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

罵倒 매도

*.  꾸짖다 罵 매

그물 罒 망 + 말 馬 마

말을 그물로 잡는다고 그려 꾸짖다를 나타낼 수도 없고

말은 올가미로 잡는 것이지 그물로 잡는 것도 아니다.

말 馬 마 가 짐승이 아닌 입으로 하는 말 로 쓰인 것이며

(타인에게) (입으로 하는) 말로써 그물을 씌운다 를 그려

꾸짖다 를 나타냈다.

우리 말을 모르면 만들 수 없는 문자다.

 

*. 이를 到 도

이를 至 지 + 선 칼 도 방 刂

'刂' 의 원형인 '刀' 의 소전체를 보면 칼의 모양이라기보단

하나에서 갈라져 나온 새 줄기로 보인다.

해서 '칼을 들고 도착했다.' 혹은 '새롭게 도착했다' 를 그려

'이르다' 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겠다.

*. 넘어뜨리다-넘어질 倒 도

*. 거꾸로 하다 倒 도

사람 인 변 亻 + 이를 至 지 + 칼 도 방 刂

'이를 至 지' 가 '사람 인 변 亻' 의 등 뒤에 있는 그림으로

칼을 들고 사람의 등 뒤에 오다.

즉 적군을 그린 것으로

나는 칼에 맞아 넘어지게 될 상황이고

'넘어지다' 에서 '거꾸로 하다' 까지 뜻이 확장되었다.

위의 두 자에서 '이를 至 지' 부분은 설문에 이르기를 새가 공중에서 땅에 내려 앉는 모양이라고 되어 있고

간혹 화살이 땅에 박히는 뜻으로도 쓰인다고 해서 화살까지 뜻에 넣는 분들도 있으나

'새가 공중에서 땅에 내려 앉는 모양' 을 그려 이르다는 뜻을 나타낸 것만으로도

위의 두 자는 조자 원리의 설명이 가능하다.

 

'罵倒 매도' 하다

사전적 의미는 '상대를 심하게 비난하거나 욕설을 퍼붓는 행위 혹은 대상을 비난하여 몰아세우는 것' 이다.

글자 자체가 의미하는 바는

'(타인에게) (입으로 하는) 말로써 그물을 씌운다  + 나를 칼로 공격하여 넘어뜨리다' 를 그려

'(타인에게) (입으로 하는) 말로써 그물을 씌워 나를 무너뜨리다.' 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熱情 열정  (0) 2025.10.17
애먼 사람과 '曖昧 애매' 하다  (0) 2025.10.14
行色 행색  (0) 2025.10.13
懷抱 회포  (0) 2025.10.13
癡呆 치매  (3) 202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