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字文 천자문 ⊕⊕ 17
鳴鳳在樹 白駒食場
명봉재수 백구식장
봉새가 나무 위에 앉아 울고
흰망아지가 마당에서 (풀을) 먹고 있다
지나 땅에 명군이나 성현이 나타나면
단군조선에서 사자를 보내 축하해주었고
이에 감화되어 사자가 타고 온 망아지도
마당에서 평화롭게 풀을 뜯어먹는다
*. 울다 - 울리다 - 명성이 들날리다 - 부르다 - (서로 짝을 구하여) 부르다 鳴 명
입 ㅁ 구 + 새 鳥 조
‘새가 입을 놀리다' 를 그려
'울다' 를 나타냈다
鳴珂里 명가리 : 귀인이 사는 마을. 남의 鄕里 향리 (고향 - 시골 마을) 의 존칭.
(귀인이 타는 말에 장식으로 단 구슬 珂 가, 마을 里 리)
鳴謙 명겸 : 겸허한 덕이 외모에 나타남. (겸손하다 - 사양하다 謙 겸)
鳴鼓 명고 : 북. 북을 울림. 죄를 꾸짖어 몰아세움.
(북 - 치다 - 두드리다 - 격려하여 분발하게 하다 - 용량 단위 - 열 말 鼓 고)
鳴管 명관 : 管 관 을 울림. 울대. 鳥類 조류 의 소리를 내는 기관.
(맡아 다스리다 - 법 - 관 - 붓대 - 피리 - 열쇠 - 고동 - 樞要 추요 管 관)
鳴琴 명금 : 거문고. 거문고를 탐. 폭포 소리 등의 형용.
(거문고 琴 금, 거문고의 모양을 본뜬 글자)
鳴禽類 명금류 : 생태⋅습성면으로 구분한 조류의 한 부류. 고운 소리로 지저귀는
새. 꾀꼬리⋅제비 따위. 燕雀類 연작류. (날짐승 禽 금, 흩어질 离 리 + 여덟 八 팔,
짐승 발자국 禸 유 + 머리 (凶 + 亠) 모양 +여덟 八 팔, 여덟 八 팔' 은 '덮다' 를 의미,
'위에서 그물로 덮어서 잡아야하는 짐승' 을 그려 '날짐승' 을 나타냈다)
(비슷하다 - 같다 - 나누다 - 무리 - 좋다 - 대개 類 유)
鳴動 명동 : 크게 울리어 진동함.
(움직일 - 감응하다 - 만들다 - 일어나다 - 난리 - 행동 - 동물 動 동)
鳴鑾 명란 : 임금의 수레에 다는 방울. 임금의 수레. 임금의 거동.
(방울 - 천자가 타는 수레의 말고삐에 다는 방울 - 천자가 타는 수레 - 천자 鑾 란)
*. 탄식할 嗚 오
입 ㅁ 구 + 까마귀 烏 오
까마귀가 입을 놀리다
즉 까마귀가 (시체를 보고) 울다
를 그려 '시체가 눈에 뜨여 까마귀가 울다' 를 그려
'(시체들이 눈에 뜨이니) 탄식하다' 를 나타냈다
또한 까마귀의 검정색에서
'검게 운다' ⟶ '까맣게 타서 운다' ⟶ '가슴을 태우며 운다' 로 변환시켜
'(嘆息 - 歎息) 탄식하다' 를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두 가지 설명 모두 가능하나
'(嘆息 - 歎息) 탄식하다' 의 '탄' 발음과
까맣게 타다 의 '타다' 를 고려할 때
'가슴을 태우며 운다' 에서 '탄식하다' 로 변환된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
嗚軋 오알 : 뿔피리를 부는 소리.
