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나무에) 새길 彔 록

나무 새길


323.  새소리-웃다 㖨  

+ (나무에) 새길

(나무에) 새길 새길 새가

소리내다 전환시켜

새가 소리내다 그려

새소리 나타냈다

새소리-웃다 㖨   근원 이란 뜻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문자보다 먼저 의사 표현 수단으로 쓰인 결승문자(문자는 아니지만 이름은 결승문자이다) 結繩文字 나무와 나무 사이에 줄을 꼬으는 방식과 나무에도 무언가를 새겨 의사를 다수에게 전달했고 뒤엔 나무에 부호나 문자를 새겨 의사를 전달했기에

나무에 새겨 말하다 그려

(문자의) 근원 나타냈다


324. 밭다-새다-물맑다

+ (나무에) 새길

새길 새기다에서 새다 전환하면

새다 되고 여기서 밭다 나왔다

새길 근원이란 뜻도 있어

물의 근원은 맑다 그려냈다


325. 먹다 (飠彔)

+ (나무에) 새길

(나무에) 새길 새기다

음식물을 소화시키다는 의미의 삭이다와 새기다의 발음이 비슷해

새기다를 식이다로 변환해

먹다 나타냈다


405.새다- 맑다

+ 나무 새길

나무 새길 에서 새길 떼어

새기다새다 전환하면 새는

나타내진다


406. 곱게 뜨다    

+ 나무 새길

나무 새길 에서 새길 떼어

새길새겨새겨 듣는 으로 전환하면

새겨듣는 눈빛 그려

곱게 뜨다 나타냈다


492. 벗기다 剝 박

새길 彔 록 + 칼 도 방

(나무에) 새기다 + 칼 로는 벗기다 를 나타낼 수 없다

새길 彔 록

새기다 는 우리 말로 어려운 말을 쉬운 말로 푸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칼 도 방

가르다 의 전환을 거쳐

풀어 가르다 를 그려

벗기다-찢다 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