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字文 천자문 ⊕⊕ 18
化被草木 賴及萬方
화피초목 뢰급만방
교화가 풀과 나무에까지 미치고
그 교화의 좋은 영향 즉 이로움이 만방에 미친다
'단군의 교화가 사람들의 세상을 넘어 자연에까지 미쳤고
그 이로움이 사방팔방에 미친다'
는 얘기다
*. 될 - 교화가 이루어져 풍속이 새로워지다 - 은혜 - 덕화 - 가르침 - 교육 -
성장 - 서로 다름 - 순환하다 - 교역하다 - 도사가 사는 집 化 화
(거꾸로 선 사람을 그린) 亻 을 거꾸로 그린 모양 + (바로 선 사람을 그린) 亻 모양
(태어날 때의 사람을 그린) '사람 인 변 亻' 을 거꾸로 그린 모양 + (태어난 뒤의
사람을 그린) 亻 모양
이던 갑골문으로 시작해 소전부터는
(서 있는 사람을 그린) 사람 인 변 亻 + (숟가락 - 여성 을 의미하는) 비수 匕 비
서 있던 사람이 특별한 과정이 없이 거꾸로 선 것을 그려
혹은 아이가 태어나 어머니의 교육과 사랑을 받으며
'변화된 결과' 를 나타냈다
化感 화감 : 덕으로 감화시킴.
(느끼다 - 감동하다 - 감동시키다 - 깨닫다 - 흔들다 - 한하다 感 감)
化客 화객 : 시주를 청하러 다니는 객승.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 사람 客 객)
化去 화거 : 다른 것으로 변하여 감. 죽음. (가다 - 버리다 - 오래되다 去 거)
化居 화거 : 저장해둔 물건을 교역함. 互市 호시. (국가간의 상품 거래)
(교역 - 바꾸다 化 화, 저장 - 쌓다 - 살다 - 거주하다 - 그치다 - 편안하다 居 거)
化エ 화공 : 조화의 교묘함. 자연의 조화. 天工 천공.
(장인 - 만들다 - 공교하다 - 벼슬아치 エ 공)
化光 화광 : 德化 덕화 의 큰 힘. (빛 - 빛나다 - 경치 - 넓다 - 크다 - 영광 光 광)
化導 화도 : 덕으로써 사람을 이끎. (통하다 - 인도하다 - 다스리다 - 이끌다 導 도)
化理 화리 : 교화를 베풀어 천하를 다스림. (살결 - 나무의 결 - 도리 -
이치 - 다스리다 - 재판관 - 매개 - 거동 - 임금이 바깥으로 내뱉은 것 理 리)
化民 화민 : 백성을 교화하여 착하게 함. 자기 고장의 守令 수령 에 대하여
말하는 백성의 자칭 대명사. (백성 - 국민 - 별 이름 民 민)
化民成俗 화민성속 : 백성을 교화하여 좋은 풍속을 이룸.
(이루다 - 되다 - 화목하다 成 성, 풍습 - 시속 - 속되다 - 속인 俗 속)
化飯 화반 : 밥이 변하여 벌 (蜂) 이 됨. 葛元 갈원 이 仙術 선술 을 써서 밥알을
벌 (蜂) 로 화하게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 托鉢 탁발.
化生 화생 : 천지, 음양, 남녀의 精 정 이 합하여 새로운 것이 태어나는 일. 七夕
칠석 날 인형을 물에 띄우고 즐기는 여자들의 유희. 지나 西域 서역 의 風俗
풍속 으로, 자식을 얻기 위한 呪術 주술 이라고 함. 四生 사생 의 하나.
母胎 모태 나 알 같은 데서 나지 않고 어디서 홀연히 생겨나는 것. 지옥⋅천계⋅사람의
사후 따위. (밥 - 먹다 - 먹이다 - 기르다 飯 반,
밥 食 식 + 돌이키다-거스르다 反 반 (집-굴 바위 厂 엄 + 또-손 又 우)
해서 飯 은 '밥은 집에서 오른손으로 먹어야 한다’ 를 그린 글자.)
