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字文 천자문 ⊕⊕ 15
愛育黎首 臣伏戎羌
애육여수 신복융강
(단군께서) 사랑으로 백성을 다스리면
주변 이민족들도 신하로서 복종했다
*. 사랑 - 소중히 여기다 - 아끼다 - 친밀하게 대하다 - 역성들다 - 몽롱하다 - 愛 애
금문
=
(’하품 欠 흠' 과 비슷하나 같지는 않다) +
(마음 心 심)
소전
=
(
+
)+
((방해하는 의미의) 천천히 걸을 夊 쇠)
‘
’ 은 '손톱 爪 조 + 덮을 冖 멱’ 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금문과 소전이 연결되지 않는다
예서
愛 의 古字 고자인 㤅 + 마음 心 심
이라고도 하고
'줄 受 수' 의 줄임 + 마음 心 심 + 천천히 걸을 夊 쇠
라고도 하는데
'손톱 爪 조 + 덮을 冖 멱 + 마음 心 심 + (방해하는 의미의) 천천히 걸을 夊 쇠' 로
'덮여 있는 마음을 손톱으로 방해한다 즉 (손으로) 행동으로 마음을 열려고 한다'
를 말한다
愛見 애견 : 사람에게 집착하여 사랑을 일으킴. 愛 와 見 견 의 두 가지 번뇌.
愛 는 貪欲瞋恚 탐욕진애. 見 은 我見 아견⋅邪見 사견 등.
(볼 - 만나보다 - 생각하다 - 돌이켜 반성하다 - 당하다 見 견)
愛顧 애고 : 사랑하여 돌보아 줌.
(돌봐주다 - 돌아보다 - 도리어 - 당기다 - 품을 사다 顧 고)
愛及屋鳥 애급옥오 : 사랑이 지붕에 앉은 까마귀에 미침.
사람을 사랑하게 되면 그 집 지붕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사랑스럽게 보임.
(〜 까지, 미치다 及 급, 지붕 - 집 - 수레의 뚜껑 屋 옥, 까마귀 - 검다 - 어찌 鳥 오)
愛嗜 애기 : 귀여워하고 좋아함. (좋아할 嗜 기)
愛戴 애대 : 기뻐하여 받듦. (받들다 - 머리 위에 이다 - 덤을 받다 戴 대)
愛讀 애독 : 즐겨 읽음. (읽을 讀 독)
愛憐 애련 : 사랑하여 가엾게 여김.
(불쌍히 여기다 - 가엾게 여기다 - 어여삐 여기다 憐 련)
(마음 심 변 忄 + 쌀 米 미 + 왼쪽으로 가다 夕 석 + 오른쪽으로 걷다 㐄 과
오른쪽과 왼쪽 즉 사방에 쌀을 나눠주는 마음)
愛悋 애린 : 아깝게 여김. 인색함. (인색하다 - 아끼다 悋 린)
愛慕 애모 : 사랑하고 사모함. (본받다 - 사모할 慕 모)
(없을 (저물) 莫 막 (모) + 마음 심 발 㣺
‘(사랑하는 사람이) 없을 때의 마음')
愛撫 애무 : 사랑하여 어루만짐.
(어루만지다 - 달래다 - 누르다 - 기대다 - 치다 - 좇다 撫 무)
('없을 無 무' 와 '춤출 舞 무' 의 小篆 소전의 모양은 같다
'없을 無 무' 가 본래 춤추다의 뜻으로 쓰이다 '없다' 를 나타내게 되며
'舞' 를 만들어 '춤추다' 를 나타내게 되었기 때문이다
해서 '손이 춤추다' 를 그려
'어루만지다-사랑하다-누르다' 를 나타냈다)
愛物 애물 : 만물을 사랑함. 物 은 禽獸草木 금수초목. 사랑하여 아끼는 물건.
(만물 - 일 - 재물 - 무리 - 헤아리다 - 견주다 - 죽다 - 활을 쏠 때 서는 자리 物 물)
愛別 애별 : 이별을 서운해함. 惜別 석별. (이별하다 - 나누다 - 가르다 - 다를 別 별)
愛別離苦 애별리고 : 불교 八苦 팔고 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하는 괴로움.
