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자

칼전대 韜 도

*. 칼전대 韜 도

칼을 칼집에 넣은 채로 넣어 두는 길쭉한 자루

다룬 가죽 韋 위 + 퍼낼 舀 요

‘다룬 가죽 韋 위’ 는

어그러질 舛 천 + 에울 口 위

‘어그러질 舛 천’ 은

오른쪽으로 한 걸음 움직이는 그림 夕 +

왼쪽으로 한 걸음 움직이다 㐄 과

+ 에울 口 위

(오른쪽과 왼쪽)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잘 모아서 (口)

필요할 때 손톱 (爪) 으로 절구 (구멍) (臼) 에서

세심하게 꺼내는 것을 그려

칼집을 나타냈다


六韜三略 육도삼략

육도와 삼략이란 병서를 일컫는다

병서의 이름에 ‘칼전대 韜 도’ 를 쓴 것은

병법이란 잘 숙지하고 있다가

실전에 사용할 때는

최적을 병법을 골라 조심스럽게 실전에 적용해야 한다는 의미로

쓴 것이다