*. 덮다 - 이불 - 입다 - 잠옷 - 피해나 부상 등을 당하다 - 손잡이 - 머리를 깎다 被 피
금문
=
(옷 衣 의) +
(가죽 皮 피)
소전
⟶
⟶
⟶
⟶
예서
옷 의 변 衤 + 가죽 皮 피
‘옷 + 가죽’ 으로 가죽 옷을 그린 것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여기선 옷의 가죽 즉 ‘옷의 겉껍데기’ 를 그려 옷 위에 더하는 두꺼운 옷을 그려
이불을 나타냈고
그 의미가 덮다 - 입다 까지 확장되었다
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被褐懷玉 피갈회옥 : 겉에는 굵은 베옷을 입었으나 속에는 옥을 품고 있음.
현인이 지덕을 갖추었으나 겉으로 드러내지 않음.
(굵은 베 - 베옷 - 천한 사람 褐 갈, 품다 - 위로하다 - 따르다 懷 회, 구슬 玉 옥)
被甲 피갑 : 갑옷을 입음. (갑옷 - 껍질 - 시작하다 - 첫째 천간 甲 갑)
被擊 피격 : 습격이나 공격을 당함. (치다 - 부딪치다 - 죽이다 - 마주치다 擊 격)
被堅執兵 피견집병 : 갑옷을 입고 날카로운 병기를 잡고 있음. 전투 준비를 함.
(갑주 (갑옷과 투구) - 굳을 堅 견, 잡을 - 지키다 - 막다 - 맡다 執 집, 병장기 兵 병)
被告 피고: 소송에서 고소를 당한 사람.
(발표하다 - 가르치다 - 고하다 - 알리다 - 찾다 - 묻다 - 말미 告 고)
被衾 피금 : 이부자리.
(이불 衾 금, 천지인 삼합을 모을 亼 집 + '미칠 及 급' 의 생략형 + 옷 衣 의))
被動 피동 : 남에게 작용을 받음.
(움직일 - 감응하다 - 만들다 - 일어나다 - 난리 - 행동 - 동물 動 동)
被拉 피랍 : 납치를 당함. (꺾다 - 끌다 - 끌어가다 拉 랍, 손 수 변 扌 +
‘세로 세우다’ 를 그린 설 立 립, '손을 세로 세우다' 를 그려 ‘꺾다' 를 나타냈고,
손이나 팔을 꺾은 데서 ‘사람을 끌고가는 것'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被命 피명 : 윗사람에게 명령을 받음.
(목숨 - 운수 - 명령 - 이름짓다 - 목표 - 가르치다 - 천명 - 도 - 호적 命 명)
*. 천하다 - 비루하다 - 거칠다 - 시초 - 시작하다 - 원고 - 초안 - 풀 草 초
풀 초 머리 卄 + 새벽 早 조
해 日 일 + 열 十 십
'열 十 십' 의 훈인 '열' 을 '열다' 로
'풀 초 머리 卄' 는 '풀이 땅위로 나온다' 에서 '나오다' 로
'해가 (밝음이 어둠을) 열고 나올 (열릴) 때 (자라) 나온 것' 을 그려
'풀' 을 나타냈다
草家 초가 : 漢醫 한의 또는 식물학자. 이엉으로 지붕을 이은 집. 초가집.
草盧 초려. 草屋 초옥. (집 - 가문 - 가속 - 학파 家 가)
草間 초간 : 풀이 무성한 들판 사이. 민간. 재야.
(사이 - 사이뜨다 - 갈마들다 (서로 번갈아 들다) - 병이 낫다 - 헐뜯다 間 간)
草間求活 초간구활 : 초야에 묻혀 살 길을 찾음. 욕되게 한갓 삶을 탐냄.
(구할 - 소원을 빌다 - 찾다 탐내다 - 책망하다 求 구, 살 - 활발하다 - 올가미 活 활)
草芥 초개 : 풀과 티끌. 아무 소용이 없거나 하찮은 것. 경시함.
(티끌 - 겨자 - 지푸라기 - 갓 芥 개)
草檄 초격 : 檄文 격문 을 起草 기초 함. (격문 - 격서를 보내다 - 편지 檄 격)
草稿 초고 : 문장이나 시 등의 맨 처음 쓴 원고. (여기서 草 는 초벌로 적다)
(볏집 - 초고 - 초안 稿 고)
草具 초구 : 변변치 못한 음식. 거친 음식 즉 粗食 조식.
