - 

머리를 들다 - 달리다 - 달리게 하다 驤 양, 오르다 - 돕다 - 이루다 - 옮기다 襄 양)

雲泥 운니 : 구름과 진흙. 서로가 차이가 懸隔 현격 함. (진흙 - 수렁 - 흙손 泥 니)

雲堂 운당 : 雲水僧 운수승 이 모이는 僧堂 승당. 구름집. 道士 도사 의 방.

(집 - 대청 - 마루 - 당당하다 - 조부에서 갈린 일가 堂 당, 중 儈 승, 거간꾼 - 상인 儈 쾌)

雲屯 운둔 : 구름처럼 떼를 지어 모임. (모이다 - 진을 치다 - 진 - 둔전 屯 둔)

雲路 운로 : 구름이 길게 뻗쳐 있는 길. 벼슬하여 높은 지위에 오름.

(길 - 크다 - 수레 路 로)

雲龍 운룡 : 구름을 타고 승천하는 용. 天子 천자 나 王侯 왕후 나 영웅의 비유.

구름과 용의 무늬. (용 - 임금 龍 용)

雲龍風虎 운룡풍호 : 용은 구름을 좇고 범은 바람을 따름.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음. 聖主 성주 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 (바람 - 유행 - 풍속 - 경치 - 암수 서로 꾀다 

- 위엄 - 병 이름 - 모양 風 풍, 범 虎 호)

雲樓 운루 : 높다란 다락집. (기생집 - 망루 - 다락 樓 루)

雲林 운림 : 구름이 끼어 있는 숲. (수풀 - 숲 - 들 - 야외 - 많다 林 림)

雲物 운물 : 雲氣 운기 의 빛깔. 햇무리 (日暈) 의 빛깔. 景致 경치.

(햇무리 - 달무리 - 어지럽다 - 현기증나다 暈 운)

(만물 - 일 - 재물 - 무리 - 헤아리다 - 견주다 - 죽다 - 활을 쏠 때 서는 자리 物 물)

雲髮 운발 : 구름 같은 머리. 여자의 아름다운 머리. (터럭 - 머리털 髮 발)

雲翻雨覆 운번우복 : 인정이 번복되기 쉬움. 남녀의 환락. (雲雨翻覆 운우번복)

(엎치락뒤치락하다 - 뒤집다 - 번득이다 - 날다 翻 번, 비 - 비가 오다 雨 우, 한 - 일 + 

멀 冂 경 + 물방울 떨어지는 모양 :ㅣ:, 한 - 일 : 하늘을, 멀 冂 경 : 덮은 구름 사이로,

:ㅣ:   물방울 떨어지는 모양을 본뜬 글자, 되풀이하다 - 거듭하다 - 돌아오다 - 덮다 - 

대답하다 覆 복) (갈마들다 - 서로 번갈아 들다 番 번, 깃 - 날개 羽 우)

雲峯 운봉 : 산봉우리처럼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 봉우리. 구름이 걸려 있는 

높은 산봉우리. (산봉우리 峯 봉)

雲鬢 운빈 : 미인의 귀밑으로 드려진 탐스러운 머리털. (구렛나루 - 귀밑털 - 살쩍 

鬢 빈)

 

*. 오를 騰 등

나 朕 짐 + 말 馬 마

'朕’ 의 예서체는

사람을 나타내는 고기 육 변 月

  • 덮다를 나타내는 여덟 ハ 팔
  • 하늘 天 천

해서 '朕' 은 '하늘을 덮어 가릴만한 사람' 을 그려

'황제' 를 나타냈고

황제가 스스로를 이를 때 쓰였다

 

'朕’ 의 갑골문 - 금문 - 소전체는

갑골문

=

(두 손으로 노를 잡고 있는 모양)+

(배 舟 주)

금문

소전

예서

사다리 모양의 '배 그림' + 손으로 긴 작대기를 들고 있는 모양으로

‘노를 저어 배를 움직이다' 를 그려

'뱃사공 - 황제' 를 나타냈다

 

해서 騰 은

황제가 말에 오르다 혹은

말이 황제처럼 지위가 높은 곳으로 가다' 를 그려

'오르다' 를 나타냈다

 

騰駕 등가 : 탈것에 탐. (탈 것 - 임금이 타는 수레 駕 가)

騰降 등강 : 오름과 내림. 오르내림. (내릴 - (항복하다) 降 강 - (항))

騰矯 등교 : 위로 올라감. (곧추다 - 바로잡다 矯 교)

騰蛟起鳳 등교기봉 : 뛰어오르는 교룡과 날아오르는 봉황.

