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한자라 불리는 문자가 우리 문자란 문자 속의 증거 氣魄 기백

*. 기운 氣 기

1. 기운 气 기 + 쌀 米 미

'기운 气 기' 는

구름이 피어오르는 모양을 그린 그림에서 나온 자라고 한다

해서 쌀을 먹고 솟아오르는 힘을 그려

'기' 를 나타냈다

 

2. ? + 一 + ⺄ +

? 화살을 나타내는 부호로

사람을 나타내기도 한다

동이족은 화살이 필수품이었으므로

화살로 사람을 나타냈었을 수도 있겠다

 

一 하나-하늘-한결같이를 나타낸다

 

⺄ 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진행으로 옳은 것-발향을 나타낸다

 

米 쌀-살-따로 떨어져 있다를 나타내는데
살에서 살다의 뜻도 나타낼 수 있다

 

'사람을 한결같이 옳은 방향으로 살게 하는 힘' 을 그려

'기' 를 나타냈다

 

'기' 를 정의함에

마치 육신과 마음을 이어주는 힘처럼

'에너지와 정보를 연결해주는 힘'

이라고도 한다

 

*. 넋 魄 백

밝다-흰 白 백 + 귀신 鬼 귀

밝다→박→밖→바깥→보이는 부분 즉 '몸' 으로의 변환을 거쳐

귀신의 부분 중에서 바깥 즉 몸을 주관하는 '넋' 을 그려낸 문자다

 

해서

氣魄

기백이란

'사람을 한결같이 옳은 방향으로 살게 하는, '넋' 의 힘'

을 그려낸 문자다

 

278. 귀신

삐침 ˊ + + 어진 사람 + 사사

옥편엔삐침 ˊ + 귀신의 머리 모양

어진 사람 ㄦ” 사람

사사 해치다 해석해 놓았다

삐침 ˊ + 을 귀신의 머리 모양으로

“사사 사” 를 해치다 로 해석한 것도

그리 신빙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

사람을 해치는 것이 귀신이라고?

여기서 고대인들의 귀신에 대한 생각을 좆아

귀신 다시 해석해 보자

고대인들은 사람이 죽으면

신을 맡은 승천해 신 神 이 되고

육체를 주재하는 땅에 들어가 된다고 한다

고대인들은 그렇게 생각했다란 전제하에

귀신 해석하면

삐침 ˊ 삐쳐-삐져 나온

바깥으로

어진 사람 사람-육신

사사

육신의 바깥으로 (삐져) 나온

귀신 나타낸 것이며

삐침 ˊ 삐침에서 삐쳐-삐져

에서 바깥 으로

전환시킬 있는 민족은 우리 말을 하는 민족이다

우리 말을 모르는 지나인들의 문자 해석과

우리 말을 아는 이의 문자 해석이

고대인들의 ‘귀신’에 대한 생각과 가까운가?

또한 옛날에 사람이 귀신에게 길함을 빌 때는

그 귀신의 귀가 매우 큰 귀신상을 만들었었는데

이는 소원을 잘들어달라고 귀신의 귀가 큰 귀신상을 만들었던 것이라고 전한다

귀가 큰 鬼의 발음이 '귀' 인 것은

귀가 머리에서 삐져나온 기관으로

'鬼' 의 뜻이 몸에서 삐져나온 것이기에

귀와 鬼가 서로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봐도

귀와 鬼를 동일하게 발음하는 민족이

한글이라 불리는 표음문자와 진서라 불리던 표의문자를 모두 만든 것으로 판단될 수 있겠다

'문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着 하다/착하다  (0) 2018.10.24
家族 가족  (0) 2018.10.17
仁慈하다 인자하다  (0) 2018.10.12
拙夫 졸부  (0) 2018.09.28
積弊 적폐  (0) 2018.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