처음으로 만들어 갖춤. 풀로 짠 기구. (천하다 - 비루하다 - 거칠다 - 풀 草 초)
(먹을 것 - 음식물 - 갖추다 - 그릇 - 완비하다 - 만족하다 具 구)
草屨 초구 : 짚신. 草鞋 초혜. (신 - 신을 신다 - 가죽신 屨 구,
사람이 반듯이 누워 있는 모양을 그린 ‘주검 - 시체 - 시동 - 효시하다 -
베풀다 - 펴다 - 늘어세우다 - 위패 - 신주 尸 시' + 길을 나타내는 ‘두 인 변 -
조금 걸을 彳 척’ + 여자가 매듭을 매는 그림을 그린 ‘끌다 - 바닥에 대고 당기다
婁 루,' ‘사람이 반듯이 누워 있는 모양처럼 생겨 길바닥에 널려 있는 것’ 을 그려
‘짚신'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草根木皮 초근목피 : 풀 뿌리와 나무 껍질.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
한약재의 원료. (뿌리 - 근본 - 밑동 - 뿌리박다 - 뿌리뽑다 - 수학의 근 - 간방에서
나왔다 根 근, 나무 - 동방 - 질박하다 - 뻣뻣하다 - 곧다 木 목, 손으로 짐승의
가죽을 벗기는 모양을 본뜬 글자인 가죽 皮 피, 짐승의 몸둥이를 그린 ⺁ 털을
뽑는 도구를 그린 ‘ㅣ’손을 그린 ‘또 又 우')
草堂 초당 : 초가집. 집의 원채 밖에 억새나 짚 같은 것으로 지붕을 인 자그마한 집.
자기 집의 謙稱 겸칭. (집 - 대청 - 마루 - 당당하다 - 조부에서 갈린 일가 堂 당)
草頭露 초두로 : 풀잎 끝에 맺힌 이슬. 세력이 오래 가지 못함의 비유.
(최상부 - 머리 - 우두머리 - 꼭대기 - 끝 頭 두, 나를 감싸주는 이가 없음 - 고달프다 -
이슬 - 새나가다 - 드러나다 - 나타나다 露 노-로)
草萊 초래 : 무성한 잡초. 황폐한 땅. 시골. 草野 초야.
(잡초 - 김매다 - 거칠다 萊 래)
草略 초략 : 몹시 거칠고 간략함.
(대략 - 간략하게 - 거의 - 노략질하다 - 다스리다 略 략)
草廬 초려 : 초가집. 자기 집의 겸칭. (농막 - 오두막집 - 초막집 - 붙이다 廬 려)
*. 나무 - 동방 - 질박하다 - 뻣뻣하다 - 곧다 木 목
나무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열 十 십 + 여덟 八 팔’ 로
‘열 十 십’ 은 열매-열다 의 뜻으로 전환될 수 있고
‘여덟 八 팔’ 은 덮어 가리다-빠개다-벌리다 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남은 - 남 - 몫 - 내놓다 -나오다’ 등의 의미로도 쓰인다
木稼 목가 : 나뭇가지에 내려 눈같이 된 서리.
나뭇가지에 눈이 내려 혹은 빗물이 얼어 벼의 낟알이 심어진 것처럼 된 것.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현인이나 고관이 죽는다는 속설이 있다.
(심다 - 곡식 - 농사 稼 가)
木假山 목가산 : 산같이 생긴 자연목.
(거짓 - 가령 - 빌다 - 빌리다 - 용서하다 - 잠시 - 아름답다 假 가, 뫼 山 산)
木刻 목각 : 나무에 새김. (새길 - 깎다 - 해하다 - 각박하다 - 몹시 刻 각)
木弜 목강 : 고집이 세고 만만하지 않음. (강하다 弜 강)
木梗 목경 : 나무로 만든 인형. (인형 - 놀잇감 - 흔들다 - 막히다 梗 경)
木梗之患 목경지환 : 타향에서 객사하여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함.
본래 자기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못함.