((수레) 삐걱거리다 - 두 물건이 서로 닿아 마찰하다 또는 그 소리 -
불화하다 - 옥신각신하다 - 자세하다 - 꺾다 - 요절하다 - 꾸불꾸불하다 軋 알)
嗚咽 오열 : 목메어 욺. (목메다 - 목이 메어 말을 못하다 - 막히다 - 가리다 咽 열)
(목구멍 - 요긴한 곳 - 북소리 (삼키다) 咽 인 - (연), ‘口 입에서 나오는 것의
因 원인이 되는 곳’ 을 그려 ‘목구멍’ 을 나타냈고, ‘口 입에서 나오는 것이
口 입 안에 大 많이 있다’ 를 그려 ‘목이 메어 말을 못하다' 를 나타냈다)
*. 봉황새 鳳 봉
안석 几 궤 + 한 一 일 + 새 鳥 조
‘하늘(ㅡ) 을 덮는(几) 새 (鳥)’가 된다
“봉은 신조인데 동방 군자의 나라에만 나온다”
“그 새가 나타나면 천하가 안녕하여 모든 새들이 따른다”
고 說文 설문 에도 나온다
이 말을 풀어보면
봉황새는 동방의 군자의 나라나 그 사자를 일컫는 말로
동방의 군자의 나라나 그 사자가 움직이면
천하가 모두 따른다는 말로
배달국이 지금의 세계 경찰국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벗 朋 붕' 은 봉황새 鳳 봉 이 변한 자라고들 한다
鳳駕 봉가 : 천자 - 신선 이 타는 수레.
(탈 것 - 임금이 탄 수레 - 멍에 - 멍에 매다 駕 가)
鳳閣 봉각 : 화려한 누각. 高官 고관. (누각 - 대궐 - 문설주 - 찬장 - 복도 閣 각)
鳳蓋 봉개 : 천자의 수레 위에 세운 일산. 천자의 乘輿 승여 (임금의 수레 - 거동
때의 임금). (우산 - 덮다 - 가리다 蓋 개)
鳳車 봉거 : 임금 - 선인 의 수레. 호랑나비의 딴 이름. (수레 - 바퀴 - 그물 車 거)
鳳擧 봉거 : 봉황의 飛翔 비상. 使臣 사신 이 먼 길을 떠남. 退官 퇴관 하여 먼
곳에 은거함. 사방으로 위세를 떨침. 승진함. 춤추는 모양.
(거동 - 들다 - 올리다 - 오르다 - 날아 오르다 - 칭찬하다 - 키우다 - 줍다 - 빼앗다 - 거사 -
사실을 들어서 말하다 - 움직이다 - 모두 - 과거시험 - 가마 擧 거)
鳳闕 봉궐 : 宮城 궁성 의 문. 궁성.
(대궐 - 대궐문 - 궐하다 (빼놓다 - 잃다) - 허물 - 이지러지다 - 비다 - 뚫다 闕 궐)
鳳德 봉덕 : 거룩한 덕.
(남을 위하는 마음가짐 - 덕 - 본성 - 가르침 - 은혜를 베풀다 - 복 - 행복 德 덕)
鳳鸞 봉란 : 봉황새와 난새. 모두 상상의 靈鳥 영조. (난새 - 五音 오음 과 五彩
오채 를 갖추었다는 靈鳥 영조 - 천자의 마차에 다는 방울 鸞 란)
鳳曆 봉력 : 달력. 册曆 책력. (책력 - 연대 - 세월 - 운수 - 세다 曆 력)
鳳輦 봉련 : 임금이 타던 가마의 한 가지.
(임금의 수레 - 손수레 - 가마 - 궁중의 길 - 끌다 輦 련)
鳳樓 봉루 : 아름다운 누각. 禁中 금중 의 누각. 부녀가 거처하는 누각.
