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着 하다/착하다

착하다

는 사전적으론

"어른의 말이나 사회 규범·도덕에 어긋남이 없이 옳고 바르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이나 아랫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쓰며,

웃어른에게는 쓰기 어려운 말."

이라고 한다

 

여기서

‘붙을 着 착' 자를 살펴보면

*. 도착할 着 착

양 羊 양 + 눈 目 목

으로

인간에게 음식과 의복을 주는 동물인 양의 눈을 그려

'착하다' 를 나타낸 것이

'도착할 着 착' 의 원 뜻으로 보인다

물론 '도착할 着 착' 이

지금은 붙다-도착하다-신을 신다-옷을 입다 를 나타내지만

원래의 뜻인 '인간에게 음식과 의복을 주는 동물인 양의 눈' 에 '하다' 를 붙여

'착하다' 를 나타낸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볼 수 있겠다

 

또한 문자가 만들어지던 시기에

깨끗한 옷을 제대로 갖추어 입고 신을 신고 있는 일가족이 이주해와 (도착하다)

토착민들과 동화하며 함께 살자고 (붙다)

하는 것은

부족의 수가 생산력이며 전투력이었을 때는 좋은 일이었을 것이란 점도

고려될 수 있겠다

(물론 토착민들보다 많은 수의 이주민이 등장한 경우엔 달리 고려될 수도 있었을 것이긴 하다)

 

게다가

어른의 말이나 사회 규범·도덕에 어긋나 옳고 바르지 못하면

살붙이-피붙이들과 부족원들과 국가에 붙어살 수 없다

 

착하다는 말은

어른의 말이나 사회 규범·도덕에 어긋남이 없이 옳고 바르기에

'살붙이-피붙이들과 부족원들과 국가에 붙어살 수 있다’

는 말로 '붙을 着 착’ 을 써서 ‘着 하다' 로 쓴 것으로도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