재능이 뛰어남의 비유. (교룡 蛟 교, 일어날 起 기, 봉황 鳳 봉)

騰貴 등귀 : 물가가 오름. (귀하다 - 귀히 여기다 - 좋다 貴 귀)

(치우치지 아니하고 바름을 나타내는 '바르다 中 중'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쓴 '한 一 일'

재물을 나타내는 '조개 貝 패'

로 재물보다 바름을 위에 놓는 것을 '귀하다' 라고 표현)

騰極 등극 : 임금 자리에 오름. (근본 - 바로잡다 -  임금 자리 - 극 - 극히 - 다하다 - 

극진하다 - 이르다 - 멀다 - 별 이름 -  極 극) 

騰達 등달 : 위로 오름. 立身出世 입신출세 함. 顯達 현달.

(逹 은 達 의 譌字 와자) (두루 - 골고루 - 모두 - 다 - 크다 - 제멋대로 굴다 - 

활달하다 - 방자하다 - 통달하다 - 이르다 - 이루다 - 천거하다 - 결단하다 達 달)

 

*. 극진하다 - 이르다 - 보내다 - 주다 - 맡기다 - 해당하다 - 맞다 致 치

이를 至 지 + 뒤쳐져 올 夂 치

‘뒤쳐져 이르다’ 를 그려 ‘이르다' 를 나타냈다

‘뒤쳐져 올 夂 치’ 와 ‘칠 복 방 夂’ 이 같은 모양이라

‘이를 至 지 + 칠 복 방 夂’ 으로 보면

치기 위해 이르게 (오게) 하다

혹은 '칠 복 방 夂' 의 칠을 '여기다' 의 의미인 치다로 보면

'이른 것으로 치다' 를 그려

'여기다'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다

 

致家 치가 : 家業 가업 을 이룸.

(집 - 남편 - 아내 - 가정 - 가족 - 한 집안의 계통 즉 가계 - 주거하다 - 조정 家 가)

致敬 치경 : 敬意 경의 를 다함. (공경하다 - 훈계하다 - 정중하다 - 삼가하다 敬 경)

致告 치고 : 정성을 다하여 아룀. (알리다 - 청하다 - 외양간 - 마굿간 告 고)

致命 치명 : 身命 신명을 바침. 명령을 전함. 목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름.

(목숨 - 운수 - 명령 - 이름짓다 - 목표 - 가르치다 - 천명 - 도 - 호적 命 명)

致罰 치벌 : 형벌을 가함. (벌주다 罰 벌, 꾸짖을 詈 리 + 칼 도 방 刂, 

벌이란 꾸짖고 칼을 씌운다, 혹은 꾸짖고 칼로 벤다,

그물 罒 망 + 말씀 言 언 + 칼 도 방 刂, 그물을 덮는 말로 칼을 씌운다)

致法 치법 : 형법을 적용함.

(법 - 모범 - 본보기 - 본받다 -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 法 법)

致福 치복 : 신하의 제사에서, 제사의 남은 고기를 임금에게 권하는 일. 남의 제사를 

代行 대행 하는 사람이 제사 지낸 나머지 고기를 관계자에게 권할 때 하는 말. 복을 

부름. 복이 오게 함. (복 - 아름답다 - 착하다 -상서롭다 - 음복하다 福 복)

 

*. 비 雨 우

한 - 일 + 멀 冂 경 + 물방울 떨어지는 모양 :ㅣ:

한 - 일 : 하늘을

멀 冂 경 : 덮은 구름 사이로

:ㅣ:   물방울 떨어지는 모양

을 본뜬 글자

 

雨脚 우각 : 빗발.  雨足 우족. (다리 - 발 脚 각)

雨傾盆 우경분 : 비가 억수같이 내리는 모양. (기울다 - 경사 - 다투다 傾 경, 동이 

盆 분)

(傾盆 경분 : 동이를 기울이다, 雨傾盆 우경분 : 물을 동이로 들이붓는 모양)

雨過 우과 : 비가 갬. 비가 지나치게 많이 옴.

(지날 - 지나치다 - 허물 - 그릇되다 過 과)

雨過天靑 우과천청 : 비가 막 갠 때의 하늘의 빛깔. 일종의 청자색.