(헤어지다 - 떠나다 - 흩어지다 - 가르다 - 만나다 - 늘어놓다 - 지나다 離 리,
쓰다 - 고통 - 걱정 - 욕되다 - 소홀하다 - 멀미 苦 고)
愛賞 애상 : 완상하여 칭찬함. (상을 주다 - 권하다 - 구경하다 - 아름답다 賞 상)
愛惜 애석 : 사랑하고 아낌. (아낄 - 애처롭게 여기다 惜 석
마음 심 변 忄 + 옛 - 섞이다 昔 석
‘옛 昔 석’ 은 ‘포개어 쌓음 + 날 日 일’ 로
포개어 쌓아둔 채 (여러) 날이 지난 것 혹은
‘홍수를 그린 모양 ≋ + 날 日 일’ 로
지난날의 홍수를 잊지 않는다는 데서 옛날을 나타냈다고 한다
홍수가 나면 모든 것이 엉망진창으로 섞이기 때문에
섞이다의 뜻도 가지고 있다
옛날에홍수 때문에 고생했던 일을 잊지 않는 마음을 그려
아끼다 - 애처롭게 여기다)
愛誦 애송 : 시나 문장 따위를 즐겨 읊거나 욈. (외다 - 읽다 - 읊다 - 말하다 -
원망하다 誦 송, 말씀 言 언 + 물솟다 甬 용)
愛視 애시 : 사랑하여 눈여겨봄. 돌보아 줌. 눈으로 보는 것을 좋아함.
(볼 - 견주다 - 보이다 - 본받다 視 시)
*. 기를 - 자라다 - 낳다 - (맏아들 - 상속자) 育 육 - (주)
갑골문
=
(임신부를 그린 女) +
(양수를 그린 水) +
(태아를 그린 子)
자궁 안에서 태아가 양수에 둘러쌓여 길러지는 그림
갑골문
‘어미 母 모’
로 임산부를 그린 ‘여자 女 여'
를 대체했다
갑골문
양수에 둘러쌓인 아이
대신 ‘자식 子 자’
를 썼다
갑골문
임산부나 어미를 그린 ‘어미 母 모’
나 ‘여자 女 여'
대신에
‘사람 人 인’
을 썼고 ‘자식 子 자’
로 사람이 자식을 기르다를 그렸다
금문
소전
‘여자 女 여'
대신 ‘매양 每 매'
가 쓰였고 자식을 그린
이
으로
바뀌었다
소전
=
(자식 子 자) +
(고기-몸-살 肉 육)
아이 낳을 ( 亠 + 厶) 돌 + 고기-몸-살 육 月 (肉 이 부수로 쓰일 때의 모습)
‘아이가 태어나면 길러야 한다’ 는 의미로 만들어진 것이라 한다
亠 보통은 덮는다 - 누른다 의 뜻이지만
여기선 일정한 높이 아래에서
즉 사람의 아랫부분에서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여인의 아랫부분에서' 를 의미한다
'厶' 는 '나' 를
'月' 은 '살’ 을 의미해
'育' 은 '아내가 낳은 내 혈육' 을 나타낸 것이며
'여인이 아이를 낳다' 를 그려
'낳아 놓은 자식은 길러야한다' 를 나타낸 것으로 억측해 볼 수 있겠다
育鞠 육국 : 곤궁한 가운데서 생장함. 늘그막에 곤궁함.
(곤궁하다 - 굽히다 - 기르다 - 고하다 - 채우다 - 차다 - 국화 - 발로 차는 제기 鞠 국)
育林 육림 : 계획적으로 나무를 심어서 숲을 가꾸는 일.