(기생집 - 망루 - 다락 樓 루)
*. 있을 - 일정한 곳 (위치 - 벼슬) 을 차지하고 있다 - 살고 있다 - 보다 - 살피다
제멋대로 하다 - 묻다 - 안부를 묻다 在 재
열 十 십 + 삐침 丿 별 + 흙 土 토
‘열 十 십’ 은 열다
‘삐침 丿 별’ 은 삐치다 → 비치다 → 두드러지다
‘흙 土 토’ 흙-땅
‘(땅을) 열고 나온 두드러진 것’ 을 그려
(열고 나왔으므로) ‘있다’ 를 나타냈다
이설) 소전에 따르면
재주 才 재 + 흙 土 토
‘재주 才 재’ 는 땅에 경계 표시를 하기 위해 박아놓은 나무로 만든 표식
특정한 경계 구역 안에 있는 흙을 말하는 것으로
공간적으로 존재하는 흙을 말한다
이설) 갑골문에 따르면
초목의 싹을 그린 ‘재주 才 재’ 를 뜻하는 그림만으로
'재목 - 초목 이 있다' 를 그려 '있다' 를 나타냈다
在假 재가 : 현재 휴가 중임. (겨를 - 여가 - 휴일 - 거짓 - 가령 - 빌리다 - 빌다 假 가)
在家出家 재가출가 : 현재 승려는 아니나, 세속에 있으면서도 속세를 해탈함.
(집 - 가문 - 가속 - 학파 - 용한 이 - 남편 - 아내 家 가)
(나오다 - 나가다 - 낳다 - 토하다 - 물리치다 - 도망하다 - 보이다 - 벼슬하다 出 출)
在阬滿阬 재갱만갱 : 구덩이에 있으면 구덩이에 가득 참. 道 도 가 도처에 가득함.
(구덩이 - 파묻다 - 못 阬 갱, 찰 - 넘치다 - 교만하다 滿 만)
在京 재경 : 서울에 머물러 있음. (서울 - 언덕 - 크다 - 근심하다 - 곳집 京 경)
在告 재고 : 벼슬아치가 휴가를 얻어 歸覲 귀근 (집으로 돌아가 어버이를 뵘)
중에 있음. (발표하다 - 가르치다 - 고하다 - 알리다 - 찾다 - 묻다 - 말미 告 고)
在庫 재고 : 창고에 있음. (곳집 - 문 이름 - 별 이름 庫 고)
在公 재공 : 公務 공무 에 종사함.
(공변되다 - 벼슬 이름 - 어른 - 그대 - 한가지 - 바르다 公 공)
在來 재래 : 전부터 있어 내려온 것.
(올 - 돌아오다 - 부르다 - 〜 이래 (自) - 보리 - 오대 孫 손 來 래)
在留 재류 : 다른 나라나 고장에 머물고 있음.
(굳게 지켜 변하지 아니하다 - 머무르다 - 지체하다 - 머뭇거리다 - 꾀꼬리 留 류)
在理 재리 : 이치를 분명히 앎. 도리를 규명함. 재판을 받음. 또는 재판받고 있는
기간. (살결 - 나무의 결 - 도리 - 이치 - 다스리다 - 재판관 - 매개 - 거동 - 임금이
바깥으로 내뱉은 것 理 리)
*. 나무 - 초목 - 식물의 범칭 - 담 - 담장 - 담을 쌓다 - 심다 - 식물을 심다 - 세우다 -
두다 樹 수
갑골문
=
(묘목을 그린 나무 木 목) +
(큰 용기를 그린 豆) +
(손을 그린 又)
금문
(갑골문의 나무인
이 풀인
로 전환되었다
소전
금문인 ‘(풀 草 초) 풀인
+
(큰 용기를 그린 豆) +
(손을 그린 又)’ 에
(나무 木 목) 이 추가되었고 ‘
(손을 그린 又)’ 이 寸 으로 바뀌었다
예서는 樹 와 거의 동일하다
나무 木 목 + 선 - 세울 尌 주
‘선 (서 있는) 나무’를 그려
‘나무' 를 나타냈고
樹功 수공 (공을 세움) 樹根 수근 (근본을 세움) 에서와 같이
서 있다거나 세운다거나 심는다는 의미로 쓰일 때
木 보다는 樹 를 쓴다
선 - 세울 尌 주
丨하늘과 一 땅 사이에 豆 콩이 있어 콩을 먹고 寸 (살아가는) 법을 세웠다
樹稼 수가 : 수목과 곡식. 서리가 나무나 풀에 내려 눈처럼 된 것 (상고대).