흙 인형은 홍수가 나면 흙으로 돌아가지만
나무인형은 홍수가 나면 본래의 모습으로 돌아갈 수도 없고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물이 가는대로 떠돌게 된다는
史記 사기 맹상군 열전에서 유래한 사자성어.
(〜 의 (어조사) - 가다 - 이르다 之 지, 근심 - 재앙 - 병 - 앓다 - 미워하다 患 환)
木公 목공 : 소나무의 딴 이름.
(벼슬 이름 - 공변되다 - 바르다 - 어른 公 공)
木毬 목구 : 擊毬 격구할 때 쓰는 나무로 만든 공. 나무 공. 木毬子 목구자.
(공 - 화문담요 - 띠 이름 - 여주 (紅荔枝 홍례지) 毬 구)
木屐 목극 : 나막신. (나막신 屐 극, 사람이 반듯이 누워 있는 모양을 그린 ‘주검 -
시체 - 시동 - 효시하다 - 베풀다 - 펴다 - 늘어세우다 - 위패 - 신주 尸 시' + 길을
나타내는 ‘두 인 변 - 조금 걸을 彳 척’ + 쓰러지지 않게 받치다 - 지탱할 支 지,
‘사람이 반듯이 누워 있는 모양처럼 생겨 길에서 쓰러지지 않게 받치는 것' 을 그려
‘나막신' 을 나타냈다)
木克土 목극토 : 五行說 오행설 에서, 木 은 土 토 를 이긴다는 말.
(이길 - 능하다 - 능히 - 잘 - 바로잡다 - 다스리다 - 마음에 새기다 克 극)
(하늘과 땅 즉 세상만사를 나타내는 열 十 십, 모든 책임과 권한을 짊어진 맏 兄 형
모든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세상만사를 잘해야 하는 맏형
을 그려 ‘잘하다 - 이기다 - 다스리다’를 나타냈다, 흙 - 땅 - 살다 - 재다 土 토)
木琴 목금 : 打樂器 타악기 의 하나. 음계의 순서로 나열한 나뭇조각을 두 개의
솜방망이로 쳐서 소리를 냄. (거문고 琴 금, 거문고의 모양을 본뜬 글자)
木器 목기 : 나무로 만든 그릇. (기량 - 재주 - 도량 - 그릇 - 그릇으로 여기다 器 기)
木訥 목눌 : 순박하고 말재주가 없음. (말더듬다 訥 눌, 말씀 言 언 + 안 內 내,
‘안 內 내’ 를 ‘안내 → 안내다 → 안내놓다 → 안나오다’
해서 ‘말이 안나오다’ 를 그려 ‘말더듬다’ 를 나타냈다)
木丹 목단 : 梔子 치자 의 딴 이름. (붉을 丹 단, '멀 冂 경' 은 경계를 나타내며
'멀 冂 경' 에 또 다른 경계를 나타내는 '한 一 일' 을 추가하면
양측이 주장하는 경계가 다름을 의미하며
두 경계 사이에서 피튀기는 '점 丶 주' 피튀기는 싸움이 있게 된다)
木桃 목도 : 풀명자나무 열매. 큰 복숭아. (앵도 - 복숭아 나무 桃 도)
木頭菜 목두채 : 두릅나물. (최상부 - 머리 - 우두머리 - 꼭대기 - 끝 頭 두)
(나물 菜 채, 풀 초 머리 艹 + 캘 采 채, '땅에서 캐낸 풀')
木理 목리 : 나뭇결. 나이테. 年輪 연륜. 木性 목성.
(살결 - 나무의 결 - 도리 - 이치 - 다스리다 - 재판관 - 매개 - 거동 - 임금이
바깥으로 내뱉은 것 理 리)
木磨 목마 : 나무를 다듬어 깎음. 곡식을 갈아서 껍질을 벗기는 데에 쓰는 기구.
매통. (갈다 - 맷돌 - 재앙 磨 마, 삼 麻 마 의 '삼' 에 '다' 를 붙여 삼다 로 전환해
‘삼다’ 는 섬유를 비벼 꼬아 잇다,
'돌로 비비다-비비는 돌' 을 그려 ‘갈다 - 맷돌 - 재앙’ 을 나타냈다)
木末 목말 : 나무의 끝. 우듬지 (나무 꼭대기의 줄기). 木杪 목초. 메밀가루.
