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

天字文 천자문 ⊕⊕ 16

天字文 천자문 ⊕ 16

 

遐邇壹體 率賓歸王

하이일체  솔빈귀왕

15장의

‘愛育黎首 臣伏戎羌

애육여수   신복융강

단군께서 사랑으로 백성을 다스리면

주변 이민족들도 신하로 복종한다' 에 이어

(단군조선의 단군이 백성을 사랑으로 다스리면)

먼나라건 가까운 나라건 하나처럼

(이민족들이) 백성을 거느리고 왕 즉 단군을 따랐다

 

*. 가다 - 멀다 - 오래다 - 어찌 遐 하

쉬엄쉬엄 갈 辶 착 + 빌 叚 가

빌 叚 가 는 ‘빌려 주다’ 로 진실로 주는 것이 아니란 뜻이다

'叚’ 의 왼쪽 부분은 '뭔가를 주는 그림' 이고

오른쪽 부분은 '돌려주는데 이자를 보태서 주는 그림' 이다

그래서 '빌리다’ 의 뜻이 있는데

'이자' 까지 돌려주기 때문에 '본래보다 더 많다' 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해서  '遐' 는 '쉬엄쉬엄 갈 辶 착 + 더 많이 ⟶ 더 멀리 叚 가' 로

'멀리 가다 - 가다 - 멀다' 를 나타낼 수 있었다

 

遐擧 하거 : 멀리 감. 높이 오름. 이름을 먼 곳에까지 들날림. 고상한 행동.

(거동 - 들다 - 올리다 - 줍다 - 빼앗다 - 거사 擧 거)

遐慶 하경 : 큰 즐거움. (경사 - 선행 - 상 복 - 하례하다 慶 경)

遐圻 하기 : 먼 지방. (지경 - 경기 땅 - (언덕 - 끝) 圻 기 - (은))

遐棄 하기 : 멀리하여 돌보지 않음. 家屬 가속 을 남겨 두고 세상을 떠남.

스스로 그 자리를 떠남. (버릴 - 잃다 - 폐기하다 - 잊어버리다 棄 기)

遐年 하년 : 오래 삶. 遐壽 하수. (해 - 나이 - 익다 - 풍년들다 年 년)

遐邈 하막 : 아득히 멂. 멀고 까마득함. (아득히 멀 - 근심하다 - 업신여기다 邈 막,

쉬엄쉬엄 갈 착 변 辶 + 모양 貌 모,

너무 멀리 있어 형상이 이렇게도 보이다 또 저렇게도 보이는 것을

'모양이 쉬엄쉬엄 가다 ⟶ 모양이 천천히 움직이다' 를 그려

'아득히 멀다'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통속적 - 가까울 邇 이

금문

=

(‘행진하다 - 다다르다' 를 나타내는 '쉬엄쉬엄 갈 辵 착) +

 

(짧은 사정거리를 나타내는 ‘너 尔 이’ 라고 해석해 왔다. 아래 爾 의 그림문자 해석을 보면

화살을 가진 많은 병사들을 그려 병사들의 간격이 짧거나 병사들간이 가까움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짧은 여정을 나타냈다고 해석해 왔다.

대전

, 금문자형

(爾) 중 하부의

을 생략하고

(尔) 이 되었다.

소전

, 금문자형을 승계했다.

예화 후 해서

, 소전자형 중

(辵) 이 走 의 하부인

로,

  로 

바뀌었다. 

속체 해서

,

(爾) 이

(尔) 로 간략화되었다.

쉬엄쉬엄 갈 辶 착 + 너 - 가깝다 爾 이

'너에게 가다' 를 그려

'가깝다' 를 나타냈다.

 

*. 너 - 가깝다 爾 이

갑골문

, 많은 화살을 그린 것으로

는 한번에 많은 화살을 쏠 수 있는

‘大弩 대노’ 를 말한다고 해석해 왔다.

금문

, 가운데에 화살이 여러 개 나란히 놓여 있는 형상으로,

갑골문보다 의미가 더 선명해졌다고 해석해 왔다.

금문

, 대노

의 화살을 담는 틀을 잘못 꺼내어 그물 모양

이 되어,

원래의 모양과는 달라졌다.