(심다 - 곡식 - 농사 稼 가)
樹功 수공 : 공을 세움. 樹勳 수훈. (공적 - 보람 - 일 - 공치사하다 - 상복 이름 功 공)
樹冠 수관 : 가지와 잎이 많이 달려 갓 모양을 이루고 있는 나무의 윗부분.
(갓 - 갓을 쓰다 - 어른 - 으뜸 - 볏 冠 관)
樹根 수근 : 나무의 뿌리. 근본을 세움. 기초를 세움.
(뿌리 - 근본 - 밑동 - 뿌리박다 - 뿌리뽑다 - 수학의 근 - 간방에서 나왔다 根 근)
樹林 수림 : 나무가 우거진 숲. (수풀 - 숲 - 들 - 야외 - 많다 林 림)
樹立 수립 : 사업이나 공을 이룩하여 세움.
(서다 - 세우다 - 이루다 - 굳다 - 곧 - 밝히다 - 정하다 立 립)
樹木 수목 : 나무를 심음. 나무.
(나무 - 동방 - 질박하다 - 뻣뻣하다 - 곧다 木 목)
樹勢 수세 : 나무가 자라내는 기세. (세력 - 형세 - 기세 - 기회 勢 세)
*.흰 - 오행으로는 金 금 - 채색하지 아니하다 - 어질다 - 아뢰다 - 벌주의 잔 -
술잔 - 술 - 벼 - 훈련되지 아니한 사람 - 밝다 - 바르다 白 백
촛불을 본뜬 글자라고도 하며
‘음지를 뜻하는 들 入 입 + 서쪽을 뜻하는 두 二 이’
로 만들어진 글자라고도 한다
白骨 백골 : 흰 뼈. 송장의 살이 썩고 남은 뼈 (枯骨 고골).
칠을 하지 않은 木器 목기 나 木物 목물. (뼈 - 꼿꼿하다 - 요긴하다 骨 골)
白骨難忘 백골난망 : 죽은 뒤에도 은혜를 잊을 수 없음.
(어려울 - 근심하다 - 막다 - 꾸짖다 難 난, 잊을 - 건망증 忘 망)
白骨徴布 백골징포 : 죽은 사람의 이름을 군적에 올려 군포를 거두어 들임.
(거두다 - 요구하다 - 부르다 - 효험 徴 징, 베 - 피륙 - 돈 - 베풀다 - 벌이다 布 포)
白果 백과 : 은행나무. 은행 열매. (나무 열매 - 알 - 날래다 - 과단성 있다 果 과)
白駒 백구 : 흰 망아지. 햇빛. 광음. 세월. 현인이 타는 말.
(망아지 - 줄기를 잘라낸 나무의 밑동 (등걸) 駒 구)
白駒空谷 백구공곡 : 현인이 초야에 있음.
현인이 모두 조정에 벼슬하여 산골에 없음.
(빌 - 구멍 - 하늘 - 크다 - 없다 - 궁하다 空 공, 골 - 기르다 谷 곡)
白駒過隙 백구과극 : 흰 말이 벽 틈 앞을 지나감. 세월이 빠름의 비유.
駒隙 구극 : 세월이 빠름.
(지나다 - 넘다 - 허물 - 그릇되다 過 과, 틈 - 겨를 隙 극)
白圭 백규 : 희고 맑은 옥. 말을 삼가야 함. 三復白圭 삼복백규.
(삼복백규는 “詩經 시경 大雅 대아 抑篇 억편 의
白圭之玷、尚可磨也。斯言之玷、不可為也” 에서 온 말로
흰 옥의 티는 갈아 없앨 수 있지만 말실수는 없던 것으로 할 수 없다는 말로
공자의 제자 南容 남용 이 하루에 세 번씩 외웠다는 데서 온 말)
(제후가 조회할 때 손에 들고 있는 둥글고 긴 모양의 옥으로 된, 천자가 제후에게
내린 信印 신인 圭 규)
白圭壑鄰 백구학린 : 남에게 폐해가 되는 일을 감히 함. 단군조선 시대 주나라
혼란기 白圭 백규 의 정치 사상을 孟子 맹자 가 비평하면서 물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물을 이웃 나라로 돌려 빼는 것과 같다고 한 고사에서 온 말.