(지날 - 허물 - 그릇되다 過 과, 하늘 天 천, 푸를 靑 청)

雨氣 우기 : 비가 올 듯한 기미. (만물 생성의 근원 즉 元氣 원기 - 풍취 - 느낌 - 

모양 -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雨期 우기 : 일 년 중 비가 많이 오는 시기. 雨季 우계.

(기한 - 기약하다 - 기다리다 - 한정하다 - 정하다 - 돌 - 백살 - 때 - 말을 더듬다 

期 기)

雨奇晴好 우기청호 : 빗속 경치도 썩 기이하거니와, 갠 후의 경치도 또한 좋음.

(기이하다 - 숨기다 - 때를 못만나다 奇 기, 奇 는 ‘大 크게 可 옳다’ 로 남다른 것으로 

‘기이하다' 를 나타낸 것, 개다 - 맑은 날씨 晴 청,  좋다 - 화목하다 - 아름답다 - 

사랑하다 - 좋아할 好 호)

雨露 우로 : 비와 이슬. 비와 이슬이 만물을 기르는 것처럼 은혜가 골고루 미침.

(나를 감싸주는 이가 없음 - 고달프다 - 이슬 - 새나가다 - 드러나다 - 나타나다 露 로)

雨潦 우료 : 빗물이 괸 곳. 웅덩이. (큰비 - 장마 - 길바닥에 괸 물 - 적시다 - 담그다 - 

떨쳐 일어나지 못하다 潦 료)

雨淚 우루 : 눈물이 비 오듯 흘러내림.

(눈물 - 울다 - 눈물을 흘리다 - 촛농이 떨어지다 淚 루)

雨淋 우림 : 비가 뿌림. (물방울 뚝뚝 떨어지다 - 물 뿌리다 - 장마 淋 림)

雨霖 우림 : 장마짐. (장마 - 비 안 그치다 霖 림)

 

322. 나를 감싸주는 이가 없음 - 고달프다 - 이슬 - 새나가다 - 드러나다 - 나타나다 

露 노-로

비 雨 우 + 발 족 변 ⻊ + 각각 各 각

즉 각각의 빗발을 그린 것이다

이슬이란 공기가 식어서 노점 露點 이하로 내려갈 때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물체의 표면에 부착한 것을

뜻하는데 옛 사람들은

각각의 빗발로 이슬을 나타냈다

露 는 ‘드러나다' 의 의미도 갖는데

보이지 않는 수증기가 물체의 표면에 부착되어

'물방울’ 로 드러나기 (보이기) 때문이다

 

露蓋 노개 : 수레의 덮개를 비바람에 맞게 함. 아랫사람을 돌보아 줌.

(덮다 - 가리다 - 이엉 - 우산 - 대개 蓋 개)

露車 노거 : 덮개가 없는 수레. 無蓋車 무개차. (수레 - 바퀴 車 거 - 차)

露檄 노격 : 봉하지 않은 격문. (격문 - 격서를 보내다 檄 격)

露髻 노계 : 관을 쓰지 않고 머리를 노출함. (상투 - (부엌 귀신) 髻 계 - (결))

露骨 노골 : 戰死 전사 하여 뼈를 싸움터에 드러냄.

가식이 없이 진실을 赤裸裸 적나라 하게 드러냄. (뼈 骨 골)

露光 노광 : 이슬 방울의 반짝이는 빛.  (빛 - 빛나다 - 영광 - 경치 - 넓다 - 크다 

光 광)

露根 노근 : 뿌리가 땅 위로 드러남. 어려운 일을 만남.

(뿌리 - 근본 - 밑동 - 뿌리박다 - 뿌리뽑다 - 수학의 근 - 간방에서 나왔다 根 근)

露臺 노대 : 지붕이 없는 누대. 임금이 觀象 관상 하던 곳. 靈臺 영대.

서양식 건축의 발코니.

(돈대 (조금 높은 평지) - 하인 - 코골다 - 잔디 - 관청 - 고관 臺 대)

 

*. 맺을 - 약속을 하다 - 단단히 하다 - 막다 - 늘어세우다 - 엇걸리게 하다 - 꾸미다 - 

짓다 - 바로잡다 - 구부리다 - 번뇌 結 결

실 사 변 糸 + 길할 吉 길

'실 사 변 糸' 은 '엮다 - 잇다 - 맺다' 를 의미하고

'길할 吉 길' 은 '길하다/길하게' 를 나타낸다

해서 '길하게 엮다 - 잇다' 를 그려

'맺다' 를 나타냈다

 

結價 결가 : 토지 1결 (농지 넓이의 단위) 에 대하여 매기던 조세.