소전

, 금문자형

을 계승했다.

예화 후 해서

, 소전자형 중

으로,

으로 바뀌었다.

속체 해서

전통적인 갑골문과 금문의 해석은 ‘너 - 가깝다' 와는 전혀 ‘너 - 가깝다' 와는 관계가 

없어 보인다.

을 화살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있는 그림으로 보면

동이족의 전통상 화살은 몸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물건이기에 ‘가깝다' 를,

화살을 가진 사람들이 화살을 제외하곤 나와 가장 가까운 '너' 이므로 ‘너' 를 

의미할 수 있기에

를 그려 ‘너 - 가깝다' 를 나타낸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볼 수 있겠다.

누에가 실을 토해 고치를 만드는 모습

혹은 물레나 얼레 같은 실을 감는 기구를 그렸다는 설이 있다

낮다 丅 하 + 오히려 尚 상 의 생략형 + 밝다 㸚 례

로 파자해 볼 수 있겠으나

자원은 확실치 않다고 볼 수 있겠다.

 

邇來 이래 : 요사이. 근래, 그 후. 그 때 이후.

(올 - 돌아오다 - 부르다 - 〜 이래 (自) - 보리 - 오대 孫 손 來 래)

邇言 이언 : 통속적인 말. (말씀 (하다) - 나 - 우뚝하다 - (화평하다) 言 언 - (은))

邇遐 이하 : 가까움과 멂. (멀다 - 어찌 遐 하)

 

*. 하나 - 전일하다 - 순박하다 壹 일

하늘을 나타내는 十 + 땅을 나타내는 一 + 덮을 冖 멱 + 콩 豆 두

하늘과 땅 사이를 콩 (주식) 이 덮여 있으니

하나같이 사람들이 순박하다

를 그려 ‘하나 - 전일하다 - 순박하다’를 나타냈다

억측해 볼 수 있겠다

소전을 보면

단지 - 병 壺 호 + 길할 吉 길

단지 속에 길한 것이 들어있음을 그려

오직 길한 마음을 품고 있다는 데서

오직 - 오로지 - 하나 의 뜻을 나타냈다고도 한다

 

壹槩 일개 : 일괄하여.

(잎이 다 떨어진 나뭇가지를 뜻하는 ‘졸가리’ - 대개 - 거리끼다 - 칠한 통  槩 개)

(이미 - 다하다 既 기 + 나무 木 목, ‘나무 위에 이미 다하다’ 즉 ‘나뭇잎이 다 

떨어지다' 를 그려 ‘잎이 다 떨어진 나뭇가지를 뜻하는 ‘졸가리’ - 대개’ 를 

나타냈다)

壹鬱 일울 : 근심⋅걱정이 쌓여 마음이 답답하고 기가 막힘.

(가득차다 - 성하다 - 막히다 - 답답하다 - 분하다 鬱 울

'답답하다 欝 울' 의 생략형 + 술(울창주) 鬯 창

나무 木 목 + 장군 缶 부 + 나무 木 목 + 덮을 冖 멱 + 울창주 鬯 창 + 터럭 彡 삼

'缶 술통에 彡 뛰어난 (맛이 좋은) 鬯 울창주가 木木 많이 冖 숨겨져 있다'

를 그려 '가득차다 - 성하다 - 막히다 - 답답하다 - 분하다' 를 나타냈다

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근본 - 근본이 되다 - 몸 - 근본 - 희생 - 몸소 - 용납하다 - 나누다 體 체

금문

=

(‘몸 身 신’ 이라 하나 千 은 뼈대를 나머지  ⚯ 와 비슷한 모양은 

살과 장부들을 그린 것으로 볼 수 있겠다 ) +

(풍성할 豊 풍)

소전

는 

(骨) 로

(‘身’ 이라고 해석되어져 온) 을 대신했다

뼈 骨 골 + 풍성할 豊 풍

豊 은 그릇에 많은 음식이 담긴 모양을 본뜬 글자

體 는 뼈대에 많은 살과 오장육부 등 신체의 모든 기관이 붙어 있는 것

을 그려 ‘몸’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뼈를 근간으로 그 위에 살과 기관들이 붙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근본 - 근본이 되다 를 나타냈다고

도 억측해 볼 수 있겠다

 

體幹 체간 : 몸. 신체. (줄기 - 몸 - 등마루뼈 - 재주 - 천간 幹 간)

體腔 체강 : 동물의 체벽과 장기 사이의 빈 곳. (빈 속, 창자, 뼈대 - 노래 곡조 腔 강)

體格 체격 : 근육⋅골격⋅영양상태 등 몸의 생김새. 글씨의 윤곽과 품격.