(골짜기 壑 학, 깊다 (밝다) 䜭 준 (예) + 또 又 우 + 흙 土 토,
깊다 (밝다) 叡 준 (예) + 흙 土 토, ‘깊게 파인 땅’ 을 그려
골짜기 를 나타냈다, 이웃 - 이웃하다 - 돕다 - 수레 구르는 소리 鄰 린)
白徒 백도 : 과거를 거치지 않고 벼슬아치가 됨. 또는 그런 사람. 훈련되지 못한
병정. (맨발 - 맨손 - 보병 - 걸어다니다 - 무리 - 제자 - 비다 - 다만 - 종 - 죄 이름 徒 도)
白道 백도 : 흰 길. 도리를 밝힘. 달이 天球上 천구상 에 그리는 軌道 궤도.
(바른 길 - 길 - 도리 - 이치 - 기능 - 작용 - 인도하다 - 말하다 道 도)
白頭 백두 : 센 머리. 白首 백수. 지체는 높으나 벼슬하지 않는 양반. 민머리.
(최상부 - 머리 - 우두머리 - 꼭대기 - 끝 頭 두)
白頭如新 백두여신 : 백발이 되도록 사귀었어도, 서로 마음을 알지 못하면 새로
사귄 사람이나 다를 바가 없음. (같을 -가다 - 이르다 - 무리 - 어조사 如 여)
(새 - 처음 - 새롭다 新 신)
白浪 백랑 : 희게 이는 물결. 白波 백파. (381-1. 함부로 떠돌다 - 물결 - 물결이 일다
浪 랑, 물 수 변 氵 + 어질 良 량, ‘물 수 변 氵’ 은 ‘흐르다’ 를 의미하고,
‘어질 良 량’ 은 ‘어지럽다’ 로 변환해, ‘어지럽게 물흐르다' 를 그려,
‘함부로 떠돌다' 를 나타냈다)
白練 백련 : 마전한 흰 비단 (명주). (마전 : 갓 짠 천을 삶거나 빨아 볕에 바래는 일)
(선택하다 - 익히다 - 단련하다 - 시험하다 - 일다 - 일어서 가려내다 - 누인 명주 練 련)
白露 백로 : 24절기의 하나. 9월 8일경. (나를 감싸주는 이가 없음 - 고달프다 -
이슬 - 새나가다 - 드러나다 - 나타나다 露 노-로)
白龍魚服 백룡어복 : 존귀한 사람이 微行 미행 하다가 危險 위험 을 당함.
신령한 백룡이 물고기로 변하여 豫且 예저 라는 어부에게 잡혔다는 고사에서 온 말.
(뛰어난 인물 - 크다 - 용 - 임금 龍 용,
‘立 세로 서다 月 몸둥이 + 오른쪽 위에 ‘-’ 뿔을 그렸고
‘三’ 비늘이 있고 긴 모양을 그린 오른쪽 아랫부분’
을 그려 ‘용’ 을 나타냈다, 물고기 - 물고기를 잡다 - 두 눈이 흰 말 魚 어)
(옷을 입다 - 몸에 매달다 - 옷 - 직분 - 생각하다 - 다스리다 - 익히다 - 항복하다
服 복)
白麻 백마 : 흰 삼베. 고구려 시대 唐 당 나라에서 詔書 조서 를 기록하던 흰 麻紙
마지. 詔書 조서. (삼 - 임금의 말씀 - 조칙 - 약 이름 - 깨 麻 마)
白面書生 백면서생 : 얼굴이 해맑은 젊은이. 연소하여 경험이 부족한 서생.