(수풀 - 숲 - 들 - 야외 - 많다 林 림)
*. 검을 - 많다 - 무렵 - 가지런하다 - 불을 맡은 신 黎 려
벼 禾 화 + ‘칼 刀 도 방 + 丿’+ 여덟 八 팔 + 물 水 수
‘칼 刀 도 방 + 丿’ 는
가르는 것을 나타내는 ‘칼 刀 도 방’ 에 한번 더 가름을 의미하는 丿를 더해
기장쌀이 쌀의 약 1/10 의 크기인 것을 나타낸 것으로
1,000알의 크기가 2 -3 그램인 기장을 그려 '많다’ 를 나타냈고
‘많음' 으로 '백성' 을 나타냈고
‘백성' 들은 관을 쓰지 않아 검은 머리가 드러나
'검다' 까지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黎老 여로 : 노인. (늙을 - 쭈그러지다 - 익숙하다 - 어른 老 로)
黎明 여명 : 밝아 오는 새벽. 먼동이 틀 무렵. (밝을 - 새벽 - 희다 - 빛 - 시력 明 명)
(결백하다 - 빛 - 밝다 - 희다 - 새벽 - 낮 - 이승 - 시력 明 명)
黎明期 여명기 :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시기. (기한 - 기약하다 - 기다리다 -
한정하다 - 정하다 - 돌 - 백살 - 때 - 말을 더듬다 期 기)
黎民 여민 : 모든 백성. 고대에, 일반 백성은 관을 쓰지 않아 검은 머리였던 데서
온 말. 黔首 검수. 庶民 서민. 黎庶 여서. (백성 - 국민 - 별 이름 民 민)
400-1. 많다 㴝 려
벼 禾 화 + 칼 刀 도 방 + 여덟 八 팔 + 물 水 수
'칼로 벼를 베고 나면 그 밑엔 물이 많다'는 뜻을 그려낸 문자
여기서 八은 덮어 가리다란 뜻으로
벼가 물을 덮어 가리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1900년대 초까지 벼를 재배하지 않았던
지나인들의 조상이 많들 수 있는 문자가 아니다
*. 머리 - 목 - 머리털 - 시초 - 임금 - 우두머리 - 첫째 - 으뜸 - 칼의 손잡이 首 수
머리털이 나 있는 사람의 머리를 본뜬 글자로
(소전체 巛 해서체丷) 는 머리털을
(一 + 自) 는 머리를 나타낸다고 한다
首稼 수가 : 메기장. 차지 않은 기장. 여러 곡식 중에서 메기장을 제일 먼저 심는
것에서 온 말. (익은 벼 - 베지 아니한 벼 - 곡식 - 농사 - 심다 稼 가)
首甲 수갑 : 투구. 으뜸. 첫째. (갑옷 - 껍질 - 첫째 천간 - 시작하다 - 법 甲 갑)
首鎧 수개 : 투구. 首甲 수갑. (갑옷 - 갑옷을 입다 鎧 개)
首科 수과 : 과거에서 장원으로 급제함.
(과거 - 법 - 품등 - 조목 - 구멍 - 웅덩이 科 과)
首丘 수구 : 여우가 죽을 때는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으로 둠.
근본을 잊지 않음. 고향을 그리워함. (언덕 -높다 - 크다 - 모으다 - 고을 丘 구)
首肯 수긍 : 그러하다고 고개를 끄덕임. 옳음을 인정함. (뼈에 붙은 살 - 뼈 사이의
살 - 살이 붙지 않은 뼈 - 즐기다 - 수긍하다 옳게 여기다 肯 긍, 소전의 모양은
⋂ 안에 月 이 비스듬히 있는 모양으로 ‘⋂’ 이 ‘止’ 이고 ‘비스듬한 月’ 이 ‘고기 육 변 月’
으로 ‘가려져 있는 살’ 을 그린 것으로 ‘뼈 사이의 살 - 뼈에 붙은 살’ 을 그린 것으로
뼈 사이에 살이 있어야 하는 것이므로 ‘뼈 사이의 살' 을 그려 ‘옳다 - 옳게 여기다' 를
나타냈다)
首腦 수뇌 : 中樞的 중추적 인 자리를 맡고 있는 사람. 우두머리.
(중심 - 심 - 마음 - 정신 - 뇌 - 머리 - 다룸가죽 - 광택 - 매끄러움 腦 뇌)
首途 수도 : 처음으로 旅程 여정 에 오름. 처음으로 출발함. 首路 수로.
(길 - 도로 途 도)
首聯 수련 : 첫머리의 聯句 연구. 律詩 율시 의 첫 두 句 구.
(연하다 - 잇닿다 - 돕다 - 합하다 - 열 집 - 열 사람 聯 련)
首路 수로 : 首途 수도. (길 - 크다 - 수레 路 로)
首虜 수로 : 首級 수급 과 捕虜 포로. (포로 - 사로잡다 - 종 虜 로)
(전쟁 때 벤 적의 목 - 등급 - 층계 級 수)
*. 신하 - 신하가 되어 섬기다 - 포로 - 백성 - 하인 - 자기의 겸칭 臣 신
임금 앞에서 양 옆으로 머리를 숙이고 있는 모양을
임금의 자리에서 본 눈의 모양을 그린 글자
臣工 신공 : 많은 신하와 관리. (벼슬아치 - 장인 - 만들다 工 공)
臣道 신도 : 신하로서 지켜야 할 도리. (도리 - 이치 - 길 - 말하다 道 도)
臣虜 신로 : 포로가 되어 신하가 됨. (포로 - 사로잡다 - 종 虜 로)
臣僚 신료 : 많은 벼슬아치. (동료 - 벼슬아치 - 예쁘다 僚 료
사람 인 변 亻 + 횃불 -불놓다 尞 료 (요)
횃불을 든 사람 즉 '앞에서 인도하는 사람/밝은 사람' 을 그려
'벼슬아치 - 예쁘다' 를 나타냈다)
臣民 신민 : 신하와 백성. 모든 人民 인민. 臣庶 신서.