( 가격 - 시세 - 가치 價 가)

結跏趺坐 결가부좌 : 坐禪 좌선 할 때 앉는 방법의 한 가지로

좌우의 다리를 서로 반대의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는 자세를 말한다.

(책상다리하여 앉다 - 도사리고 앉다 跏 가)

(책상다리하여 앉다 - 도사리고 앉다 趺 부, 앉을 - 무릎을 꿇다 坐 좌)

結界 결계 : 불도를 수행하는데 방해가 될 만한 것들을 들이지 않는 구역.

부처 앞의 內陣 내진 과 外陣 외진. 俗 속승 의 좌석을 구분하기 위하여 만든 

木柵 목책. 출입 금지 구역. (토지의 경계 - 경계를 삼다 - 한계 界 계)

불도를 수행하는데 방해가 될 만한 것을 들이지 않는 구역

結縎 결골 : 굳게 맺혀 풀리지 않음 (맺다 - 맺히다 縎 골)

結果 결과 :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이루어진 결말. 일이 되어가는 끝판. 열매를 맺음. 

結實 결실. (생각한 대로 - 열매 - 알 - 굳세다 - 결단성이 있다 - 과연 - 반드시 - 

훌륭하다 - 아름답다 果 과)

結課 결과 : 벼슬아치의 사무 성적을 조사하던 일. 考課 고과.

(일과 - 일상의 일 - 세금 등을 부과하다 - 공로 - 공부 - 과목 - 시험하다 課 과,

‘木 나무 위의 田 알을 言 말하다’ 로 나무 위에 알을 세다 - 헤아리다 를,

‘木 내놓아야 할 田 알을 言 말하다’ 로 세금 등을 부과하다를 나타냈고

‘果 생각한 대로 言 말하다’ 로 일상 - 일과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結襘 결괴 : 옷고름 매는 곳과 띠 매는 곳. (띠 매다 - 옷고름 襘 괴,

옷 衣 의 변 + 모을 會 회, 우리 저고리의 양쪽을 모으는 것을 그려,

‘띠매다’ 와 ‘옷고름’ 을 나타냈다)

結口 결구 :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않음.

(사람 - 식구 - 입 - 말하다 - 어귀 - 구멍 口 구, 사람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

結納 결납 : 서로 마음을 통하여 도움. 婚約 혼약 의 뜻으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예물. 納采 납채. (바치다 - 거두어 들여 간직함 - 들이다 納 납)

結念 결념 : 맺힌 마음. 마음을 쏟는 곳. 외곬으로 싶이 생각함.

(생각하다 - 생각 - 외다 - 잠깐 - 스물 念 념)

 

*. 하다 - 위하다 - 이루다 - 다스리다 - 병을 고치다 - 어기다 - 어긋나다 - 

막 〜 하려 하다 - 만일 - 가령 - 만들다 爲 위

갑골문

=

(또 又 우, 긁다 抓 조) +

(코끼리 象 상)

갑골문

(손톱 爪 조, 긁다 抓 조)’ 가 ‘

(又, 抓)’ 를 대체했고, 

(象) 은

로 바뀌었다

금문

 

(象) 은 

(象) 으로 바뀌었다

소전

 

(象) 은

으로 바뀌었다

손톱 爪 조 + 코끼리의 상형/그림

손으로 코끼리를 부리는 그림을 그려

'하다' 를 나타냈다

고 한다

또한 '爲' 는 자형이 '새 鳥 조' 와 비슷해

“암탉이 알을 부화시키기 위해 알을 품으면서

발로 알을 이리저리 굴려

모든 알들이 어미의 체온을 받도록 한다는 형상으로 보고

'하다' 로 이해하기도 한다

 

 

爲間 위간 : 잠시 후. 이윽고. (사이 - 사이뜨다 - 서로 번갈아 들다 間 간)

爲國忠節 위국충절 : 나라를 위한 바른 절개. (나라 國 국, 바를 忠 충)

(절개 - 마디 - 병부 - 때 - 조절하다 - 높다 節 절)

爲己 위기 : 자기를 위하여 함. 자신의 수양이나 安心立命 안신입명 (마음을 

편안히 하여 천명을 다함) 을 위하여 행함.