(얼굴 - 향하다 - 보이다 - 얼굴을 돌리다 - 눈앞 - 다면체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 - 행정 구획의 하나 面 면, 다리 - 밟다 脚 각, 글 - 쓰다 - 글짓다 - 책 - 편지 -
장부 - 조서 - 書 서, 학생 - 선생 - 살다 - 낳다 - 나오다 - 목숨 - 생활 - 자라다 -
저절로 - 번식하다 - 나 生 생)
白描 백묘 : 동양화 描法 묘법 의 하나. 진하고 흐린 곳이 없이 線 선 만을 먹으로
진하게 그리는 일. (그리다-묘사하다 描 묘, 손 수 변 扌+ 모 苗 묘
‘손 + 모’ 로는 ‘그리다 - 묘사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손 수 변 + 초 두 머리 サ + 밭 田 전, 손 수 변은 손→손쓰다 로 전환
풀 초 머리 サ 는 땅에서 즉 밑에서 나오는 것을 그렸다
즉 보이게 되었다 (하다) 를 나타낸 것이고
밭 田 전 은 밭→밖→바깥 으로 전환시켜
‘바깥으로 드러나게 손쓰다’ 를 그려 ‘그리다-묘사하다’ 를 나타냈다)
白文 백문 : 句讀點 구두점⋅자구의 해석 등을 붙이지 않은 고문의 正文 정문.
碑文 비문⋅印文 인문 따위의 陰刻 음각 한 것. 官印 관인 이 찍히지 않은 문서.
(글월 - 문채 - 빛나다 - 법률 - 착하다 - 아름답다 - 아롱지다 文 문)
白門 백문 : 城郭 성곽 의 문. 西南方 서남방. 金氣 금기 가 시작하는 곳이라는
데서 온 말. (문 - 집안 - 가문 - 무리 - 길 門 문)
白眉 백미 : 흰 눈썹. 여럿 중에서 가장 뛰어남. 고구려 시대 한나라 혼란기 蜀漢
촉한 의 馬氏 마씨 집안 여러 형제 가운데 눈썹 속에 흰 털이 있는 馬良 마량 이
제일 뛰어났던 데서 온 말. (눈썹 - 가장자리 眉 미)
白民 백민 : 官爵 관작 이 없는 백성. 나라 이름. 南蠻 남만 의 하나.
(백성 - 국민 - 별 이름 民 민)
白髮還黑 백발환흑 : 백발 노인에게 검은 머리털이 다시 남. 다시 젊어짐.
(터럭 - 머리털 髮 발, 상자 - 궤 匣 갑, 돌려주다 - 돌려보내다 - 돌아가다 還 환,
검을 黑 흑, 윗부분은 '창문 窓 창' 의 변형으로, 아랫부분을 '불꽃 炎 염' 으로 보고
불이 활활 타올라 창문 밖으로 나가 창이 검게 그을리게 되므로
'검다' 를 나타냈다고도 한다
또한
윗부분은 '눈 目 목' 의 변형으로, 아랫부분을 '불꽃 炎 염' 으로 보면
눈이 불꽃 위에 오래 있으면 아무것도 볼 수 없게 되므로
'앞이 캄캄하다' 를 그린 것이 되어, '검다' 를 나타낼 수 있었다고도 볼 수 있겠다)
白白 백백 : 바른 것을 밝힘. 새하얌. 헛되이. 아무 보람도 없이.
白璧 백벽 : 고리 모양의 흰 玉 옥. (고리 모양의 둥근 옥 璧 벽)
白璧微瑕 백벽미하 : 흰 구슬의 작은 티. 훌륭한 사람이나 물건에 조그마한
결점이 있음. (아닐 - 없다 - 작을 - 쇠하다 - 천하다 - 숨기다 微 미, 옥의 티 - 허물 -
틈 - 멀다 - 어찌하여 瑕 하)
白兵 백병 : 칼집에서 뺀 칼. 서슬이 선 칼날. 白刃 백인.
(군사 - 병장기 - 전쟁하다 兵 병)
白兵戰 백병전 : 칼⋅총⋅총검 등을 가지고 직접 맞붙어 싸우는 전투.