(끝 - 꼭대기 - 사지 - 말세 - 가루 - 천하다 - 늙다 - 가볍다 - 지우다 - 없음 - 말다 -
마침내 - 드디어 末 말)
木麥 목맥 : 메밀. (보리 - 메밀 - 돌귀리 - 귀리 - 작은 매미 - 묻다 - 매장하다 麥 맥)
木綿 목면 : 木花 목화. 무명. 무명베.
(솜 - 이어지다 - 공략하다 - 퍼지다 - 이어지다 - 멀다 - 약하다 綿 면 (= 緜)
실 사 변 糸 + 비단 帛 백 ( 흰 (빛나는) 白 백 + 베를 나타내는 수건 巾 건)
'밝게 빛나는 뛰어나고 화려한 베' 를그려 '비단' 을 나타냈고
'밝게 빛나는 실' 을 그려 '솜' 을 나타냈다
'솜' 에서 '이어지다' 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 힘입다 - 의지할 - 이익 賴 뢰 (어그러질 剌 랄 + 조개 貝 패)
묶을 束 속 + 갈라지다 를 그린 칼 刀 도 + 조개 貝 패
‘갈라진 조개를 묶다 - 작은 돈을 모으다’ 를
'조개를 종류별로 갈라' 를 그려 ‘이익’ 을 나타냈다
‘이익’ 에서 ‘의지하다 - 힘입다’ 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
賴德 뇌덕 : 남의 덕을 입음. 남의 은혜를 입음.
(남을 위하는 마음가짐 - 크다 - 은혜 - 복 - 가르침 德 덕)
賴利 뇌리 : 이익을 봄. (이롭다 - 이자 - 날카롭다 -탐하다 - 편리하다 利 리)
*. 미칠 及 급
(앞) 사람 人 인 + (뒷 (손을 나타내는)) 또 又 우
"뒷사람의 손이 앞사람에게 미친다" 를 그려
'미치다' 를 나타냈다고 한다
及瓜 급과 : 벼슬의 임기가 다 됨. 교대할 시기가 됨. 해가 바뀜.
‘及瓜而代 급과이대’ 의 생략형으로
단군조선시대 제나라 양공이 오이를 먹고 있을 때
국경으로 부임받은 장수들에게
다음 오이가 익을 때면 교대해 주겠다고 했던 고사에서 온 말
(외 -오이 - 모과 瓜 과)
及其也 급기야 : 필경에 가서는. 마지막에는.
(그 其 기)
(也 는 여러 어원 중 여자의 음부 모양을 그린 자란 걸을 적용하면
‘자궁 也 야’ 로 ‘及其也 급기야’ 는 ‘(정자가) 자궁에 미치다’ 로
‘마지막에 다다르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441. 일만 萬 만
초 艸(サ) 두 + 긴 꼬리 원숭이 禺 우
‘일만 萬 만’ 자는 전갈의 모습을 본뜬 자라고도 하지만
‘긴 꼬리 원숭이 禺 우’에서 꼬리가 손처럼 움직여 손이 많은 것 같은데
그 위에 다시 손 모양의 ‘초 艸(サ) 두’ 를 그려 손이 다섯 개나 있는 것처럼
그려 많다는 것을 나타냈고
이 ‘많다’에서 ‘만’으로 전환했다
‘만’이라는 ‘수’의 우리 말 발음이 먼저 있었고
그 뒤에 ‘일만 萬 만’이란 자가 생겨났다
지금 한자라고 불리우는 문자는
우리 말을 하는 사람들이 만든 문자다
萬感 만감 :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
(느끼다 - 감동하다 - 감동시키다 - 깨닫다 - 흔들다 - 한하다 感 감)
萬劫 만겁 : 영원한 세월. 무한한 시간.