시의 (격식) 體例 체례 와 (평측⋅운각⋅조구의 격식인) 律格 율격.

(모양 - 픔등 - 인품 - 법 - 가지 - 격자 - 이르다 - 오다 - 바르다 - 연구하다 格 격)

體系 체계 : 낱낱의 것을 통괄하여 질서정연하게 짜 이룬 계통이나 조직.

일정한 원리에 의해 조직된 지식의 통일적 전체.

(계보 - 실마리 - 이어지다 - 메다 - 끈 - 실 - 핏줄 - 혈통 系 계)

體軀 체구 : 몸. 몸집. 몸뚱이. (몸 - 허우대 軀 구)

體局 체국 : 사람의 됨됨이. 人品 인품. (도량 - 재능 - 판 - 쪽 - 시절 - 바둑이나 

장기판 - 좀스럽게 굴다 - 웃는 모양 - 마을 - 거리끼다 - 굽히다 - 말다 - 재촉하다 

局 국, 자 尺 척 + 입 口 구, ‘말하는 것을 측정하다' 혹은 ‘자의 전체 크기' 를 

그려 도량을 나타냈다)

體國 체국 : 首都 수도 를 구획하여 道路 도로⋅朝廷 조정 의 위치 등을 정하는 일.

體 는 나눈다는 뜻. 나라와 한몸이 됨. 

 (나라 - 나라를 세우다 - 고향 - 땅 國 국)

體德 체덕 : 타고난 덕.

(남을 위하는 마음가짐 - 덕 - 본성 - 가르침 - 은혜를 베풀다 - 복 - 행복 德 덕)

體度 체도 : 몸가짐. 태도. 外樣 외양.

(계량 단위 - 자 - 법도 - 지나다 - 횟수 - 정도 度 도)

體道 체도 : 몸소 도를 실천함.

(바른 길 - 길 - 도리 - 이치 - 기능 - 작용 - 인도하다 - 말하다 道 도)

體得 체득 : 체험하여 진리를 터득함. 몸소 경험하여 알아냄.

(능하다 - 자신•힘•용기 등을 가지게 되다 - 얻다 - 탐하다 - 만족하다 - 서로 통하다 - 

덕 - 이루다 - 분명하다 - 체포하다 - 제어하다 得 득, 소전을 보면 

자축거릴 彳 척 + 조개 貝 패 + 헤아리다 - 법 寸 촌,

 '자축거릴 彳 척' 은 '길,' '조개 貝 패' 는 재물, '헤아리다-법 寸 촌' 은 ‘주웠다’ 를 

그린 것)

體量 체량 : 타고난 기량. 짐작함. 어림쳐서 헤아림. 體測 체측. 體重 체중.

(정도 - 분량 - 양 - 되 - 헤아릴 量 량)

 

*. 거느릴 - 따르다 - 의거하다 - 복종하다 - 실행하다 - 거칠다 - 대범하다 - 목표 - 

갑자기 - (장수) 率 솔 - (수)

갑골문

=

(물 - 물길 水 수) +

(실 - 밧줄 幺 요)

밧줄이 강물에 끌려가는 것을 나타낸 것이라 해석해 왔다.

물길을 따라 밧줄로 끌고가는 모양을 혹은 물에 있는 것을 밧줄로 끌고가다

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금문

, 갑골문자형을 승계했다. 

금문

, 금문에서 ‘물길 - 강’ 을 나타내는

(水) 를

 

(行) 으로 그린 것으로 해석해 왔다.   배를 끌고 가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해 왔다.

소전

, 물 안에 있는 밧줄을 그린

의 위아래 양쪽 끝에 각각

(十) 을 

추가하여, 두 손으로 밧줄을 잡아 배를 끄는 것을 강조하다"는 뜻으로 

해석해 왔다.