(백성 - 국민 - 별 이름 民 민)
臣服 신복 : 신하가 되어 복종함. (일용품 - 복종하다 - 다스리다 - 옷 - 생각하다
服 복, 고기 육 변 月 + 다스릴 𠬝 복 (병부 卩 + 손 又))
臣僕 신복 : 신하. 부림을 당하는 사람. 臣 은 옛날에 肉刑 육형 에 해당하는
죄인으로 노예로 부림을 받은 자, 또는 諸侯 제후 를 섬기는 자를, 僕 은
卿大夫 경대부 를 섬기는 자를 뜻함.
(종 - 마부 - 무리 - 저 (자기의 겸칭) - 붙다 - 숨기다 僕 복, 사람 인 변 亻 +
번거로울 業 복)
*. 엎드리다 - 살피다 - 엿보다 - 절후 (초·중·말 복) 伏 복
사람 인 변 亻 + 개 犬 견
사람 옆에 개가 엎드리고 있는 모양을 그린 그림으로 보인다
사람 옆에서 개가 사람의 눈치를 살피고 있는 모양을 그린 그림으로
살피다 - 엿보다 의 뜻도 있다
伏甲 복갑 : 적을 기습하기 위하여 군사를 숨겨둠 또는 그 군사. (= 伏兵)
(무장한 병사 - 갑옷 - 껍질 - 첫째 천간 - 시작하다 - 법 甲 갑)
伏劍 복검 : 칼에 엎드려 자살함. (칼 - 칼로 찔러 죽이다 劍 검)
伏寇 복구 : 숨어 있는 원수 또는 적. (원수 - 도둑 - 사납다 - 해치다 寇 구)
伏氣 복기 : 숨을 죽이고 두려워 움츠려듦. 싸움에 짐. 진심으로 기뻐함.
(기운 - 기질 - 공기 - 마음 - 숨쉬다 - 기후 氣 기)
伏匿 복닉 : 숨음. 세상을 피함. 伏隱 복은.
(숨다 - 숨기다 - 덮어두다 - 몰래 붙다 - 싸다 匿 닉)
伏櫪 복력 : 말이 마굿간에 누워 있음. 사람이 뜻을 펴지 못하고 있음을 비유.
(말구유, 말의 먹이를 담는 그릇 - 馬板 마판, 마굿간에 깐 널빤지 - 누에발 -
떡갈나무 - 상수리나무 櫪 력)
伏龍 복룡 : 숨어 있는 龍 용.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큰 人物 인물. 潛龍 잠룡.
(뛰어난 인물 - 크다 - 용 - 임금 龍 용,
‘立 세로 서다 月 몸둥이 + 오른쪽 위에 ‘-’ 뿔을 그렸고
‘三’ 비늘이 있고 긴 모양을 그린 오른쪽 아랫부분’
을 그려 ‘용’ 을 나타냈다)
伏流 복류 : 땅속으로 스며서 흐르는 물. (학파 - 동아리 - 같은 종류 - 귀양 보내다 -
갈리다 - 돌림 - 내치다 - 내리다 - 근거없다 - 은혜 - 달아나다 - 흐르다 - 구하다 -
펴다 - 등급 流 류)
伏魔殿 복마전 : 악마가 숨어 있는 곳. 나쁜 일을 꿰하는 무리들이 모여 잇는 곳.