(가장 긴 시간 - 겁탈하다 - 부지런하다 - 바둑에서의 패 - 으르다 劫 겁)
萬境 만경 : 모든 지역. 모든 곳. (지경 - 경계 境 경)
萬頃 만경 : 지면이나 수면이 매우 넓음. (頃 은 약 5천 평, 넓은 땅)
(밭 百畝 백묘 - 머리 비뚫이 - 잠깐 - 쯤 - 요사이 頃 경)
萬頃滄波 만경창파 : 한없이 넓은 바다. (滄波 창파 : 푸른 물결)
(큰 바다 - 차갑다 滄 창, 물결 - 물 흐르다 - 눈 - 광채 - 달빛 波 파)
萬古 만고 : 아주 오랜 옛적. 한없이 오랜 세월.
(오랠 - 옛날 - 조상 - 하늘 - 비로소 古 고)
萬古千秋 만고천추 : 언제까지나. 과거와 미래에 걸친 오랜 세월.
(일천 - 천 번 - 많다 - 밭두둑 千 천, 가을 - 때 - 세월 秋 추)
萬古風霜 만고풍상 : 오랜 세월 겪어 온 많은 쓰라림.
(바람 - 암수 서로 꾀다 - 유행 - 풍속 - 경치 - 병 이름 - 모양 風 풍,
서리 - 희다 - 백발 - 지나온 세월 - 엄하다 霜 상)
萬區 만구 : 많은 나라. 萬國 만국. 많은 구분.
(지경 - 나누다 - 감추다 - 작은 방 - 조그마하다 區 구)
萬口成碑 만구성비 : 여러 사람이 기리는 것은 頌德碑 송덕비 를 세우는 것과
같음. (입 - 어귀 - 인구 - 호구 - 구멍 - 말하다 - 실마리 口 구, 이루다 - 되다 -
화목하다 成 성) (비석 - 돌기둥 - 네모난 돌기둥 碑 비, 돌 石 석 + 낮을 卑 비,
'낮은 돌 즉 납작하게 깎은 돌' 을 그려 '비석' 을 나타냈다)
萬口一談 만구일담 : 많은 사람의 의견이 일치함. 異口同聲 이구동성.
(하나 - 첫째 - 모두 - 순전하다 - 오로지 - 온통 - 같다 - 만약 - 낱낱 -
정성스럽다 一 일)
(이야기하다 - 이야기 - 논란하다 - 농담하다 - 바둑두다 談 담)
萬鈞 만균 : 매우 무거움. 鈞 은 30근. (고르게 하다 - 轆轤 녹로 - 그릇 만드는데
쓰이는 연장 - 존경의 뜻을 나타내는 말 鈞 균)
萬金 만금 : 많은 돈.
(쇠 - 철 - 금속 - 구리 - 금속으로 만든 그릇 - 무기 - 악기 金 금)
萬機 만기 : 정치상의 여러 가지 중요한 일. 帝王 제왕 의 政務 정무.
(틀 - 비밀 - 기회 - 때 - 시기 - 조짐 - 전조 - 기계 - 올가미 - 우리 - 문지방 -
문턱 - 실마리 - 비롯하다 - 기틀 - 일의 가장 중요한 고동 - 길 - 도리 - 작용 - 활동 -
천문 - 위태롭다 機 기)
萬機主 만기주 : 모든 政事 정사 를 통괄하는 사람. 君主 군주. 天子 천자.
(주인 - 임금 - 공주 - 거느리다 - 주장하다 - 어른 - 지키다 - 신주 - 높이다 - 맡다
主 주)
萬難 만난 : 온갖 어려움. (어렵다 - 근심하다 - 꾸짖다 - 힐난하다 - 막다 難 난)
萬能 만능 : 모든 일에 다 능통하거나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음.
(능히 〜 하다 - 재능 - 능히 - 곰 能 능)
萬端 만단 : 모두. 죄다. 모조리. 萬事 만사. 萬古 만고. 가지가지. 형형색색.
온갖 일의 실마리. 온갖 방법.
(처음 - 실마리 - 머리 - 싹 - 단정하다 - 바르다 - 살피다 端 단)
萬端無方 만단무방 : 가지각색이어서 일정한 규정이 없음.