(몸 - 자기 - 사사로움 - 마련하다 - 여섯째 천간 己 기)

爲奴爲婢 위노위비 : 역적의 妻子 처자 를 종으로 삼음

(종 - 노비 奴 노, 여자 종 - 소첩 (여자가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말) 婢 비)

 

*. 서리 - 해 - 세월 - 머리털이 희게 셈의 비유 - 날카로움/차가움/법의 엄함 의 

비유 깨끗한 절개의 비유 - 멸망하다 - 흰 가루 과실의 겉에 생기는 흰 가루 霜 상

비 雨 우 + 서로 相 상 (나무 木 목 + 눈 目 목)

'눈 目 목' 의 '눈' 을 '사람의 눈' 이 아닌

‘하늘에서 내리는 눈' 으로 변환시키면

‘비가 내려 나무에 걸려 눈처럼 보이는 것' 을 그려

'서리' 를 나타냈다

 

霜降 상강 : 서리가 내림. 24 절기 중 열여덟째 절기. 양력 10월 23일경으로 이 

때부터 서리가 오기 시작함. (내릴 - (항복하다) 降 강 -(항))

霜劍 상검 : 날이 시퍼런 긴 칼. (칼 - 칼로 찔러 죽이다 劍 검)

霜戈 상과 : 날이 시퍼렇게 선 槍 창. (창 戈 과)

霜根 상근 : 서리가 땅이나 풀포기 따위에 엉기어 삐죽삐죽 성애처럼 된 모양.

서릿발. 서리에 진저리가 난 뒤.

(뿌리 - 근본 - 밑동 - 뿌리박다 - 뿌리뽑다 - 수학의 근 - 간방에서 나왔다 根 근) 

霜禽 상금 : 서리를 맞은 새. 겨울 새. (날짐승 禽 금, 흩어질 离 리 + 여덟 八 팔, 

짐승 발자국 禸 유 + 머리 (凶 + 亠) 모양 +여덟 八 팔, 여덟 八 팔' 은 '덮다' 를 의미, 

'위에서 그물로 덮어서 잡아야하는 짐승' 을 그려 '날짐승' 을 나타냈다)

霜氣 상기 : 서리의 찬 기운. 肅殺 숙살 (가을의 냉엄한 기후가 추목을 시들어 

마르게 함.) 의 기운. 사람의 엄숙한 氣像 기상.

(기운 - 기세 - 기질 - 공기 - 숨쉬다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霜氣横秋 상기횡추 : “엄숙한 숙살의 기운이 가을 하늘에 비껴 있음.” 라고 

하는데 ‘엄숙한 숙살의 기운이 가을을 가로지르고 있다’ 로도 볼 수 있겠다

(가로 - 가로지르다 横 횡, 가을 - 때 - 세월 秋 추)

霜臺 상대 : 御史臺 어사대 의 딴 이름. 어사대는 법률을 관장하는 秋官 추관 

이므로 ‘霜 상' 자를 씀. 霜署 상서. 司憲府 사헌부 의 딴 이름.

(돈대 (조금 높은 평지) - 하인 - 코골다 - 잔디 - 관청 - 고관 臺 대)

 

물이 수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고

구름은 비가 되어 내린다

내린 비가 이슬 즉 빗발이 되고 (온도가 내려가) 이슬이 맺히면 서리가 된다

陰 음 인 땅에서 陰 음 인 물이

陽 양 인 수증기가 되어 陽 양 인 하늘에서 陰 음 인 비가되어

陰 음 인 땅에서 陰 음 인 이슬이 되었다가 다시  陽 양 인 서리가 된다

陰 음 인 '水氣 수기' 가 陰陽 음양의 極 극 인 땅과 하늘을 오가며

그 성질이 陰 음 에서 陽 양 으로 陽 양 에서 또 陰 음 으로 변한다

陰陽 음양 의 틀 안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易 역 의 작용을 잘 보여주는 문장이다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7  (2) 2023.03.16
天字文 천자문 ⊕⊕ 6  (2) 2023.03.15
天字文 천자문 ⊕⊕4  (6) 2023.03.13
天字文 천자문 ⊕⊕ 3  (4) 2023.03.12
天字文 천자문 ⊕⊕ 2  (5) 202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