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內申成績 내신성적

***. 內申成績 내신성적

 

사전적으론

“상급 학교 진학이나 취직과 관련하여 선발의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지원자의 출신 학교에서 학업 성적, 품행 등을 적어 보냄, 또는 그 성적” 이다

 

여기서 문자가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안 - 들어가다 內 내

삼면이 막힌 모양 冂 + 들 入 입

삼면이 막힌 곳에 ‘들 入 입’ 을 위치시켜

‘안' 을 나타냈다고 한다

‘안' 에서 드러나지 않는 ‘비밀' 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 아뢰다 - 보고하다 - 알릴 申 신

소전의 모양은

이승에 내려온 조상에게 자손이 예를 올리는 모양을 그린 모양이다

해서 아뢰다 - 보고하다 등의 뜻이 있다

여기선 ‘후손들이 이룬 것들을 조상님들에게 알린다' 는 뜻으로 쓰였다

같은 씨족 혹은 부족들의 이야기라 내부의 일이지만

이승의 일을 저승으로 알리는 것으로

안의 일을 바깥으로 알리는 일이기도 하다

 

內申 내신 :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은밀히 윗사람이나 관청에 글로 보고함

 

*. 이룰 成 성

무성할/성하다 戊 무 + 충실하다 丁 정

'무성할-성해질 戊 무' 를

'기슭 厂 엄 + 창 戈 과' 로 언덕에 창을 모아 세워둔 것

으로 '많다-성하다' 를 나타낸 것으로

成 은

어떤 사물이든 성해져 충실하게 되면 이루어져 간다는 데서

'이루다/이루어지다' 를 나타낸다고 하며

 

무성할 戊 무 + 장정 丁 정

'무성할 戊 무' 는 '도끼 모양의 무기를 본뜬 글자' 로

'장정들이 무기를 들다' 를 그려

'씨족/부족/국가/평화가 이루어지다' 를 나타냈다

고도 볼 수 있겠다

 

*. 공적 - 길쌈 績 적

실 사 변 糹 + 나무라다 - 꾸짖다 - (빚) 責 책 - (채) 

責 은 소전을 보면 '가시 朿 자 + 조개-돈 貝 패'

가시달린 돈을 그려 '빚'을 나타냈다

예서로 보면 '겹칠 丰 봉 + 조개 - 돈 貝 패'

해서 蹟 은 ‘조개가 쌓여 있다' 를 그려

'많은 돈 - 돈으로 이룬 많은 것' 을 나타냈다

해서 ‘績’ 은

‘돈으로 이룬 많은 일을 엮은 것' 을 그려

‘공적 - 실을 잣다' 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겠다

 

‘內申成績 내신성적’ 이란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내부 자료로만 있던 성과들을 비밀리에 외부로 보고한 것 혹은

성과물들을 내부의 아래에서 위로 비밀리에 아뢴 것’ 을 말한다

 

일본 사람들은 ‘내부 보고서’ 란 의미로 ‘內申書 내신서’ 가 있는데

우리가 아는대로

“상급 학교 진학이나 취직과 관련하여 선발의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지원자의 출신 학교에서 학업 성적, 품행 등을 적어 보냄, 또는 그 성적”

이란 의미로 쓰인다

일본이 조선을 불법으로 강점하고 있을 때

사범학교를 들어가기 위해 보통학교 교장이

사범학교 입학시험에 응시하는 학생이 독립사상을 가르치지 않을 것이란

일종의 일본에 대한 충성 보증서로 쓰인 적도 있어

‘내신성적' 이라 하여 일제의 잔재로 순화대상이라

‘학교 성적' 으로 순화하자는 의견도 있다

 

‘안에서만 드러나지 않게 쓰이는 자료를 외부로 보낸다는 혹은

자료를 내부의 아래에서 위로 비밀리에 아뢴다는 의미가 담겨 있는

‘內申 내신’ 이란 말과 ‘학교’ 는 전혀 다르지만

'학교성적' 이 '내신성적' 을 대신할 수 있기는 하다

'내신' 은 성적을 의미하는 것도 '학교' 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고

단지 '전달의 방향과 형식' 만을 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교성적' 도 '내신성적' 도

듣는 이나 쓰는 이들이 그저 중학교나 고등학교의 '학교성적' 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