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금 - 바르다 - 불안하다 - 크다 - 아름답다 - 엄숙하다 - (깃 장식이 있는) 관
벽 없는 방 - 봉황 皇 황
흰 白 백 + 임금 王 왕
'밝은 임금 혹은 임금 중 가장 밝은 이' 를 그려
‘임금 - 바르다 - 불안하다 - 크다 - 아름답다 - 엄숙하다 - (깃 장식이 있는) 관
벽 없는 방 - 봉황’ 를 나타냈다
*. 봉황새 凰 황
'무릇 凡 범' 의 생략형 几 + 봉황 - 임금 皇 황
'무릇 凡 범' 의 소전을 보면
하늘을 나타낼 수 있는 '삐침 丿 별’ 과 땅을 나타낼 수 있는 '一'
그리고 ‘몸 己 기' 의 소전체로 이루어져
凰 은 '몸이 하늘과 땅에 미치는 봉황새 - 임금' 을 그려
‘봉황새' 를 나타냈다
鳳凰 봉황
*. 어린 아이의 울음소리 喤 황
입 口 구 +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불안하게 입으로 내놓는 것' 을 그려
'어린 아이의 울음소리'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대궐 - 해자 堭 황
흙 土 토 +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임금이 사는 땅' 을 그려
‘대궐' 을 나타냈고 '해자' 까지 의미가 확장되었다
*. 어머니 媓 황
계집 女 녀 + 아름답다 - 임금 皇 황
'임금이 가장 높은 것처럼 가장 아름다운 여인
혹은 임금처럼 길을 밝혀주는 여인' 을 그려
‘어머니' 를 나타냈다
*. 방황하다 徨 황
자축거릴 彳 척 +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불안하게 조금씩 걷는 것' 을 그려
'방황하다' 를 나타냈다
徨徨 황황 : 방황하는 모양
*. 두려워하다 (몹시 공구하여 어찌할 줄 모르는 모습) 惶 황
마음 심 변 忄 +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불안한 마음 - 임금을 대하는 마음' 을 그려
'두려워하다 (몹시 공구하여 어찌할 줄 모르는 모습)' 을 나타냈다
惶悚 황송
*. 찬물 - 빠지다 湟 황
물 수 변 氵 + 매우 밝은 -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매우 밝은 물 ⟶ 매우 맑은 물' 을 그려
'찬물' 을 나타냈고
'불안한 물' 을 그려
‘물에 빠지다' 를 나타냈다
*. 해자 隍 황
언덕 부 변 阝 + 임금 皇 황
'임금을 보호하는 언덕' 을 그려
‘해자 (성을 지키기 위해 성 둘레에 판 연못)' 를 나타냈다
*. 빛날 煌 황
불 火 화 + 임금 皇 황
‘불이 밝은 임금 같다' 를 그려
'빛나다' 를 나타냈다
輝煌燦爛 휘황찬란
*. 옥 소리 瑝 황
‘구슬 玉 옥’ 변 王 +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구슬 玉 옥’ 변 王 + 다듬다 - 맑다 白 백 + ‘구슬 玉 옥’ 변 王
'구슬과 구슬 사이에서 나오는 맑은 것' 을 그려
'옥 소리' 를 나타냈다
*. 허둥지둥하다 遑 황
辶 + 불안하다 皇 황
불안하게 가다 를 그려 '허둥거리다' 를 나타냈다
*. 황달 㾮 황
병들어 기댈 疒 상+ 매우 밝다 - 임금 皇 황
'매우 밝아지는 병 ⟶ 피부와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되는 병' 을 그려
'황달' 을 나타냈다
*. 임금 皇 황
닭의 머리
뱀의 목
제비의 턱
거북의 등
공작새의 깃털 또는 물고기의 꼬리 모양으로
오색빛을 발하며 오음을 나타낸다고 하는
전설 속의 새를 나타낸 '봉황새 凰 황' 에서
几 를 벗기고 ‘임금 皇 황' 을 나타냈다
고도 한다
*. 엄숙하다 - 성하다 皝 황
엄숙하다 - 임금 皇 황 + 빛 光 광
'엄숙한 빛 ⟶ 엄숙한 기운’ 을 그려
'엄숙하다 - 성하다' 를 나타냈다
*. 대나무의 한 가지 - 대(나무)숲 - 피리(악기의 한 가지) 篁 황
대 竹 죽 + 크다 - 아름답다 - 임금 皇 황
'큰 대나무 - 많은 대나무' 를 그려 ‘대나무 숲’ 을 나타냈고
'아름다운 대나무' 을 그려 '피리' 를 나타냈다
*. 제사 쌀 䊗 황
쌀 米 미 + 엄숙하다 - 임금 皇 황
'엄숙한 쌀’ 을 그려
'제사 쌀' 을 나타냈다
*. 꽃답다 䑟 황
무궁화 舜 순+ 아름답다 - 임금 皇 황
'무궁화처럼 아름답다' 를 그려
'꽃답다' 를 나타냈다
*. 큰 배 - 오나라 배 艎 황
배 舟 주+ 크다 - 임금 皇 황
'큰 배' 를 그려
‘큰 배 - 오나라 배' 를 나타냈는데
오나라 지역의 백성들이 배를 잘 만들어서
큰 배들을 모두 오나라 지역에서 만들었기 때문에
오나라 배를 그려 큰 배를 나타낸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겠다
*. 누리 - 황충 蝗 황
벌레 虫 훼+ 크다 - 임금 皇 황
무리지어 다니면
그 수가 상상을 초월하는 '조' 단위의 군집을 형성해
그 누구도 막을 수가 없기에 '벌레 중의 임금' 을 그려
'누리/蝗蟲 황충' 을 나타냈다
蝗災 황재 蝗蟲 황충
*. 말소리 - 큰 소리 諻 황
말씀 言 언+ 크다 - 임금 皇 황
‘큰 말' 을 그려
‘큰 소리 - 말소리' 를 나타냈다
*. 달아나다 䞹 황
달릴 走 주+ 불안하다 - 임금 皇 황
'불안하게 달리다' 를 그려
'달아나다' 를 나타냈다
*. 산자 餭 황
밥 식 변 飠 + 아름하다 - 임금 皇 황
'아름다운 밥' 을 그려
'유밀과인 산자' 를 나타냈다
산자 :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것을 기름에 튀기고
꿀을 바른 후 그 앞뒤에 튀긴 밥풀이나 깨를 붙여 만든 유밀과
*. 누르고 흰 騜 말
말 馬 마+ 크다 - 아름답다 - 임금 皇 황
'크고 아름다운 말' 을 그려
'누르고 흰 말' 을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임금과 태양을 동일시해 임금의 색깔을 태양의 새깔로
보았음을 추측해 볼 수 있겠다
*. 전어 - 철갑상어 - 황어 鰉 황
물고기 魚 어+ 크다 - 밝다 - 임금 皇 황
전어가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인기가 많았을 때
‘임금 같은 물고기' 를 그려
‘전어' 를 나타냈고
'철갑상어 중 벨루가 - 칼루가 같은 엄청난 크기의 물고기' 를 그려
'철갑상어' 를 나타냈고
배에 있는 붉은 띠에서
'붉은 물고기 ⟶ 밝은 물고기' 를 그려
‘황어' 를 나타냈다고도 억측해 볼 수 있겠다
*. 암봉새 䳨 황
임금 皇 황 + 새 鳥 조
'임금 새' 를 그려
'암봉새' 를 나타냈다고 억측해 볼 수 있겠다
동이족이 모계 사회를 형성하고 있을 때
만들어진 문자임을 추측해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