예서

, 소전의

(十) 이

으로 바뀌었다.

소전체를 살펴보면

‘♀’ ‘여성을 나타내는 부호와 비슷한 것’ 을 아래위로 마주보게 하고

물 수 아래 氺 에서 뜷을 丨곤 을 뺀 모양으로

‘♀ 을 아래위로 마주보게 한 것’ 은 ‘아래위’ 를 나타냈고

‘물 수 아래 氺 에서 ‘뚫을 丨곤’ 을 뺀 모양’ 으로 ‘물’ 을 나타낸 것으로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을 그려

‘통솔하다-거느리다’ 를 나타낸 것으로

'검을 玄 현' 부수의 자이긴 하나

'검을 玄 현' 과는 무관하고

옥편에 나와 있는 “실로 만든 그물을 그린 것” 이란 설명과도 무관하다.

‘물에 있는 것을 밧줄에 매 끌고 가다’ 를 그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경솔하다' 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그 어떠한 고려도 할 필요가 없는 것에서 비롯된다

가만히 있어도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무슨 사전 심사숙고가 필요하겠나?

 

率眷 솔권 : 가족을 데려가거나 데려옴. (돌보다 - 돌아볼 眷 권)

率兵 솔병 : 병졸을 통솔함. 군사를 거느림. (군사 - 병장기 - 전쟁하다 兵 병)

率服 솔복 : 아랫사람을 거느리고 와서 윗사람에게 복종함.

(몸에 매달다 - 옷 - 직분 - 생각하다 - 다스리다 - 익히다 - 항복하다 服 복)

率善垂範 솔선수범 : 옳음 - 좋은 일 을 행하여 본보기를 베푼다 - 보인다. 

(착할 - 좋다 - 옳다 - 잘하다 善 선, 드리울 - 베풀다 - 가 - 끝 - 거의 - 거의 

이루어지려 하다 垂 수, 법 - 본보기 - 한계 - 떳떳하다 範 범)

率先垂範 솔선수범 : 먼저 행하여 본보기가 된다.

(옛적 - 앞서다 - 먼저 - 비로소 - 끝 - 인도하다 先 선) 

 

*. 손님 - 손으로 묵다 (대우하다) - 존경하다 - 인도하다 - 복종하다 - 사위 - 

화친하다 賓 빈

집 宀 면 + 주다 - 빌 丐 개 + 조개 貝 패

'집에다 조개 즉 재물-영향력을 주는 이' 를 그려

'손님' 을 나타냈다

 

賓客 빈객 : 귀한 손님. 문하의 식객. 세자시강원에 속한 벼슬.

(손님 - 나그네 - 지나다 - 붙이다 - 사람 客 객)

賓貢 빈공 : 외국인이 단군조선에 와 공물을 바치는 것.

(바치다 - 천거하다 - 고하다 貢 공)

賓待 빈대 : 賓客 빈객 으로 대우함. (기다리다 - 대접하다 - 막다 待 대)

(대접하다 - 기다리다 待 대

자축거릴 彳 척 + 절 - 관청 寺 사

예나 지금이나 관청에 가면 기다리는 것이 예사이므로

자축거리다 + 관청을 그려 기다리다를 나타냈고

寺 가 절을 의미하게 되면서

절에 온 보살들을 대접하다는 의미도 나타내게 되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賓旅 빈려 : 손과 나그네. (나그네 - 무리 - 군사 旅 려, 깃발 㫃 언 + 

좇을 從 종 의 변형,  小篆 소전엔 㫃 + 从 (從 의 본자)

‘깃발을 따라다니는, 깃발 아래 나란히 있는, 이정표를 따라 움직이는’ 을 그려

‘나그네 - 여행객 - 무리 - 군사 벌여놓다’ 를 나타냈다)

賓白 빈백 : 무대에서 배우가 연극 중에 하는 말. 臺詞 대사. 賓 은 對話 대화, 

白 은 獨白 독백. (여쭈다 - 아뢰다 - 흰 - 밝다 - 깨끗하다 - 아무것도 없다 白 백)

 

*. 돌아오다 - 시집가다 歸 귀

따를 - 쌓을 𠂤 퇴 + 간다 - 그칠 止 지 + 비 帚 추

빗자루 들고 따라간다 를 그려

남자를 따라 시집간다 를 나타냈다

시집가다 에서 그 의미가 돌아가다 로 확장되었다

이 문장에선

'빗자루 들고 따라갔다' 대신

'백성을 데리고 단군을 따랐다' 로 쓰였다

 

歸家 귀가 :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歸嫁 귀가 : 시집감.

