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 皆 개
견줄 比 비 + 아뢸 白 백
'견줄 比 비' 는 사람들이 나란히 서 있는 모양을 그린 자로
나란히 서서 (찬성) 의 말을 하는 것을 그려
'모두' 를 나타냈다고 한다
(*. 맏 (兄)-형-뒤 (後)-자손 (孫)-같다 (同)-다 (咸) 昆 곤
날 日 일 + 견줄 比 비
‘날 + 견주다’ 론 형을 나타낼 수 없다
‘형 昆 곤’ 의 원형은 두 사람 (여러 사람들) 의
몸통 위에 머리 (해) 가 하나만 있는 형상이다
즉 우두머리를 그려 형을 나타낸 것이다)
1078. 수레에 오르다 䡡 해
수레 車 거 + 다 皆 개
수레 + 다 (모두) 론 수레에 오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다 皆 개 의 ‘다’ 를 ‘타’ 로 전환해
수레에 타다 를 그려
수레에 오르다 를 나타냈다
1079. 신 (革皆) 해
가죽 革 혁 + 다 皆 개
가죽 + 다 (모두) 론 신 을 나타낼 수 없다
다 皆 개 의 ‘다’ 를 ‘타’ 로 전환해
(사람이) 타는 가죽 를 그려
신 을 나타냈다
1080. 말 길들이다 (馬皆) 해
말 馬 마 + 다-모두 皆 개
말 + 모두-다 론 말 길들이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다 皆 개 의 ‘다’ 를 ‘타’ 로 전환해
말을 타다 를 그려
말 길들이다 를 나타냈다
1082. 풍류소리가 조화되다 龤 해
피리 龠 약 + 모두-다 皆 개
피리 (소리) + 모두-다 론
풍류소리가 조화되다 를 나타낼 수 없다
다 皆 개 의 ‘다’ 를 ‘타’ 로 전환해
피리소리에 (모든 소리가) 타다 를 그려
풍류소리가 조화되다 를 나타냈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親庭 친정과 媤宅 시댁 (0) | 2018.09.26 |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다를 它 타, 다를 他 타 (0) | 2018.09.21 |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다 僉 첨 (0) | 2018.09.21 |
名節 명절 (0) | 2018.09.13 |
*. 哲學 철학 (0) | 2018.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