(전쟁하다 - 두려워하다 戰 전, ‘홑 單 단 + 창 戈 과’ 로
수레에 창을 실은 그림으로 전쟁을 나타낸 것이다)
白賁 백비 : 채색하지 않고 흰빛으로 꾸밈. 모든 화려함을 버리고 자연의
근본으로 돌아감. (꾸미다 - 괘 이름 - (크다 - 날래다) 賁 비 - (분))
白鬢 백빈 : 허옇게 센 살쩍. 霜鬢 상빈. (구렛나루 - 귀밑털 - 살쩍 鬢 빈)
白沙靑松 백사청송 : 흰 모래톱에 푸른 소나무. 물가의 아름다운 경치.
(모래 - 물가 - 바닷가 沙 사, 푸를 - 대껍질 - 무성한 모양 靑 청, 소나무 - 향풀 松 송)
白蔘 백삼 : 잔털을 다듬고 껍질을 벗겨 햇빛에 말린 水蔘 수삼. (인삼 - 더덕 蔘 삼)
白狀 백상 : 스스로 자기 죄상을 말함.
(모양 - 형상 - 형용하다 - 같다 - 베풀다 狀 상, ‘爿 판 + 犬 개’ 로 ‘개판' 을 그려
‘느낌 - 상태 - 형상 - 용모'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문서 - 편지 狀 장, 옛날에는 ‘개' 가 ‘벼슬아치’ 를 나타냈던 때가 있었고 爿은
나무로 ‘죽간’ 을 나타내 ‘벼슬아치의 죽간' 으로 狀 이 ‘장계 - 편지' 를 나타낼 수
있었다)
白商 백상 : 가을. 가을은 色 색 으로는 白, 音 음으로는 商 에 속하는 데서 온 말.
(장사 - 장수 - 상나라 - 헤아리다 - 서쪽 - 가을 商 상, 商 은 상나라 상인들이 봇짐을
양쪽 어깨에 메고 다니는 모양을 그린 글자로도 본다)
白書 백서 : 나무를 깎은 흰 바닥에 쓴 글자. 정부에서 발표하는 공식적인 實情
실정 보고서. 영국 정부가 보고서를 흰 종이에 쓴 데서 온 말.
(책 - 글쓰다 - 편지 - 장부 書 서)
*. 망아지 - 작은 말 - 나무 등걸 (줄기를 잘라낸 나무의 밑동) 駒 구
말 馬 마 + 글귀 - 거리낄 句 구
'아직 덜자라 행동에 제약이 많은 - 거리끼는 것이 많은 말' 을 그려
‘망아지' 를 나타냈다
駒隙 구극 : 세월이 빠름.
白駒過隙 백구과극 : 흰 말이 벽 틈 앞을 지나감. 세월이 빠름의 비유.
(틈 - 겨를 - 여가 - 지나다 - 넘다 - 허물 - 그릇되다 過 과 - 사이가 틀어짐 - 싸움 -
분쟁 - 기회 隙 극)
駒馬 구마 : 망아지와 말. (말 - 아지랑이 - 추녀끝 - 벼슬 이름 馬 마)
*. 밥 - 먹다 - 마시다 - 생활하다 食 식
갑골문
=
(모을 亼 집) +
(숟가락에 담긴 따뜻한 밥을 그린 ‘고소하다 皀
흡’)
갑골문
밥의 열기를 나타낸
이 생략되었다
금문
(皀) 을
(皀) 로, 숟가락 모양을
으로 바꾸었다
소전
금문의
이
(匕) 로 바뀌었다
예서
소전의
(皀) 모양이 良 과 비슷한
(皀) 으로 바뀌었다
소전은 '모을 亼 집 + 사람을 그린 모양' 에 가까워
'천지인의 기운을 사람에게 공급해주는 것' 을 그려
'밥' 을 나타냈다고 볼 수 있고
옥편은 '모을 亼 집 + (곡물의) 고소할 皀 흡' 으로
'곡물이 모인 것' 을 그려
'밥' 을 나타냈다고도 하며
예서로만 보면
'사람 人 인 + 어질 良 량' 으로
'사람을 어질게 하는 것' 을 그려
'밥' 을 나타냈다고도 볼 수 있겠다
‘밥' 에서 ‘먹다’ 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고 볼 수 있겠다
食客 식객 : 예전에 세력 있는 집에 얹혀 있으면서 문객 노릇을 하던 사람.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 사람 客 객)
食頃 식경 : 밥을 먹을 동안.