歸去來 귀거래 :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감, 來 는 조사.

(갈 - 버리다 - 오래되다 - 지나가다 - 과거 去 거)

(올 - 돌아오다 - 부르다 - 〜 이래 (自) - 보리 - 오대 孫 손 - 어조사 來 래)

歸耕 귀경 : 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돌아가 농사를 지음.

(논이나 밭을 갈다 - 호미질하다 耕 경)

歸敬 귀경 : 부처를 믿고 존경함. (공경하다 - 삼가다 敬 경)

歸咎 귀구 : 허물을 남에게 돌림. (허물 - 재앙 - 미움 - 나무라다 咎 구)

歸覲 귀근 : 집으로 돌아가 어버이를 뵘.

(제후가 천자를 만나다 - 자식이 부모를 만나다 - 뵈다 - 겨우 覲 근)

歸期 귀기 :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올 기약이나 기한.

(기한 - 기약하다 - 기다리다 - 

한정하다 - 정하다 - 돌 - 백살 - 때 - 말을 더듬다 期 기)

歸寧 귀녕 : 시집간 딸이 친정에 돌아와서 부모의 안부를 물음. 歸安 귀안. 

(편안하다 - 차라리 - 어찌 - 다스리다 - 거상하다 寧 녕)

覲親 근친. 남자가 고향에 돌아가서 부모의 안부를 물음. 歸省 귀성. 諸侯 

제후 가 서울에 이르러 天子 천자 를 뵙고, 자기 나라에 돌아가 백성을 어루만져 

위로하는 일. 집에 돌아와 장사를 치르는 일.

(친할 - 同姓 동성 의 친척 - 사랑하다 - 몸소 - 겨레 - 사돈 親 친)

歸道山 귀도산 : 도산으로 돌아감. 道家 도가 에서 ‘죽음' 을 이르는 말.

歸洛 귀락 : 서울로 돌아감. 歸京 귀경.

(서울 - 물 이름 - 잇닿다 - 뒤를 잇다 - 다하다 - 물방울 듣는 소리 洛 락)

歸馬放牛 귀마방우 : 전쟁에 쓴 말과 소를 놓아 보냄. 다시 전쟁을 하지 않음.

단군조선 시대 周 주 나라 武王 무왕 이 殷 은 나라를 치고 돌아와 전쟁에 사용한 

말과 소를 놓아 보낸 고사에서 온 말. (말 - 벼슬 이름 - 아지랭이 - 추녀끝 馬 마, 

놓을 - 내치다 - 버리다 - 방자하다 - 두다 - 의지하다 - 본받다 - 흩다 - 이르다 放 방)

歸妹 귀매 : 昜 역 에서 64괘의 하나. 소녀를 시집보냄을 상징한다.

(손아래 누이 - 괘 이름 妹 매)

歸命 귀명 : 반항심을 버리고 순종함. 歸順 귀순. 身命 신명 을 바쳐 三寶 삼보 

에 歸依 귀의 함.

(목숨 - 운수 - 명령 - 이름짓다 - 목표 - 가르치다 - 천명 - 도 - 호적 命 명)

 

*. 임금 王 왕

가로 세 획은 천지인을 나타내고

세로 획은 이 셋을 꿰뚫음을 뜻하여

천지인을 꿰뚫음을 가진 사람을 일러 왕을 나타냈다고도 하는데

위의 '一' 일은 하늘을

아래의 '一' 일은 땅 즉 지상 세계를

가운데 '+' 은 하늘과 지상세계를 이어주는 모습으로 '무당' 을 그려

제사장을 나타낸 것으로

씨족의 제일가는 어른이 제사장이었고

제사장이 권력자 (임검) 이었음을 나타낸 字 자다

 

王家 왕가 : 임금의 집안. 왕실. (집 - 가문 - 남편 - 아내 - 가속 - 학파 家 가)

王駕 왕가 : 임금의 수레. (수레 駕 가)

王綱 왕강 :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대강령.

