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인생 그리고 인생관
사람이 살아가면서 살아가는 목표가 무엇이었던가를 잊을 때가 있다
인생관을 잊은 것이다
인생관이 무었이었던가를 기억하기 위해선
철학과 인생 그리고 인생관이란 문자가 뜻하는 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먼저 ‘哲學 철학’ 은
"세계와 인간의 삶에 대한 근본 원리 즉 인생관, 세계관 등을 탐구하는 학문"
이라고들 하는데
파자해보면
손 수 변 扌 + 도끼 斤 근 + 입 口 구 + 배울 學 학
손에 도끼 들고 입에서 나오는 것을 배우는 것
즉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분석하는 학문이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은 철학의 대상이 아니란 말이 된다
철학의 기본적인 목표는
내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정확히 알고
남이 무슨 말을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다
또한 철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내 이웃과 사회, 나아가 국가, 더 나아가서는 인류를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알아나가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우리가 하는 말은 마음의 표현이며
말은 행동의 예시이기도하다
그런데 우리의 말과 행동이 마음과 다를 수 있을까?
열심히 살겠다는 말의 문자의 의미를 살펴보면
'열-덥다-태우다 熱 열
흙 土 토 + 어진 사람 인 발 儿 + 흙 土 토 + 알 丸 환 + 불 화 발 灬
어진 사람 인 발 儿 : 어진 사람이
흙 土 토 + 흙 土 토 : ('흙 土 토' 를 두 번 써서) 넓은 땅에서
알 丸 환 : 알갱이 즉 씨앗을
불 화 발 灬 : (불의 기능인 ‘태우다’ 를 ‘심다' 로 써서) 심다
해서 ‘熱心 열심’ 은
‘어진 사람이 넓은 대지 위에 씨를 심는 마음'
즉 ‘농사짓는 마음' 을 그려
‘정성을 다해 부지런히 힘을 쓰는 것' 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열심히 하다' 란
'농사를 짓듯이 정성을 다해 부지런히 힘쓰다' 란 말이 되겠다
이 말은 또한
' (養命 양명) 생명을 기르듯이 정성을 다해 부지런히 힘쓰다' 란 말도 되겠다'
그런데 열심히 살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살아가는 사람이
맹렬히 살육을 한다면
과연 이 사람은 열심히 살고 있는 것일까?
열심히 사는 것이 어떻게 사는 것인지를 모르니
마음과 말이 행동과 다르게 되는 것이다
같은 이치로 삶의 목표를 잃었다면
人生 인생과 人生觀 인생관 이 무엇인가 철학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 사람 人 인
사람이 팔을 뻗고 있는 모습이라 옥편은 설명하지만
두 사람이 서로 의지하고 사는 모습을 그린 것에 더 가깝다
불안정한 한사람 ノ + 불안정한 한사람 ヽ
불안정해 보이는 두사람이 모여
陽 양과 陰 음이 모여 안정되어 보이는 人 사람이 된다
*. 날 生 생
화살모양 ? + 흙 土 토
‘화살모양 ?’ 은 남근을
‘흙 土 토’ 는 여성의 음부를 그린 것으로 보면
남녀가 함께 아이를 낳는다
를 그려 ‘낳다’ 를 나타냈다
‘날 生 생’ 의 고자인
날 (土 위에 Ψ) 생의 해석은 현재까지
풀의 싹이 땅의 표면 위로 나온 모양 으로 되어 있다
한 가지 해석을 덧붙여 보자면
흙 土 토 + 뫼 山 산 으로
흙이 산이 된다 를 그려
(흙이 산을) 낳는다(낳다) 를 나타냈다
가 될 수 있겠다
‘人生 인생’ 은 사전적으론
“사람이 태어나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일 또는 그 동안 혹은 생(生) 이나 삶
또는 목숨을 가진 사람의 존재 또는 사람의 목숨” 이라고 한다
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위에서 본대로
‘사람이 낳는 것' 이 人生 인생 이다
즉 ‘내 인생' 은 내가 낳는 것이다
그 누구를 탓할 수도 없고 오롯이 내가 만들고 내가 책임지는 것이다
이제 ‘人生觀 인생관’ 이 뜻하는 살펴보면 사전적으론
“인생의 의의(意義) 또는 목적, 삶의 가치, 그 수단 등에 대한 생각
혹은 그 사람의 소질이나 교양·체험 등을 통하여 형성된 인생에 대한 견해”
라고 한다
人生觀 인생관 이란 문자가 뜻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볼 觀 관
황새 雚 관 + 볼 見 견
'나온 것' 을 나타내는 ‘풀 초 머리 艹’
‘두 눈’을 나타내는 ‘ㅁㅁ’
‘새로운’을 나타내는 ‘새 隹 추'
‘보다’를 나타내는 '볼 見 견'
‘새로 나온 것을 두 눈으로 보다’를 그려
‘보다’ 를 나타냈다
해서 人生觀 인생관 이란 문자가 뜻하는 바는
‘내가 새로 만들어갈 것을 두 눈으로 보다' 를 그려
‘앞으로의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살펴보는 것' 이다
‘人生觀 인생관’ 이 정해져 확고하단 말은
어떻게 살아갈 지에 대한 밑그림이 그려져 있다는 말이다
어떤 상황에 닥치든 대처할 행동양식이 정해져 있다는 말이다
삶의 어느 시점에서 무엇을 해야할 것인지를 잊었다면
‘人生觀 인생관’ 을 다시 그려볼 때인 것이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丹田 단전 (1) | 2022.10.03 |
---|---|
讀書百遍義自見 독서백편의자현 (2) | 2022.10.02 |
科學 과학 (0) | 2022.09.30 |
佛國寺 불국사 (2) | 2022.09.29 |
외국에서 태어난 고려인들이나 해외 동포들의 고향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