(없다 - 아니다 - 말다 - 비다 - 풀 이름 - 있어야 할 곳에 없고 없어야 할 곳엔 있다
無 무) (땅 - 대지 - 곳 - 처소 - 방법 - 길 - 방위 - 모 - 이제 - 떳떳하다 - 견주다 -
배를 나란히 세우다 方 방)
‘땅 - 대지 - 곳 - 처소 - 방법 - 길 - 방위 - 모 - 이제 - 떳떳하다 - 견주다 - 배를 나란히
세우다 方 방’ 은
갑골문 甲骨文
+
(머리를 깎고 이마와 팔뚝에 죄를 문신한 범죄자) +
(목에 쇠사슬을 채운 형구)
(人) + 一 (자유롭지 못하게 했음을 나타낸 것) =
갑골문
을
으로 간결히 바꾸었다.
갑골문
을
으로 간결히 바꾸었다
금문
금문
소전
갑골문의
를 간결히
로 바꾸었다
예서
(人) 와 형구를 나타낸
이 사라졌다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히 하여 놓고 뱃머리를 서로 묶어 놓은 모양을 그린 자” 라고 하지만
“농기구의 하나인 쟁기” 를 그린 자로 보는 해석도 있다
쟁기는 모가 나야 잘 땅이 갈리고
쟁기가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곳 역시 모가 난 곳이라
쟁기를 그려 '모' 를 나타냈고
에서 각-방향 등의 뜻으로도 확장되었다l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히 하여 놓고 뱃머리를 서로 묶어 놓은 모양을 그린 자”
라는 자원에서 ‘비교하다’ 란 뜻으로도 쓰인다
비교하고 난 뒤부터를 일러 ‘이제’ 를 뜻하게도 되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方駕 방가 : 수레를 나란히 하여 감.
(여기서 方 은 조각배가 나란히 있는 모양의 ‘나란히’ 를 의미)
(탈 것 - 임금이 탄 수레 - 멍에 - 멍에 매다 駕 가)
方槪 방개 : 바른 절개. (여기서 方 은 ‘바르다' 의 의미)
(대개 - 대강 - 절개 - 풍채 - 느끼다 - 개탄하다 - 물대다 - 씻다 槪 개)
方客 방객 : 사방에서 온 빈객. (여기서 方 은 사방의 의미)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 사람 客 객)
方檢 방검 : 품행이 방정하고 정도가 있음. (여기서 方 은 ‘바르다' 의 의미)
(본 - 모형 - 법 - 교정하다 - 조사하다 - 벼슬 이름 檢 검)
方格 방격 : 바르고 표준이 됨. (여기서 方 은 ‘바르다' 의 의미)
(법 - 바르다 - 이르다 - 오다 - 궁구하다 - 대적하다 格 격)
方潔 방결 : 바르고 깨끗함. 방정하고 결백함.
(여기서 方 은 ‘바르다' 의 의미) (깨끗하다 - 맑다 - 청렴하다 - 조촐하다 潔 결)
方計 방계 : 수단. 계획. (여기서 方 은 ‘방법 - 수단' 의 의미)
(꾀 - 세다 - 쎔하다 計 계)
方丘 방구 : (네모반듯하게) 방형으로 흙을 높이 쌓아 올린 제단.
하지에 지신에게 제사 지내던 곳. (여기서 方 은 ‘각지다’ 의 의미)
(언덕 - 무덤 - 높다 - 모으다 - 모이다 - 손윗사람 - 비다 - 공허하다 丘 구)
方矩 방거 : 曲尺 곡척. (곱자 - 네모 - 사각형 - 모서리 - 법 - 법도 矩 거)
方技 방기 : 의술이나 점술 그리고 醫家 의가 와 점술가 그리고 卜家 복가
등을 이름. (여기서 方 은 ‘신선의 술법 - 의술 - 점술’ 등을 의미한다)
(방술 - 기술 -재주 - 장인 - 바르지 아니하다 - 짐작하다 技 기)
方今 방금 : 바로 이제. 이제 막. (여기서 方 은 ‘바야흐로' 를 의미한다)
(이제 今 금)
方道 방도 : 어떤 일을 하거나 문제를 풀어가는 방법.
