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을 余 여
737-8. 나머지 余 여
△천지인 삼합(나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 나무 木 목
'나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남은 것을 남에게 준다'는 뜻으로
나무 木 목 이 식물인 나무가 아니라 '남은'으로 전환되었다
737-9. 잊어버리다 悆 여
남을 余 여 + 마음 心 심
남에게 일단 주고 나면 잊어버리라는 뜻을 그린 문자로
△천지인 삼합(나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 나무 木 목
'나의 의식주를 해결하고 남은 것을 남에게 준다'는 뜻이며
한 번 주고나면 잊어버리라는 뜻
나무 木 목 이 식물인 나무가 아니라 '남은'으로 전환되었다
343. 토하다 唋 도
입 口 구 + 나 余 여
나 余 여 에서 나다 → 나오다
즉 입에서 나오다
입안에 있던 것이 나오다 를 그려
토하다 를 나타냈다
344. 진흙 塗 도
물 수 변 + 나 余 여 + 흙 土 토
나 余 여 에서 나다 → 나오다
물 나오는 흙 을 그려
진흙 을 나타냈다
347. 도랑-개천 涂 도
물 수 변 + 나 余 여
나 余 여 의 나 를 나오다 로 전환해
물 나오는 곳을 그려
도랑-개천 을 나타냈다
657. 늘어지다-풀어지다 䋡 서
실 사 변 + 나 余 여
실 + 나 로는 늘어지다-풀어지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나 余 여 의 훈인 나 에서 나다→나오다 로 전환해
실 나오다 를 그려
늘어지다-풀어지다 를 나타냈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치 (0) | 2018.07.17 |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내 川 천 (0) | 2018.07.12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남녘 南 남 (0) | 2018.07.12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남녘 丙 병 (0) | 2018.07.12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날 生 생 (5) | 201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