(마귀 魔 마, 마비되다 - 굳다 麻 마 + 귀신 鬼 귀
'마비되다' → '굳다' → 초지일관 → 항상
'항상 마음이 흉악한 귀신' 혹은 ‘사람을 마비시키는 귀신' 을 그려
'악마' 를 나타냈다) (큰 집 - 대궐 - 전각 - 후진의 군대 - 치적의 하등 공적 -
끙끙거리다 - 진압하여 안정시키다 殿 전)
*. 군사 - 병사 - 되 (서쪽의 단군조선의 후예) - 크다 戎 융
창 戈 과 + 갑옷 甲 갑
'갑옷을 입고 창을 들다' 를 그려
'군사 - 병사' 를 나타냈다
戎歌 융가 : 군가. (노래 - 읊조리다 - 장단 맞추다 歌 가)
戎羯 융갈 : 단군조선의 일파인 융족과 갈족.
(지금은 흉노의 일파라 불리는 단군조선의 일파 - 거세한 양 羯 갈)
戎戒 융계 : 전쟁 준비. (재계하다 - 재계 - 경계하다 - 조심하다 - 살피다 -
타이르다 戒 계)
戎功 융공 : 큰 공훈. (공적 - 보람 - 일 - 공치사하다 功 공)
戎校 융교 : 將校 장교. (칼-차꼬-수갑 따위의 刑具 형구 - 생각하다 -
헤아리다 - 장교 - 장수 - 군부대 - 학교 - 세다 - 조사하다 - 교정하다 -
갚다 - 빠르다 校 교)
戎寄 융기 : 軍事 군사 를 위임함.
(寄 는 宀 집안 大 사람에게 可 가능한 것은 ‘의존하다 - 의지하다 -
맡기다 - 위탁하다 - 마음을 붙이다 - 부탁하다 - 의뢰하다 - 임시 주거)
戎機 융기 : 전쟁의 大權 대권. 전쟁.
(틀 - 비밀 - 기회 - 때 - 시기 - 조짐 - 전조 - 기계 - 올가미 - 우리 - 문지방 -
문턱 - 실마리 - 비롯하다 - 기틀 - 일의 가장 중요한 고동 - 길 - 도리 - 작용 - 활동 -
천문 - 위태롭다 機 기)
戎壇 융단 : 大將 대장 의 자리. 戎垣 융원. (흙을 높이 쌓아 위를 평평하게
만들어 특정한 행사를 하는 ‘단' - 임금이 조회를 보던 곳 - 맹세할 때 이용하는 곳 -
집의 기초 - 뜰 - 안뜰 - 곳 - 장소 壇 단, 흙 土 토 + 믿다 - 정성 도탑다 亶 단,
亶 = 쌀 곳집 㐭 름 + 새벽 - 아침 - 간작하다 旦 단)
戎毒 융독 : 큰 弊害 폐해.
(독하다 - 해치다 - 아프다 - 괴롭다 - 한하다 - 미워하다 - 기르다 毒 독)
67. 단군조선의 후예로 지금의 티베트에 있던 족속 - 강하다 - 새 새끼 굶주린
모양 羌 강
오랑캐를 그리면서 어진 사람 ㄦ 인을 왜 넣었나?
현재의 티베트족의 이름이라 하는데
신농씨의 성이 姜 강 이었고
치우환웅천왕이 말년을 티베트에서 보냈단 기록과
티베트의 건축물들에 남아 있는 태극문양
치우타라를 외며 수행하는 티베트 승려들을 볼 때
羌강씨 성은 치우 환웅천왕이나
티베트에서 치우 환웅천왕과 함께 했던
우리 조상들이 아닐까 한다
西羌之本 出自三苗 (後漢書)
‘오랑캐 羌 강’ 과 ‘성 姜 강’의 소전체를
보면 윗부분은 모두 ‘양’이고
아랫 부분은
‘오랑캐 羌 강’ 은 남자로
‘성 姜 강’은 여자로 보인다
羌桃 강도 : (단단한 앵도의 의미로) 호두의 딴 이름 (앵도 - 복숭아 나무 桃 도)
羌量 강량 : 鳥 새 새끼가 굶주려 고달픈 모양. (헤아리다 - 생각하여 분별하다 -
예상하다 - 정도 - 분량 - 곡식을 되는 용기인 휘 - 자세하다 - 법규 - 제도 量 량)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17 (3) | 2023.03.28 |
---|---|
天字文 천자문 ⊕⊕ 16 (2) | 2023.03.27 |
天字文 천자문 ⊕⊕ 14 (2) | 2023.03.24 |
天字文 천자문 ⊕⊕ 13 (6) | 2023.03.23 |
天字文 천자문 ⊕⊕ 12 (6)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