(벼리 (그물 윗 코를 꿴 굵은 줄 곧 사물을 총괄 규제하는 것), 대강 - 다스리다 綱 강)

王公 왕공 : 왕과 공. 천자와 제후. 신분이 고귀한 사람.

(공변되다 - 벼슬 이름 - 어른 - 그대 - 한가지 - 바르다 公 공)

王氣 왕기 : 임금이 날 조짐.

(기운 - 기질 - 공기 - 마음 - 숨쉬다 - 기후 - 조짐 氣 기)

王畿 왕기 : 왕성으로부터 500리 안.

(서울 - 지경 - 문지방 - 왕도로부터 500리 이내의 땅 - 뜰 畿 기)

*. 경기 畿 기

기미 - 조짐 - 기약하다 - 가깝다 - 살피다 - 몇 幾 기 + 밭 田 전

작을 幺 요 + 지킬 戍 수 + 작을 幺 요 + 밭 田 전

戍 는 경비병 혹은 경비병이 지키고 있는 병영을 나타내기도 한다

'작을 幺 요' + '작을 幺 요' 는 '적은 수의 적군 - 정찰병'

을 의미한다고 억측해보면

경비병이 척후병의 '조짐' 을 알아내고

‘밭 田 전’ 은 땅을 나누는 단위

‘경비병이 (척후병에 대한) 경계를 (철저히) 해야 하는 구역' 을 그려

‘경기’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王度 왕도 : 임금의 法度 법도. 임금이 지켜야 할 규범. 나라의 법률.

(정도 - 헤아리다 - 법도 度 도)

王都 왕도 : 王宮 왕궁 이 있는 都城 도성. 서울. 帝都 제도. 帝京 제경.

(아름답다 - 성하다 - 도읍 - 거느리다 - 거하다 - 모두 都 도)

王道 왕도 : 임금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夏 하⋅殷 은⋅周 주 삼대의 

公明正大 공명정대 하고 無私無偏 무사무편 한 治道 치도. 仁德 인덕 

에 바탕을 둔 정치를 행하는 일.

(바른 길 - 길 - 도리 - 이치 - 기능 - 작용 - 인도하다 - 말하다 道 도)

王旅 왕려 : 천자의 군대. 王師 왕사.

(나그네 - 무리 - 군사 旅 려, 깃발 㫃 언 + 좇을 從 종 의 변형, 

小篆 소전엔 㫃 + 从 (從 의 본자)

‘깃발을 따라다니는, 깃발 아래 나란히 있는, 이정표를 따라 움직이는’ 을 그려

‘나그네 - 여행객 - 무리 - 군사 벌여놓다’ 를 나타냈다)

王領 왕령 : 임금의 영토. (거느리다 - 차지하다 - 우두머리 - 옷깃 - 목 - 

옷을 세는 단위 - 요령 - 재능 - 기량 - 받다 - 적다 - 기록하다 領 령)

王母 왕모 : 할머니의 존칭. 崑崙山 곤륜산 에 살았다는 仙人 선인. 

西王母 서왕모. 새의 이름. 꾀꼬리.

(어미 - 장모 - 암컷 - 먹이다 - 陰 음 - 본뜨다 母 모)

王事 왕사 : 帝王 제왕 의 사업. 王室 왕실 에 관한 일. 王命 왕명 에 의한 

勞役 노역. (일 - 큰 일 - 일삼다 - 섬기다 - 다스리다 - 벼슬 - 경영하다 - 반역 事 사)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字文 천자문 ⊕⊕ 18  (6) 2023.03.29
天字文 천자문 ⊕⊕ 17  (3) 2023.03.28
天字文 천자문 ⊕⊕ 15  (4) 2023.03.26
天字文 천자문 ⊕⊕ 14  (2) 2023.03.24
天字文 천자문 ⊕⊕ 13  (6) 2023.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