(여기서 方 은 ‘방법' 을 의미한다) (길 - 이치 - 말하다 - 인도하다 - 순하다 道 도)
方冬 방동 : 음력 시월. (여기서 方 은 ‘바야흐로 - 막' 을 의미한다)
(겨울 - 끝 - 겨울을 나다 冬 동)
方等 방등 : 부처가 사람들에게 이익을 고루 주는 일.
(여기서 方 은 ‘내놓다' 의 의미로 보인다)
(같다 - 무엇 - 따위 - 무리 - 등급 - 견주다 - 기다리다 - 층계 等 등)
方略 방략 : 무슨 일을 하는 방법과 둘러대는 꾀. 方策 방책. 軍功 군공. 武功
무공. 무공을 기록한 책. (여기서 方 은 방법)
(대략 - 간략하게 - 거의 - 노략질하다 - 다스리다 略 략)
方廉 방렴 : 바르고 깨끗함. 方潔 방결. (여기서 方 은 바르다)
(청렴하다 - 검소하다 - 맑다 廉 렴)
方笠 방립 : 喪制 상제 (부모의 상중 혹은 부모 없이 조부모의 상중에 있는 사람) 이
밖에 나갈 때 쓰는 갓. 방갓. 喪笠 상립. (여기서 方 은 각지다의 의미)
(삿갓 - 갓 - 우산 - 갓양태 笠 립)
方望 방망 : 제왕이 近郊 근교 에서 四方 사방 의 神 신 에게 지내는 제사.
(여기서 方 은 사방) (제사 이름 - 자태 - 바라다 - 음력 15일 - 기대하다 -
그리워하다 - 사모하다 - 엿보다 - 원망하다 - 나무라다 望 망)
方面寄 방면기 : 한 지방을 지켜야 할 임무를 맡김. (여기서 方 은 방향)
(얼굴 - 향하다 - 보이다 - 얼굴을
돌리다 - 눈앞 - 다면체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 - 행정 구획의 하나 面 면)
(寄 는 宀 집안 大 사람에게 可 가능한 것은 ‘의존하다 - 의지하다 -
맡기다 - 위탁하다 - 마음을 붙이다 - 부탁하다 - 의뢰하다 - 임시 주거)
方命 방명 : 王命 왕명 을 버림. 왕명을 거스름. 方 은 放 방, 또는 逆 역.
(목숨 - 운수 - 명령 - 이름짓다 - 목표 - 가르치다 - 천명 - 도 - 호적 命 명)
方明 방명 : 제사 때 혼령이 와서 머문다는, 나무로 만든 方形 방형 의 물건.
상하사방의 일에 밝게 통함. (여기서 方 은 각각 각지다와 사방의 의미)
(밝을 - 새벽 - 희다 - 빛 - 시력 明 명)
(결백하다 - 빛 - 밝다 - 희다 - 새벽 - 낮 - 이승 - 시력 明 명)
方聞 방문 : 행실이 바르고 지식이 넓음. (여기서 方 은 바르다의 의미)
(듣다 - 알다 - 널리 견문하다 - 들리다 - 알려지다 - 소문 聞 문)
方物 방물 : 그 지방의 특산물. 사물을 식별함. 日常 일상 의 일. 方 은 常 상. 物
물 은 事 사.
(만물 - 일 - 재물 - 무리 - 헤아리다 - 견주다 - 죽다 - 활을 쏠 때 서는 자리 物 물)
方伯 방백 : 단군조선 시대 殷 은 나라와 周 주 나라 한 지방 제후의 우두머리.
觀察使 관찰사 의 딴 이름. (여기서 方 은 땅) (맏 - 큰아버지 - 우두머리 伯 백)
方士 방사 : 仙術 선술 을 부리는 사람. 道士 도사. 단군조선 시대 周 주 나라에서
재판을 맡았음. (여기서 方 은 방법) (선비 - 무사 - 벼슬 - 일 - 사나이 士 사)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20 (6) | 2023.04.10 |
---|---|
天字文 천자문 ⊕⊕ 19 (5) | 2023.03.30 |
天字文 천자문 ⊕⊕ 17 (3) | 2023.03.28 |
天字文 천자문 ⊕⊕ 16 (2) | 2023.03.27 |
天字文 천자문 ⊕⊕ 15 (4)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