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날 生 생

*. 날 生 생

화살모양 ? + 흙 土 토

‘화살모양 ?’ 은 남근을

‘흙 土 토’ 는 여성의 음부를 그린 것으로 보면

남녀가 함께 아이를 낳는다

를 그려 ‘낳다’ 를 나타냈다 

‘날 生 생’ 의 고자인

날 (土 위에 山) 생의 해석은 현재까지

풀의 싹이 땅의 표면 위로 나온 모양 으로 되어 있다

한 가지 해석을 덧붙여 보자면

흙 土 토 + 뫼 山 산 으로

흙이 산이 된다 를 그려

(흙이 산을) 낳는다(낳다) 를 나타냈다

가 될 수 있겠다

 

410-2. 하늘에 예를 지내다

등글월 + +

여태후의 학정과

경제의 삭번 정책으로 쇠퇴한 국력을 회복한

무제 때도 천제를 극비리에 지냈다

만리장성 북쪽에 천제를 지낼 권한이 있는

강성한 세력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촤이나 사가들의 날조로

지금은 흉노라 불리는 고구려였을 것이다

(사기를 지은 사마천의 아비 사마담은 태사령으로 있었으나

의식에서 제외된 것이 원통해 병들어 죽었다고 한다')

천제를 공식적으로 지낼 자격도 없어 비밀리에

그것도 왕조 창업한 세기나 지나서

지내야 했던 한나라인데

보다 천년전부터 지내오던 천제를 표현하는 문자를

만들었단 것은 어불성설이다

등글월

하늘을

희생의 제물을 나타낸 것으로

'一 하늘에 生 희생 (제물) 을바치다' 나타냈다

치다-공격하다 로만 있는

지나인이 만들 있는 문자가 아니다

 

650. 물이 넘치다

물 수 변 氵 + 날 生 생

물 + 낳다-태어나다 로는 물이 넘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날 生 생의 낳다-태어나다 에서

(바깥으로) 나오다 로 전환해

물 나오다 를 그려

물이 ‘넘치다’ 를 나타냈다

 

651. 희생 牲 생

소 우 변 牜 + 날 生 생

소 + 낳다-태어나다 로는 희생-재물 을 나타낼 수 없다

날 生 생의 낳다-태어나다 에서 내(어 놓)다 로 전환해

소를 내어놓다 를 그려

희생 을 나타냈다

 

652. (생생하다) 㽓 ()

자는 현재 의미 미상으로 알려져 있다

모이다-많다

우리가 쓰는 생생하다 말과는 의미가 다르다

낳고 낳아서 많다 의미로 쓰였다

낳고 낳고 낳아서

마을에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그려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생생하다 뜻을 나타낸 것이다

지나인들은 Shèng 으로

shèn 으로 발음한다

生 - 甡 - 모두 낳다 뜻에서 말인데도

우리는 같은 발음을 하는데 반해

지나인들은 발음들이 다르다

 

어느 쪽이 문자 시제국이고 수입국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