(쯤 - 잠깐 - 요사이 - 머리 비뚫이 - 백이랑 - 아까 頃 경, 빛나다 熲 경)
食根 식근 : 먹을거리가 나오는 근원. 논밭.
(뿌리 - 근본 - 간방에서 나왔다는 의미의 글자 根 근)
食氣 식기 (사기) : 기를 먹음. 신이 제물을 흠향함. 공기를 먹음. 음식물의 냄새.
곡물을 먹은 기운.
(기운 - 공기 - 숨쉬다 - 기질 - 마음 - 기후 - 절후 - 냄새를 맡다 氣 기)
食啖 식담 : 음식을 먹음. 보잘 것 없는 음식을 먹음. (씹다 - 통째로 삼키다 啖 담)
食淡 식담 : 보잘 것 없는 음식을 먹음. (묽다 - 담백하다 - 싱겁다 - 맑다 淡 담)
食德 식덕 : 조상이 쌓은 공덕으로 자손이 작위를 누림.
(남을 위하는 마음가짐 - 덕 - 은혜 - 크다 德 덕)
食道 식도 : 軍糧 군량 을 나르는 도로. 소화 기관의 일부로서, 咽頭 인두
에서 위까지의 긴 관. 밥줄.
(바른 길 - 길 - 도리 - 이치 - 기능 - 작용 - 인도하다 - 말하다 道 도)
食力 식력 : 백성의 租稅 조세 로 생활함. 자기 힘으로 생계를 세움. 또는 그 사람.
(힘 - 힘쓰다 - 힘입다 - 일하다 - 심하다 力 력)
食祿 식록 : 祿 녹. 給料 급료. 俸祿 봉록. 녹을 먹음. 祿俸 녹봉 을 받음.
(녹봉 - 복 - 착하다 - 불귀신 祿 록)
食料 식료 : 음식의 재료. 음식 값. ((웃을 - 읽을) 거리 - 봉급 - 자질 -
되질하다 - 헤아리다 - 세다 - 다스리다 - 계산하다 料 료)
食無求飽 식무구포 : 배부르게 먹기를 바라지 않음. 허기를 면할 정도로써
만족함. 군자의 마음가짐의 하나. (없다 - 아니다 - 말다 - 비다 - 풀 이름 - 있어야
할 곳에 없고 없어야 할 곳엔 있다 無 무, 구할 - 기원하다 - 찾다 - 탐내다 -
책망하다 - 요구하다 求 구, 배부르다 -먹기 싫다 - 흡족하다 飽 포)
*. 마당 - 시험장 - 남새밭 - 밭 - 신을 모시는 곳 - 시험장 - 시장 場 장
흙 土 토 + 빛날 (日 一 勿) 양
日 해의 一 비친 곳 勿 깃발로 '발' 을 나타내
'해의 발 즉 '해의 빛' 이 비친 - 미친 곳' 을 그려
'해가 비치는 - 미치는 흙 - 땅' 을 그려
'(지붕이 없는) 마당' 을 나타냈다
場期 장기 : 科擧 과거 의 시험 기일.
場捋 장날 :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곳. (집어 따다 - 따내다 - 쑥쑥뽑다 -
쓰다듬다 - 어루만지다 捋 랄, 손 수 변 扌 + 취할 寽 (손톱 爪 조 + 마디 -
헤아리다 寸 촌) 률)
場面 장면 : 어떤 장소에서 벌어진 광경. (얼굴 - 향하다 - 보이다 - 얼굴을 돌리다 -
겉 - 눈앞 - 다면체의 평면을 이루는 평면 - 행정 구획의 하나 面 면)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19 (5) | 2023.03.30 |
---|---|
天字文 천자문 ⊕⊕ 18 (6) | 2023.03.29 |
天字文 천자문 ⊕⊕ 16 (2) | 2023.03.27 |
天字文 천자문 ⊕⊕ 15 (4) | 2023.03.26 |
天字文 천자문 ⊕⊕ 14 (2)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